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 생육정책 조절 후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 발표

【동포투데이】김정 기자 = 일전에 있은 중공중앙 18기 3중전회에서는 부부중 일방이 독신자녀 출신일 경우 아이 둘을 낳을 수 있다고 명확히 제기했다. 이 소식이 전해진 후 즉시 공중들의 높은 중시를 불러일으켰는바 두번째 아이를 낳을 것인가, 낳지 않을 것인가는 목전 중국 국민들 앞에 나선 중요한 문제로 되고있다.
전국적인 조사 결과
지난 주 중국청년보 사회조사센터에서는 북경이파이조사회사를 통해 전국적인 범위에서 2316명 시민들을 상대로 생육계획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으며 결과 36.4%의 피방문자들이 이번에 생육정책이 조절된 후 두번째 아이를 낳을 계획이라고 답했고 37.3%의 피방문자들이 두번째 아이를 낳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으며 26.4%의 피방문자들이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답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이번 조사 대상자들중 부부 한측이 독신자녀 출신인 가정(单独家庭, 단독가정)이 26.8%, 부부 쌍방이 다 독신자녀 출신인 가정(双独家庭)이 16%, 부부 쌍방이 다 독신자녀 출신이 아닌 가정(非双独和单独家庭)이 44.2%였으며 13%의 피방문자가 아직 가정을 이루지 않았다.
단독가정의 피방문자중 생육정책이 조절된 후 두번째 아이 생육에 대해 고려해 보겠다고 답한 비례는 41.7%로 모든 방문자중 생육정책이 조절된 후 두번째 아이 생육을 고려하겠다고 답한 비례(36.4%)보다 훨씬 높았다.
피방문자중 1980년대 출생자가 50.8%였고 1970년대 출생자가 31%였으며 66.7의 피방문자가 대학 본과 및 그 이상의 학력자였다.
65.7%의 단독가정 피방문자들이 자기들 소재지에서 하루 속히 “부부중 일방이 독신자녀일 경우 두번째 아이 생육을 허용”하는 정책을 실시할 것을 희망했다.
두번째 아이 생육 이유
조사에서 두번째 아이를 생육할 계획이라고 밝힌 사람들의 이유는 “아이 하나면 너무 외롭다”가 53.5%로 가장 많았고 두번째 이유는 “부동한 성별의 아이를 갖고 싶다”로 26.9%, 세번째로는 “아이들을 너무 좋아한다”로 25%, 네번째로는 “아이 하나이면 혹시 앞으로 잘못되기라도 하면 우리는 고독하지 않겠는가”로 23.2%였다. 다음은 “향후의 양로에 대비해서”가 16.4%, “집안 노인님들의 요구이다”가 7.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반대로 두번째 아이를 낳지 않으려는 이유로 피방문자들은 첫번째로 “경제압력이 커서 키우기가 어렵다”를 꼽았는데 26.9%였고 두번째로는 “아이 둘을 키울 정력이 안된다”로 22.4%였다. 다음은 “일이 바빠 아이를 더 낳아 키울 시간이 없다”가 11%, “아이를 더 낳으면 직장에서의 발전에 영향줄 것이다”가 3.9%, “아이를 썩 좋아하지 않는다”가 1.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정책 조절 후 초기 생육고봉이 올듯
화중과학기술대학 인구연구소 소장 스런빙 교수는 당전의 생육정책 조절은 매우 적시적이라며 “한쌍의 부부가 아이 하나씩 낳는” 계획생육정책은 실시 40여년래 중국의 인구와 사회, 경제, 자원, 환경의 협조적인 발전에 거대한 기여를 했다고 긍정하고 나서 하지만 당면 중국은 극히 저생육률국가 행렬에 들어섰는바 중국의 년 출생 인수가 선명하게 감소되고 있고 노동년령 인구가 감소되기 시작하는 등 변화가 나타나 생육정책을 조절하지 않으면 안되게 됐다고 지적, 목전의 생육정책 조절은 출생인수를 증가시키고 중국의 인구이익기(人口红利期)를 연장시키며 인구의 노령화를 늦추는데 적극적인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일부 국민들의 생육수요를 만족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생육정책 조절로 하여 생육고봉기가 오지 않겠는가는 우려에 대해 그는 만일 전국적으로 동시에 생육정책을 조절한다면 조절초기의 몇년간 전국적으로 해마다 아이가 정책 조절전의 15%~20% 가량 더 많이 태여날 것이며 그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출생인구수가 감소될 것이라며 “생육이 초기에 한꺼번에 밀리는 것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사 가운데서 61.7%의 피방문자들이 당면의 단독가정의 두번째 아이 생육허가정책도 좋지만 하루 속히 두번째 아이 생육을 전면 허용하길 희망했다.
