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76초에 한 대…샤오미 공장이 바꾼 제조의 풍경

  • 화영 기자
  • 입력 2025.08.08 08:1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1000023439.jpg

 

[동포투데이]중국 베이징 이좡(亦庄) 경제기술개발구. 이곳에 자리 잡은 샤오미 자동차 공장은 바삐 돌아가지만 소란스럽지 않다. 인간의 구령도, 기계 소리도 크지 않다. 대신 일정한 속도로 작동하는 산업용 로봇들이 정해진 궤도를 따라 부품을 맞추고, 용접하고, 검사한다. 76초마다 완성차 한 대가 생산라인을 빠져나간다. 견학을 마친 사람들 사이에서는 자연스레 이런 말이 나온다. “앞으로 어떤 공장이 살아남을까?”


스마트폰 기업으로 출발한 샤오미는 이제 자동차 산업에 뛰어들며, 생산 방식 자체에 대한 발상을 전환하고 있다. 이 공장은 총면적 72만㎡ 규모로, 자동차 한 대를 만드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공정을 단일 부지 내에서 소화한다. 압주, 프레스, 차체, 도장, 최종 조립, 배터리 등 6개 핵심 공정을 하나로 통합한 이곳은 고도로 자동화된 설비를 중심으로 운영된다.

 

1000023437.jpg

 

공장의 중심에는 9100톤급 대형 다이캐스팅(압주) 장비가 놓여 있다. 이 설비는 기존에 70여 개 부품으로 나뉘어 있던 차체 구조를 하나의 금형으로 통합할 수 있다. 용접 포인트는 약 840개 줄었고, 차량 무게는 약 17% 가볍다. 무엇보다 공정 시간은 대폭 단축됐다. ‘부품을 조립해 차를 만든다’는 기존 개념에서, ‘차를 통째로 찍어낸다’는 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이다.


차체 공정은 사실상 로봇이 전담한다. 약 700대의 산업용 로봇이 200개가 넘는 공정을 수행하며, 자동화율은 100%에 가깝다. 사람 손은 거의 개입하지 않는다. 이 공정을 거친 차체의 불량률은 0.12%에 불과하다. 공정뿐만 아니라 검사 역시 기계가 맡는다. 공장 곳곳에는 인공지능(AI) 기반 검측 시스템이 설치돼 있어, 미세한 도장 불균형이나 부품 간극까지 자동으로 판별한다. 수작업 검수보다 수 배 빠르고 정밀하다.


샤오미는 자동차를 생산하는 기업이라기보다, 자동차를 ‘개발’하고 ‘구현’하는 플랫폼에 가깝다. 이 회사가 내세우는 건 속도나 가격만이 아니다. 기존 자동차 산업의 방식과 감각, 나아가 조직 구조와 인력 배치를 낡은 것으로 만든다. 샤오미 자동차 공장은 그 자체로 기술 중심 산업이 전통 제조업 구조에 던지는 무언의 도전이다.

 

1000023435.jpg

 

그만큼 질문도 함께 떠오른다. 이 공장이 보여주는 미래는 모두에게 같은 의미일까. 단순 조립이나 검사, 물류와 같은 업무는 이미 기계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변화의 압력은 산업 생태계 전반으로 확장된다. 그러나 이는 곧장 ‘일자리의 상실’로만 읽히지는 않는다. AI 알고리즘 설계, 로봇 유지보수, 공정 최적화 분석과 같은 새로운 직무가 생겨나고 있고, 사람은 그 안에서 다시 역할을 찾아야 한다. 전환이 가능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의 간극은, 산업보다 더 빠르게 벌어지고 있다.


샤오미는 아직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 확고한 점유율을 가진 기업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이 제시하는 생산 모델은 기존 완성차 업체들이 수십 년에 걸쳐 축적해온 체계와 관성을 정면으로 흔든다. 더 빠르게, 더 정밀하게, 그리고 인간의 개입 없이도 공장은 움직인다. 그 속에서 공장이라는 공간은 단지 노동이 일어나는 장소가 아니라, 산업과 사회의 재구성을 요구하는 무대가 되어가고 있다.


‘미래는 아직 오지 않았다’는 말은 이곳에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미래는 이미 전원을 켜고, 조용히 조립되고 있다. 사람 없는 공장에서 만들어지는 차 한 대 한 대가, 그 사실을 말없이 증명하고 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 바르셀로나, 4400만 유로 ‘콩고 후원’ 논란…“재정인가, 도덕인가”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 ‘축구굴기’는 실패했다…중국, 이제 아마추어에 열광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76초에 한 대…샤오미 공장이 바꾼 제조의 풍경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