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인물포토】쟝칭이 질투했던 민국시기 “사교계의 꽃” 쉬라이
한시기 중국의 제1부인이었던 쟝칭(江靑)은 민국시기에도 영화계의 한떨기 꽃이었다. 청순한 미모와 뛰어난 연기력, 모든 것은 당시 많은 남성들한테 매력적으로 다가왔었다. 하지만 민국시기 천하의 내노라 하던 쟝칭도 질투하는 여인이 있었으니 그녀인즉 당시 사교계의 꽃으로 불린 쉬라이(徐来)었다.
쉬라이(1909년 – 1973년 4월 4일), 영화배우이고 원명은 쉬제펑(徐洁凤)이다. 지난 세기 20연대 후기 상하이 중화가무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중화가무단에 입문, 쉬라이는 수차 가무단을 따라 광둥, 샹강(香港) 등지에 가서 공연했고 1928년에는 태국, 싱가폴, 자바(爪哇) 등 나라를 돌며 순회공연을 하기도 했다.
옛상하이 영화잡지 “량유(良友)”는 언제인가 당시 영화계에서 잘 나가는 여성스타들의 합영사진을 표지에 게재했다. 그들로는 후데(胡蝶ㅡ 뒷줄 제일 가운데) , 쉬라이(뒷줄 오른쪽 첫번째), 천옌옌(陈燕燕ㅡ 앞줄 가운데), 왠링위(阮玲玉ㅡ 뒷줄 오른쪽 두번째), 왕런메이(王人美 앞줄 오른쪽), 왠미윈(袁美云ㅡ 앞줄 왼쪽), 리밍휘이(黎明晖ㅡ 뒷줄 왼쪽 두번째), 예츄신(叶秋心ㅡ 뒷줄 왼쪽 첫번째) 등이었다.
1932년 쉬라이는 상하이 밍싱영화공사(明星影片公司) 배우로 데뷔, 선후로 “화산염사(华山艳史)”, “서북행(到西北去)”, “여아경(女儿经)” 등 영화에서 여러가지 역을 감당했다. 1935년 쉬라이는 “선가녀(船家女)”의 주인공을 맡고 압박받고 유린당하는 뱃사공 처녀의 형상을 성공적으로 소화해냈다. 그 해 쉬라이는 영화계에서 은퇴, 지난 세기 40연대말에는 샹강(香港)으로 이주했다.
상냥하고 틀거지가 없는 쉬라이는 평소 영화팬들한테 항상 가까이 접근, 그녀의 팬들이 많고도 많았다. 그녀는 자주 사인비서를 시켜 자기한테로 온 팬들의 편지를 정리처리했으며 팬들에게 자주 회답편지를 쓰기도 했다. 그녀는 영화배우중 선참으로 여비서를 둔 여인이었고 후에는 자가용도 구입, 양네메이(杨耐梅)에 이어 두번째로 자가용을 갖춘 여자 영화배우가 됐다.
쉬라이가 촬영한 영화는 많지 않으며 영화계에서 활동한 시간도 3년에 불과하다. 하지만 그녀의 미모는 영화권과 사교계의 화제로 되었다. 당시 그녀가 어디에 나타나면 곧 사람들의 눈길이 집중되었으며 그녀에 대한 의논뿐이었다. 당시 쉬라이는 사교계에서 “표준미녀”란 미명을 얻게 되었고 그것으로 그녀는 생활에서 명성에 지치기도 했다.
쉬라이는 평소 춤추고 웃고 떠들기를 좋아하여 많은 사람들한테서 인기가 높았다. 또한 그녀는 무도청 등 사교장소에 자주 출입하면서 허다한 국민당 고위관원들과도 내왕이 빈번했다. 당시 많은 남성들이 그녀를 사모하면서 쉬라이의 치마밑에 굴복했다고 한다.
쉬라이가 출연한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거의 모두가 그녀의 미모를 인정, “표준미녀”란 칭호는 그냥 얻어진 것이 아니었음을 알게 된다.
쉬라이는 뤼진후이(黎锦晖)가 세운 “밍웨이사(明月社)”에도 출입, 가무를 배웠을뿐만 아니라 밍웨이사를 도와 내부관리와 공공사무도 협조해주군 하였다. 그때로부터 쉬라이는 자신도 모르게 “사교계의 꽃”으로 등극되었다.
여스타의 일거일동은 원체 쉽게 많은 이슈를 낳기 마련이다. 쉬라이도 만찬가지었다. 결혼후에도 쉬라이는 자주 유언비어에 말려들군 하였다.
항일전쟁시기 국민당의 고위관원 탕성밍(唐生明)은 아내 쉬라이를 데리고 상해에서 일본에 투항, 그 뒤 쉬라이는 일본인들과 더불어 많은 합작으로 하면서 “다한젠(大汉奸)”으로 되었다.
BEST 뉴스
-
새로운 시작, 문화와 통합의 시대를 열며...
지난 시기, 우리 사회는 그야말로 격랑의 시간을 지나왔다. 헌정 질서에 심각한 혼란을 야기한 초유의 사태와 정치적 불안정, 그로 인해 국제사회에서 추락한 국격은 국민 모두에게 깊은 상처와 실망을 안겨주었다. 하지만 우리는 알고 있다. 위기는 언제나 새로운 기회의 문을 연다는 사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눈감은 리더십, 침몰하는 중국 축구…‘자격 없는 자’의 민낯
● 허훈 중국 축구 팬들이 마침내 인내의 한계를 넘어섰다. 전국 각지에서 터져나온 “郑智(정즈) 퇴진하라”는 외침은 단순한 성적 부진에 대한 분노가 아니다. 그것은 책임 회피, 불통, 무능, 나아가 인격적 결함에 대한 총체적 거부의 신호탄이다. 그리고 그 한가운데에, 자리를 비워야 마땅할 정즈가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
-
중국 5대 종교 중 신도가 가장 많은 종교는?
-
중국 유명 역사 이야기 10편 01 : 와신상담 (卧薪尝胆)
-
진실된 이미지로 대국 저력 보여주는 중국 대도시들(베이징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