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인도의 모디 정부가 오는 9월 18∼22일로 예정된 의회 특별회의에서 인도(India) 국가명을 ‘바라트(Bharat)’로 바꾸는 결의안을 제출할 것으로 보인다고 5일 인도의 현지 매체 ‘이코노믹타임스(Economic Times)’ 등 복수의 인도 언론이 보도했다.
‘인디아투데이’는 헌법 개정을 통해 인도를 ‘바라트’로 개명하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중앙정부가 인도의 국명을 다시 명명하는 결의안을 제출할 것이라고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코노믹타임스’는 아삼주 수석장관을 비롯한 여러 인도인민당 지도자들이 지난 5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인도의 국명을 ‘바라트’로 바꾸자는 지지의 목소리를 냈다고 덧붙였다.
모디 총리도 지난 2022년 8월 15일 연설에서 이 나라가 모든 노예제에서 벗어날 것을 촉구했다고 ‘인디아투데이’가 밠혔다. 모디 총리는 “대통령과 부통령, 총리를 실어 나르는 전용기에도 바라트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자이람 라메시 인도 국회의장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올린 글에서 인도 대통령궁이 다가오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가국 대표들에게 보낸 9월 9일 만찬 초대장에 통상적인 인도 대통령직인이 아닌 바라트 대통령직인이 찍혀 있다고 밝혔다.
인도 ‘타임스노우뉴스(TimesNowNews)’ 에 따르면, ‘바라트’는 산스크리트어 단어로 문자 그대로 ‘빛/지식을 찾는 자’를 뜻한다고 한다. 인도는 역사적으로 ‘빛/지식을 찾는 자’를 뜻하는 것을 ‘바라트’로 불렸다. 또한 ‘인도 익스프레스’에 따르면, ‘바라트’, 바라타(Bharata’ 또는 ‘바라트바르샤(Bharatvarsha)’의 어원은 고대 인도 문헌인 왕세서와 서사시 ‘마하바라다로 거슬러 올라가며'에서는 ‘바라타’를 남방의 바다와 북방의 설역 사이의 땅으로 묘사하고 있다. 고대 인도 아리아인 시절에는 바라트라는 현명한 군주가 있었다는 설도 있다. 인도(India)라는 명칭은 영국 식민지 시대에 비로소 정립되었을 정도로 역사가 비교적 짧다.
현지 매체는 앞서 인도 정부가 대법원에 인도 국명을 ‘인디아’에서 ‘인드라트(Indratt)’ 또는 ‘힌두스탄(Hindustan)’으로 바꾸자는 신청이 있었는데 ‘인디아’라는 단어는 외국 언어에서 유래됐고, ‘인드라트’ 또는 ‘힌두스탄’은 인도 역사 전통을 더 반영한다는 이유에서였다고 전했다.
‘이코노믹타임스’ 2020년 6월 4일 자 보도에 따르면 인도 대법원은 인도 국명 변경 신청을 기각했다. 판사는 인도 헌법에 ‘인디아’가 ‘바라트’라고 명기돼 있는데, 신청인이 왜 굳이 국명을 변경해야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국민의힘, 중국인 대상 ‘배척 법안’ 추진… “中 반격 대비는?”
[동포투데이] 한국에서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적 비자 면제 정책이 10월 초부터 시행된 가운데, 보수 야당인 국민의힘이 중국인을 특정 대상으로 하는 법안을 내놓아 논란이 일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산하 <This Week in Asia>는 14일, 국민의힘... -
“민화와 한글, 세계를 잇다”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4회 발표회 10월 20일 개최
[동포투데이] 문화가 무르익는 10월, 한류의 새로운 기둥으로 주목받는 한국 민화와 전 세계 한글학교, 그리고 동포 차세대가 한자리에 모인다.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한국전통문화원(원장 홍종진)과 함께 오는 10월 20일(월)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삼성로 642의 4층...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중국 3억 명 ‘싱글 세대’의 현실… 사랑보다 생존이 먼저
-
“120세 시대 연다?” 중국 바이오기업, 장수 약물 개발 착수
-
전라남도 인근 해상서 중국 어선 전복…2명 사망·3명 실종
-
“이젠 중국 기술이 세계 최고” 브라질 젊은층 사로잡은 ‘차이나 브랜드’
-
우전서 펼쳐진 ‘AI 향연’… 세계가 주목한 디지털 미래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
中 ‘푸젠함’ 취역… “美 해상 패권 흔드는 신호탄”
-
미스 유니버스 현장서 폭언 파문… 참가자들 집단 퇴장
-
시진핑, 첫 전자기식 항모 ‘푸젠함’ 취역식 참석…“강군 건설 가속화”
-
‘디지털 전환’으로 날개 단 연길… 전통산업에 새 활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