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운남 6.6급 지진 발생...1명 숨지고 324명 다쳐
현내 9만 2700명 수재, 5만 6880명 긴급 전이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10월 7일 밤 21시 49분경, 중국 운남성 보이시 경곡태족이족자치현에서 6.6급의 지진이 발생해 엄중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조성됐다고 중국 신화통신, 중국신문망, 운남망 등 각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오늘 8일 새벽 4시 40분까지 지진으로 1명이 숨지고 324명이 다쳤으며 그 가운데 8명이 중상을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 현의 10개 향진이 정도부동하게 재해를 입었고 수재인구는 9만 2700명에 달하며 가옥 6508채에 1만 9524칸이 엄중히 손상되고 그 가운데 2169채에 6507칸이 무너졌다. 전이한 인구는 9만 2700명에 달하고 그 가운데 긴급 전이해 안치한 인구는 5만 6880명이다. 엄중히 손상된 저수지가 하나이고 이로 인해 위급상황에 처한 사람은 1300명에 달한다.
목전 재해상황은 진일보로 조사중에 있는 것으로 전했다.
지진 발생 후,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위탁을 받고 중공정치국 위원이고 중앙서기처 서기이며 중앙판공청 주임인 지전수가 첫 시간대에 운남성위 서기에게 전화로 당중앙을 대표하여 지진재해구 군중들에게 위문을 표하고 운남성에서 전력을 다해 지진재해 구조작업을 잘 할 것을 지시했다.
한편 리커챵 국무총리의 지시로 국가 재해감소위원회와 민정부에서는 국가 4급 구제 응급 경보를 발령하고 공작조를 지진 현지에 파견해 보내 구제작업을 지휘하게 했다.
초보적으로 이번 지진을 중대한 지진재해로 판정, 중국지진국에서는 2급 비상대응 경보를 발령했고 운남성에서는 1급 경보를 발령했다.
운남성에서는 지진발생 즉시 당, 정, 군이 현지에 도착해 구조작업에 투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진 전문가들은 향후 사흘 내에 5~6급의 여진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 대비할 것을 희망했다.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청도~훈춘 직통 고속철 개통…‘반나절 생활권’으로 동북·산동 잇는다
-
홍콩 지미 라이 재판, '국보법' 심판대에 오른 언론 자유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