정책제한 고려하지 않는다면…
한편 만일 정책제한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아이 몇을 낳으려 할가?
이를 두고 조사 가운데서 4.2%의 피방문자들이 아이를 낳지 않으려 했고 21.7%의 피방문자들이 아이 하나를 낳으려 했으며 62.5%의 피방문자들이 아이 둘을 낳으려 했고 5.9%의 피방문자들이 아이 셋 또는 그 이상을 낳으려 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동포투데이] 28일 오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인민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 기념행사’의 기자회견에서 외빈 명단이 공개됐다.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초청으로 26개국 국가원수 및 정부 수반이 이번 기념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참석 예정 인사로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 -
중국인만 노린 폭행…혐오 범죄에 면죄부 있어선 안 된다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사건은 우리 사회가 얼마나 쉽게 혐오와 차별의 늪에 빠져드는지를 보여준다. 중국어를 쓴다는 이유만으로 낯선 이들을 뒤쫓아 욕설을 퍼붓고, 심지어 소주병으로 머리를 내려친 행위는 단순한 폭력이 아니라 명백한 혐오 범죄다. 서울서부지방법원은 지난달 21일, 중국인 관광... -
이재명 대통령 “명동 혐중 시위, 표현의 자유 아닌 깽판”
[동포투데이] 이재명 대통령은 9일 오후 국무회의에서 최근 서울 명동 일대에서 이어지고 있는 반중 집회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해당 집회를 “관광객을 모욕하는 깽판”으로 규정하며, 단순히 ‘표현의 자유’로 치부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회의에서 국무위원들에게 “외국에 가서 ‘어글리 코... -
갯벌 고립 중국인 노인에 구명조끼 내준 해경, 끝내 순직
△해양경찰관 고 (故)이재석 경사. 인천해경 제공 [동포투데이] 인천 앞바다에서 고립된 중국인 노인을 구하려던 해양경찰관이 끝내 순직했다. 위험에 처한 이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건네고 물살에 휩쓸린 그는 몇 시간 뒤 숨진 채 발견됐다. 11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영... -
“핵미사일·스텔스 전투기 총출동…세계 언론, 중국 열병식 충격 보도”
[동포투데이] 중국 인민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 전쟁 승리 80주년을 기념하는 대규모 열병식이 3일 오전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열리자, 세계 주요 외신들이 이를 일제히 주목했다. 열병식 시작 전, 미국 CNN은 “이번 열병식에서 첨단 무기가 대거 공개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CNN 기자는 현장에서 “광장에는 ...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동포투데이] 중국인 관광객이 급격히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관광지의 쓰레기 문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그런데도 온라인 공간에서는 “쓰레기의 주범은 일본 관광객”이라는 주장까지 등장해 눈길을 끈다. 이는 오래된 반중 정서가 이번에는 다른 나라로 옮겨 붙은 사례라는 지적도 나온다. 환경부의 &l...
NEWS TOP 5
실시간뉴스
-
APEC 계기, 이재명-시진핑 한중 정상회담 조율 중
-
이재명 “한국, 미·중 사이 교량 역할”…실현 가능성은 숙제
-
中 관영매체 “韓 총리, 필요 시 반중 집회 강력 제재”
-
홍콩서 65kg 황금 대형 강도 사건 발생…경찰, 용의자 7명 체포
-
중국 외교부 “황옌다오, 중국 고유 영토…필리핀 항의 수용 못해”
-
김정은, 건국 77주년 기념사…“조선의 지위와 안전은 절대 불가침”
-
김정은, 중국 방문 마치고 귀국…“중국의 성의에 감사”
-
中 공안, ‘9·3 열병식’ 비방 40대 네티즌 구금
-
시진핑·김정은 회담…“북·중 전통친선 계승, 전략적 협력 강화”
-
포토뉴스|시진핑-김정은, 베이징서 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