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포투데이]맥도날드 중국이 연간 1천 개 매장 확장을 목표로 내건 ‘10,000개 매장 시대’가 성큼 다가오고 있다. 2028년까지 매장 수 1만 개 돌파를 예고한 이 야심 찬 계획은 단순한 외형 확장이 아니라, ‘중국화’ 전략을 바탕으로 한 현지 시장 깊숙한 뿌리내리기 실험에 가깝다. 맥도날드 중국의 수장 펠리스 정(Phyllis Cheung)은 “우리는 중국 팀과 중국의 속도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2017년, 중신자본(CITIC Capital)을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이 맥도날드 중국을 인수하면서 글로벌 브랜드에 현지 소유와 운영 권한을 부여하는 ‘골든 아치(金拱门)’ 체제가 출범했다. 8년이 지난 지금, 맥도날드 중국은 280여 개 도시에서 7,100개 이상의 매장을 운영하며 2017년 대비 세 배 이상 성장했다. 연간 고객 방문만 13억 건이 넘는다.
정 CEO는 “금궁문 모델은 단순히 브랜드만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현지에서 기민하게 움직이고 더 큰 영향력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라며 “우리는 중국에서 혁신을 만들고, 다시 그 혁신을 전 세계 맥도날드 시스템에 돌려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국 내에서 개발된 매운맛 메뉴 시리즈나 CUBE 스타일의 매장 디자인은 본사에도 적용 사례로 회자되고 있다.
현재 맥도날드 중국은 하루 평균 2~3곳씩 매장을 열고 있으며, 연말까지 닝샤와 칭하이 지역에도 진출해 중국 전역 모든 성급 행정구역에 매장을 갖추게 된다. 3·4선 도시로의 침투도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의 가성비 감각도 맥도날드 전략에 중요한 변수다. ‘비싸게 주고 사는 것’을 꺼리는 정서에 맞춰 22.9위안(약 4500 원)의 ‘빅바이트 세트’처럼 실속형 메뉴를 전면에 내세웠다. 아침 9.9위안 조식 세트, 피트니스 소비자를 겨냥한 고단백 버거 등도 이런 흐름의 연장선이다.
공급망은 이 같은 확장과 가격 전략을 지탱하는 또 하나의 축이다. 식재료의 90% 이상을 중국 현지에서 조달하며, 지난 5년간 120억 위안을 투자해 협력업체와 함께 독자적인 공급망 생태계를 구축했다. 이 과정에서 중국산 파이나 치킨 제품 일부는 글로벌 시장 유통 대상으로 검토되기도 했다.
디지털 전환도 맥도날드 중국의 또 다른 얼굴이다. 전체 주문의 90%가 모바일 기기나 키오스크를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6천 개가 넘는 매장에서 QR코드 기반 무인 픽업 시스템이 도입됐다. 정 CEO는 “고객이 스스로 주문과 수령 방식을 선택할 수 있게 됐다”며, 디지털 기술이 소비자 경험을 바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이용자를 겨냥한 실험도 이어지고 있다. 신에너지차(N.E.V) 운전자를 위한 음성 인식 드라이브스루 시스템도 시험 도입됐다. 단순한 메뉴 개발이나 시스템 개선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의 일상 속 ‘맥도날드 경험’을 바꾸는 방향으로 혁신의 무게추가 이동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변화는 철저히 ‘듣는 기업’이라는 원칙 위에서 작동하고 있다. 맥도날드 중국은 하루 2만 건 이상 쏟아지는 관련 소셜미디어 게시글을 분석하고, 정기적인 포커스 그룹을 통해 소비자 반응을 직접 듣고 반영한다. 정 CEO는 “중국과 함께 성장하는 것을 넘어, 중국 소비자들과 함께 브랜드를 공동 창조하겠다”고 강조했다.
BEST 뉴스
-
대림동, 극우 반중 시위…시민단체 맞불 집회로 충돌 일촉즉발
[동포투데이] 서울 최대 중국인 밀집 지역인 대림동에서 7월 11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 등 극우 성향 인사 약 40명이 반중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 ‘Only 尹’(윤석열 복직 요구)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중국은 물러가라”는 등 혐오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고, 중국계 주민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1회 발표회 성료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원장 김재욱)이 공동 주최한 ‘제11회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발표회’가 7월 14일 오후 1시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대 대학원 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을 잇는 정체성 교육’을 주제로 열... -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로이터 “내란죄 수사 탄력받아”
[동포투데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등 국헌 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혐의로 7월 10일 재수감됐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은 “서울중앙지방법원이 특별검사팀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하면서 윤 전 대통령은 다시 서울구치소로 돌아가게 됐다”고 전했다. ... -
더불어민주당 “모스탄 푸대접으로 한미관계 파탄? 국민의힘 가짜뉴스 비호 그만해야”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은 17일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이 모스 탄(Moss Tan) 씨에 대한 ‘푸대접’이 한미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준우 대변인의 발언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냐”며 공개 질의했다. 김 대변인은...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NEWS TOP 5
실시간뉴스
-
76초에 한 대…샤오미 공장이 바꾼 제조의 풍경
-
"AI, 챗봇 넘어 '공장'으로…中, 지능형 생산모델로 세계 시장 재편"
-
갈등 넘은 첫 발걸음… 모디 총리, 5년 만에 중국 방문
-
소문으로만 알던 땅, 마음이 머문 곳… 장쑤 청년이 만난 ‘연변’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맥도날드 중국, '현지화 속도'로 1만 개 매장 시대 연다
-
가짜 원사, 진짜처럼 통했다… 완샤오핑 사태가 남긴 질문
-
"中 자율주행차, 세계 도로 누빈다"…두바이부터 룩셈부르크까지 로보택시 진출 가속
-
태국 외교부, 캄보디아 지도자 암살 계획설 전면 부인
-
중국군 수뇌부 ‘줄줄이 실종’…건군 98주년 행사에 상장 7명 불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