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中연길도심의 청나라건물

  • 기자
  • 입력 2013.10.25 15:43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이미지보기
현 연길시 인민정부(원 주정부)청사 북쪽에서 50메터 떨어진 주택구역에 완벽하게 보존된 청나라건물 수변루(戍边楼)가 있다.
 
이미지보기
100년도 넘는 력사의 세례를 거친 수변루. 지금 연길시 정부에서 정기적으로 보수하고 있다.
 
이미지보기
길림변무도독이란 오늘날의 주정부를 뜻한다.
 
이미지보기
1907년 7월에 연길변무방판(延吉边务帮办)으로 임명된 오록정(吴禄贞 1880-1911)이 바로 이 수변루에서 집무를 보았다.
 
오록정은 1911년 11월 7일에 원세개가 파견한 자객들에 의해 살해되였다.
1912년에 손중산은 오록정을 륙군대장군으로 추증하였다.
오록정의 유해는 1982년 3월에 석가장 장안공원 서북쪽에 있는 작은 토산우에 이장되였다. 묘지석 정중앙에는 “고 연진련군 대장군 수경 오공지묘(故燕晋联军大将军绶卿吴公之墓)”라는 14자가 새겨져 있다. 묘지의 전체 면적은 150평방메터이다.
 
1907년 7월에 오록정은 동북3성 총독 서세창을 따라 군사참의를 맡았다. 이때 일본은 중국의 간도지구를 삼키려고 여론을 조성하였다. 이때 오록정이 변강을 잘 지키는 제의를 하여 서세창은 오록정을 연길에 파견하여 변강사무조사를 했으며 연길변무방판으로 임명되였고 이 수변루에서 집무를 보기 시작했다. 8월에 오록정은 간도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는 일본의 음모를 분쇄했다. 오록정은 현지답사를 거쳐 "연길변무도"를 제작했다. 후날 중국측은 일본과의 담판에서 이를 중요한 의거로 삼았다.

일제가 천보산광산의 광주 정광제와 짜고들어 천보산의 광석을 강제적으로 일본으로 실어갈때 오록정은 날카롭게 맞서 천보산광산을 차압몰수하고 봉인을 붙여 나라의 주권을 보호하였다.

그후 간도사건에서도 오록정은 중국의 리익을 절실히 수호하여 "간도영웅"으로 추대되였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김문수 후보 민주화운동 보상금 10억 원 거부, 허위사실공표 공직선거법 위반 고발
  • 민주당, 김문수 후보 내란 선동 의혹 제기…“5·18 기념식 불참·극우 연대 비판”
  • 더불어민주당, 5·18 45주년 맞아
  • 中 상무부, 美 수출통제 조치 강력 반발…
  • 국민의힘
  • 모순의 집합체? 연변룽딩 이기형 감독의 빛과 그림자
  • 이재명 후보 노동계 지지 확산…전국 각지서 지지선언 잇따라
  • 민주당 광주-한국노총 광주,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대선 승리 함께”
  • 미중 무역긴장 완화 효과 가시화…이우 수출기업들, 미 주문 쇄도에 '분주'
  • 외국인 근로자 한국 사회 적응 돕는 맞춤형 한국어 교재 개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中연길도심의 청나라건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