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신임 사무총장 마르크 뤼터가 회담 뒤 가장 먼저 해야 했던 일은 ‘정치적 성과’ 자랑이 아니라 ‘말실수 해명’이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아버지(papa)”라 불렀다는 논란이 불거지자, 뤼터는 서둘러 “그런 표현을 쓴 적 없다”며 진화에 나섰다.
26일 독일 남독일신문 보도에 따르면, 뤼터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중 열린 첫 나토 정상회의에서 회담의 성패를 쥔 미국 대통령에게 아낌없는 ‘예우’를 보였다. 회담 전후로 뤼터는 트럼프에 대한 찬사와 협력 의지를 반복해 드러냈고, 정상회의 역시 사실상 트럼프를 중심으로 돌아갔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논란의 발단은 기자회견 도중 트럼프가 중동 정세를 두고 “이란과 이스라엘은 마치 싸우는 두 아이 같다”고 발언한 직후, 뤼터가 “그렇다면 아버지는 때로 단호한 말을 해야 한다”고 맞장구친 대목이었다. 이를 두고 “뤼터가 트럼프를 ‘아버지’라 불렀다”는 보도가 이어지자, 뤼터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는 트럼프 대통령을 개인적으로 ‘아버지’라고 부른 적 없다”고 해명했다. 그는 “맥락상 중동 국가들에 대한 비유였을 뿐이며, 나를 포함한 유럽 국가들이 미국에 의존적이라는 인식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아버지’라는 말을 쓴 것”이라고 말했다.
뤼터는 이어 “유럽의 몇몇 국가들이 ‘미국이 우리 곁에 머물까?’라고 묻곤 한다”며, “그럴 때면 나는 ‘아이들이 아버지에게 집에 있어줄 거냐고 묻는 것과 같다’고 표현하곤 했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기자들이 “트럼프에 지나치게 저자세로 보였다”고 지적하자 “그건 개인적 취향의 문제”라고만 짧게 답했다.
하지만 뤼터의 ‘공손함’은 회담 현장에서만 나타난 게 아니었다. 회담에 앞서 뤼터는 트럼프에게 보낸 개인 메시지를 통해 “당신은 미국과 유럽, 전 세계에 결정적 전환점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수십 년간 그 누구도 이루지 못한 성과를 낼 것”이라고 치켜세웠고, 트럼프는 해당 메시지를 직접 공개했다. 이 역시 유럽 내부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뤼터는 네덜란드 총리를 지낸 보수 정치인으로, 2025년 10월부터 나토 사무총장으로 공식 취임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나토 내부의 분열 우려를 잠재우고 미국의 확고한 참여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었지만, 그 과정에서 유럽 수장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과도하게 기대고 있다는 인식만 더 키운 셈이 됐다.
국제정치 전문가들은 “동맹을 위한 유연한 표현이 때론 자존심의 경계를 넘는다”며 “뤼터의 발언은 동맹 외교의 현실과 그 안에 내포된 권력관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고 지적한다.
BEST 뉴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더불어민주당 “모스탄 푸대접으로 한미관계 파탄? 국민의힘 가짜뉴스 비호 그만해야”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은 17일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이 모스 탄(Moss Tan) 씨에 대한 ‘푸대접’이 한미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준우 대변인의 발언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냐”며 공개 질의했다. 김 대변인은...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광명 아파트 주차장 화재… 3명 숨지고 65명 부상, 전기차 연관 여부 수사 중
[동포투데이] 경기도 광명시의 한 아파트 단지에서 한밤중 발생한 대형 화재로 3명이 숨지고 60여 명이 부상을 입는 참사가 벌어졌다. 불길은 아파트 1층 필로티 구조의 주차장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화재 원인과 함께 전기차 연관성에 대한 조사도 병행되고 있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불은 17일 오...
실시간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로이터 “내란죄 수사 탄력받아”
-
“계엄령 대통령” 윤석열, 재구속…BBC “한국 정치 위기의 상징”
-
“차라리 중국에 편입되는 게 낫겠다”…독일 리튬기업 CEO, EU ‘탈중국’ 전략 정면 비판
-
EU “디지털 규제, 협상 대상 아냐”…美 관세 압박에도 원칙 고수
-
“MI6에 러시아 첩자 있다”…CIA 경고로 시작된 20년 추적, 끝내 빈손
-
"아버지라고 부른 적 없다"…뤼터, 트럼프에 ‘굴욕 발언’ 해명
-
나토 정상회의, “트럼프 맞춤형” 선언문… 흔들리는 연대의 민낯
-
뤼터 “중국이 대만 공격하면 러시아 끌어들일 수도”… 나토, 아시아 개입 명분 쌓기
-
EU, 중국 희토류 통제에 경고… “이제 우리도 똑같이 대응할 것”
-
“현실주의로 中과 마주해야”... 中·EU 관계에 신중론 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