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에 강제압송하지 않고 한국정부에 넘겨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중국 변방무장경찰 측은 일전, 중국과 라오스 변경에서 북한으로부터 온 11명의 “탈북자”들을 붙잡았으며 대부분 20, 30세의 젊은 여성들이고 4살 되는 아동도 있었다.
이들 “탈북자”들은 견결히, 죽어도 북한으로 돌아가지 않겠다고 했고 중국정부도 이례적으로 그들을 전부 석방, 강제로 북한에 압송해 가지 않고 한국정부에 넘겼다고 중국 텅쉰망이 외신의 보도를 인용해 전했다.
라오스,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탈북” 경로
20세기 90년대, 북한은 연이어 자연재해와 서방국가들의 제재를 받으며 경제가 극히 어려웠고 따라서 탈북자 수가 급격히 증가했다. 목전 김정은이 집권한 후 탈북자 수가 격감되는 추세인 것으로 알려졌다.
탈북자 수의 증가를 막기 위해 북한과 중국은 변경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감시카메라까지 설치했었다. 가장 많이 이용되는 탈북경로로는 중국―북한 변경을 넘은 후 라오스를 경과해 한국에 입국하는 것이다.
일부 탈북자들은 캄보디아거나 베트남, 또는 태국을 거치고 지어 일부 탈북자들은 메콩강을 건넌 후 직접 태국 경찰국에 자수하기도 한다.
태국은 탈북자들을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고 그들을 “비법입경” 죄명으로 법원에서 판결하거나 짧은 기간 동안 구류한 후, 탈북자들을 한국영사관에 넘겨 처리하게 하며 그들이 한국으로 갈 수 있도록 배치해 주기도 한다.
탈북에 소요되는 시간과 자금
탈북자들이 자체로 목숨을 내걸고 중국―북한 변경을 넘는 외 일반적으로 일부 비정부기구거나 종교단체, 그리고 중개기구에서 북한인들의 탈북을 도와준다. 탈북한 후 한국에 이르기까지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개월에서 수년에까지 부동하다.
비정부기구와 종교단체들은 주로 모금으로 자금을 해결하지만 중개기구는 탈북자 인당 수천달러―수만달러 부동한 가격을 보수로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청도~훈춘 직통 고속철 개통…‘반나절 생활권’으로 동북·산동 잇는다
-
홍콩 지미 라이 재판, '국보법' 심판대에 오른 언론 자유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