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중국 소프트파워 순위 세계 2위

  • 허훈 기자
  • 입력 2025.02.22 11:31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 "글로벌 소프트 파워 지수 2025"가 20일 영국 런던에서 발표됐다. 중국의 소프트 파워 순위는 작년 3위에서 2위로 올랐다. 미국은 계속해서 1위를 차지하였고, 영국, 일본, 독일이 3~5위를 차지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이 연간 지수가 100개국 17만 명이 넘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바탕으로 중국의 상승하는 위상을 여러 차원에서 부각시켰다고 보도했다. 경제 외교, 과학기술 리더십, 그리고 중국 브랜드의 글로벌 확장으로 인해 중국의 소프트파워 점수는 100점 만점에 72.8점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미국은 1위 자리를 유지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동안 정치적 불안정과 통치 문제로 인해 미국의 평판이 하락하면서 미국의 영향력이 점점 더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영국은 3위로 떨어지며 정체된 비즈니스와 거버넌스 지표를 부각시키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위상을 높이려는 중국의 노력과 대조적이다.


9999.png
▲2월 20일, 전 미국 국무장관 존 케리가 영국 런던에서 열린 글로벌 소프트파워 서밋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이미지 출처: 비주얼 차이나)

 

데이비드 헤이거 브랜드파이낸스 컨설팅 사장은 중국 소프트파워의 부상을 경제적 매력, 문화 참여도, 그리고 거버넌스 안정성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덕분으로 꼽았다. 그는 지속 가능성에 대한 중국의 명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사치품과 기술 분야에서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언론 '아시아타임즈'는 중국의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큰 진전을 이루고 있으며, '너자2'의 흥행 성공이 그 단적인 증거라고 보도했다. 이 애니메이션 속편은 최근 16억9000만 달러의 수익으로 픽사의 '인사이드 아웃'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애니메이션 영화가 되었다.


'아시아타임즈'는 이어 중국의 명품, 기술, 전자상거래 브랜드들이 계속해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야디는 현재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사로, 지난달 해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83% 증가했다. 뷰티 브랜드 화시즈(花西子)는 이미 유럽 시장에 진출하였고, 핀둬둬는 소셜 네트워크와 전자상거래를 융합한 혁신적인 온라인 소매 모델로 점점 더 많은 인정을 받고 있다.


'아시아타임즈'는 또 중국의 소프트 파워 향상이 기술 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고 전했다. 딥시크(DeepSeek)의 출시는 미국 시장을 뒤흔들었다. 이 가성비 높은 인공지능 모델이 출시되자마자 반도체와 인공지능 인프라 관련 주식에서 9690억 달러 규모의 매도가 발생하면서 글로벌 인공지능 경진대회에 주요 변수가 예상된다. 딥시크의 성공은 중국이 인공지능 혁신에서 단순히 추격하는 것을 넘어 산업의 발전 궤적을 적극적으로 재편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시아타임즈는 디지털 생태계, 엔터테인먼트 산업 및 지속 가능한 서사가 점점 더 글로벌 영향력 구도를 주도함에 따라 서구 럭셔리 브랜드들이 중국의 소프트 파워 부상이 가져올 심오한 영향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십 년 동안 할리우드, 프랑스 패션, 그리고 유럽의 일부 전통 브랜드들은 논란의 여지가 없는 문화적 지배력을 유지해왔다. 현재 중국은 중국 브랜드의 해외 진출, 국산 영화의 성공,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의 소비 패턴 혁신을 통해 격차를 좁히고 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미국은 여전히 글로벌 소프트 파워 지수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친숙도, 영향력, 비즈니스 및 무역 부문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정치적 불안정성과 경제적 예측 불가능성이 증가함에 따라 거버넌스 순위가 하락했다.


아랍에미리트는 상업적 우호 정책과 외교적 영향력으로 10위 안에 진입했다.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는 지속적인 지정학적 충돌로 인해 세계적인 명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순위가 급격히 하락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중국이 인공지능, 사치품, 문화 수출 분야에서 더 이상 단순한 경쟁자가 아니라 글로벌 영향력의 균형을 재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으로 몇 년 동안 이 모멘텀은 지속적인 힘으로 전환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브랜드, 투자자, 글로벌 정책 입안자들에게 중국의 소프트파워 확장은 더 이상 '가능성'이 아닌 현실이 되었다고 전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전북 시민·예술인 12만 여 명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 “시민사회와 더불어 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 김문수 후보 민주화운동 보상금 10억 원 거부, 허위사실공표 공직선거법 위반 고발
  • 민주당, 김문수 후보 내란 선동 의혹 제기…“5·18 기념식 불참·극우 연대 비판”
  • 더불어민주당, 5·18 45주년 맞아
  • 中 상무부, 美 수출통제 조치 강력 반발…
  • 국민의힘
  • 모순의 집합체? 연변룽딩 이기형 감독의 빛과 그림자
  • 이재명 후보 노동계 지지 확산…전국 각지서 지지선언 잇따라
  • 민주당 광주-한국노총 광주,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대선 승리 함께”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중국 소프트파워 순위 세계 2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