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되묻게 한다. ‘중국 최대 피해자론’은 결국, 흔들리는 패권의 그림자가 자아낸 불안의 반영일 뿐이다. 에너지 지형 바뀌는데, 여전히 호르무즈만 바라보는 미국 미국 언론은 줄곧 “중국 석유 수입의 50%가 호르무즈 해협을 지난다”고 강조하며, 이 해협이 봉쇄될 경우 중국이 치명타를 입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러나 정작 같은 수치를 미국에도 적용하면 중동 의존도는 60%에 달한다. 게다가 최근에는 후티 반군의 드론 세 기가 미 항모 ‘니미츠’를 200km 후퇴시킨 사건처럼, 미국도 결코 이 해역에서 안정을 장담할 수 없다. 반면 중국은 이미 에너지 수급의 다변화 전략을 실천에 옮기고 있다. 미얀마를 경유하는 송유관은 매년 2200만 톤의 원유를 내륙으로 끌어들이고 있으며, 러시아와의 동부 천연가스 라인은 중동 의존도를 실질적으로 줄이고 있다. 여기에 2024년부터는 사우디의 대중 원유 수출 60%가 위안화로 결제되면서, 달러 중심의 석유 거래 체계에도 균열이 생기고 있다. 중국 내부에서는 화석연료 자체의 의존도도 눈에 띄게 줄고 있다. 내몽골 사막지대에서는 세계 최대의 태양광-사막화 방지 복합 프로젝트가 추진되고 있으며, 칭하이성에서는 대규모 태양열 발전소가 사막의 태양을 전력으로 전환 중이다. 전기차의 보급률은 45%를 넘기며, 중국의 원유 수입 의존도는 73%에서 65%까지 떨어졌다. 에너지 전환의 흐름 속에서, 호르무즈 봉쇄론...

추천뉴스

포토뉴스

more +

HOT이슈

포토슬라이드

Q요즘 같이 금융이 급변하는 시기, 여러분은 재테크를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요즘 같이 금융이 급변하는 시기, 여러분은 재테크를 어떻게 하고 계신가요?

직접투자 12표 (29%)
직접투자 12표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