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보기 드물게 인권설명회 소집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북한 유엔상주대표단은 7일, 유엔 회원국 대표들과 언론기자들을 초청해 뉴욕 유엔총부에서 보기 드문 “조선인권설명회”를 가졌으며 외계의 질책에 답변하고 아울러 북한 인권에 부족점이 있음을 시인, 앞으로 인민생활 수준 제고에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중국 신경보가 9일 전했다.
설명회에서 북한 고위외교관 최명남은 “우리의 사회는 전환기에 처해 있습니다. 우리의 발전에 따라 경제 및 기타 영역에서 일부 문제들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앞으로 더욱 많은 주택과 사회시설들을 건설해 인민들에게 더욱 좋은 생활조건을 제공할 것입니다”고 말했다.
일전 유엔인권이사회 북한인권상황조사위원회는 9월 13일, “북한 인권정책과 인권보장제도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대해 북한 측은 적대세력들이 지속적으로 북한 “인권문제”를 퍼뜨리며 국제사회에 황당한 요언을 날조한다고 질책했었다.
최명남은 7일에 있은 인권설명회에서 북한 인권상황에 대한 비평의 목소리를 완화시키려 했고 회의 참가자들의 제문에도 답했다.
그는 북한에는 “집중영”이 없다고 재언명하고 나서 “구류센터”는 있다고 시인, “일부 사람들이 그 곳에서 착오를 반성하고 사상인식을 제고하며 아울러 노동을 통해 개조한다”고 말했다.
이날 북한 유엔상주대표 이동일은 “일전 조선은 유럽연맹 총부를 방문해 인권문제를 두고 유럽과 대화할 의향을 밝혔으며 명년에 대화를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날 북한 인권설명회가 있은 후, 총부가 미국 워싱턴에 있는 “조선인권위원회” 측은 북한이 “노동개조영”이 있음을 시인했고 또 북한인권을 두고 의논(대화)하기로 했다는 것은 “북한이 정확한 한 걸음을 내디딘 것이다”고 평가했다.
비정부기구 “인권관찰”은 북한의 그 같은 거동은 매우 놀라운 일이라고 인정했다.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청도~훈춘 직통 고속철 개통…‘반나절 생활권’으로 동북·산동 잇는다
-
홍콩 지미 라이 재판, '국보법' 심판대에 오른 언론 자유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세계 권력 지형, 여전히 미·중 양강…한국도 ‘신흥 강국’ 반열에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美 알래스카 호텔서 美·러 정상회담 기밀문서 발견…일정·좌석표·선물 내용까지 노출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