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중국 지린성 왕칭현(汪清县) 열사릉원에 안장된 일본인 열사 이다 스케오(伊田助男, 1904-1933)의 이야기가 최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재조명되고 있다. 그의 생애와 희생은 중·일 간 역사적 갈등을 넘어서는 감동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양국 네티즌들의 공감을 사고 있다.
일본군의 총알 10만 발, 반전 영웅의 고백
1933년 3월, 동북항일연군 제2군 독립사 전사들은 일본 관동군과의 전투 중 비극적인 발견을 했다. 일본군 보급 트럭이 숲속에 방치되어 있었고, 그 안에는 10만 발의 실탄과 한 통의 유서가 있었다. 유서에는 이다 스케오의 고백이 담겨 있었다.
"친애하는 중국 유격대 동지들, 당신들은 애국주의자입니다. 저는 당신들과 만나고 싶지만 파시스트 야수들에게 포위되어 갈 길이 막막합니다. 자결을 결심했습니다. 이 10만 발의 총알을 당신들에게 보냅니다. 일본군 파시스트를 향해 쏘아주십시오."
양심적 선택의 역사적 의미
기록에 따르면, 이다 스케오는 일본 관동군의 운전병으로서 중국 내에서의 일본군의 만행을 목격하며 큰 정신적 고통을 겪었다. 그는 결국 그가 운반한 무기를 항일 유격대에 넘기고 권총으로 생을 마감했다. 이 사건은 일본군 내부에 큰 충격을 주었다.
중국 역사학자 리챠오밍(李超明) 교수는 "그는 단순한 반전주의자를 넘어 국제주의 정신의 상징"이라며, 그의 선택은 일본군 내부에서도 소수의 양심적 인물들이 저항한 증거라고 설명했다. 일본의 진보적 역사연구단체 '전쟁책임자료센터'는 그를 '군국주의 시대 양심의 목소리'로 평가했다.
세대를 넘어 잊히지 않는 기억
이전조남의 이야기는 8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회자되고 있다. 왕칭현 열사릉원 관계자는 “일본 방송국이 그의 이야기를 다큐멘터리로 제작하려 했으나 극우단체의 반대로 무산됐다”고 전하며, 매년 9·18 사변 기념일에는 중국과 일본의 시민단체들이 공동 추모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2015년 항일전쟁 70주년을 맞아 중국 정부는 이다 스케오를 '국제주의 영웅'으로 재조명하고, 지역 교육 과정에도 그의 이야기를 포함시켰다.
오늘날의 교훈과 평화의 메시지
이다 스케오의 희생은 현대 중·일 관계에도 여전히 중요한 교훈을 던진다. 중국 네티즌들은 "한 개인의 용기가 국가 간 적대를 넘어설 수 있음을 증명했다"며 SNS 상에서 일본영웅 이다스케오 사적을 올리며 그를 기리었다. 일본 내부에서는 극우 세력이 그의 존재를 부정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교토대학 사학과의 나카무라 교수는 그의 선택이 전쟁의 광기 속에서도 인간의 양심이 살아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했다.
현지 주민 왕밍(王明) 씨는 "할아버지께서 직접 그 분이 남긴 총알로 일본군과 싸웠다"며, "진정한 영웅은 국경을 초월한다"고 이야기했다. 이다 스케오의 이야기는 전쟁의 상흔을 딛고 평화를 갈구하는 오늘날의 시대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 이 영웅의 기억은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며, 역사 속 진정한 인간다움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BEST 뉴스
-
극우, 이제는 때려잡아야 할 때
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 -
인천 앞바다의 선택, 인간애가 남긴 울림
며칠 전 인천 앞바다에서 있었던 구조 소식은 제 마음을 오래 붙들었습니다. 34살 해경 이재석 경장은 새벽 바다에 뛰어들어 위기에 처한 중국인 노인에게 자신의 구명조끼를 내주었습니다. 그리고 그는 끝내 돌아오지 못했습니다. 한밤중의 차가운 바다, 거센 파도 속에서 그는 왜 그런 결정을 내렸을까요... -
“터무니없는 괴담, 정치 선동의 불쏘시개 될라”
글 | 허훈 최근 온라인 공간에 떠도는 ‘중국인 괴담’은 위험 수위를 넘고 있다. “내년까지 중국인 2천만 명이 무비자로 들어온다”, “아이들이 납치돼 장기 적출을 당한다”는 식의 주장들이 버젓이 퍼지고 있다. 터무니없는 거짓말임에도 수백 명이 ‘좋아요’를 누르고 수십 차례 공유하...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6일 아침, 백두산 자락은 맑은 하늘 아래 싸늘한 기운으로 뒤덮여 있었다. 정상에 오르는 길목에는 이른 시간부터 수많은 인파가 몰렸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카메라를 든 한국인 청년들, 러시아와 몽골에서 온 관광객들까지, 백두산은 말 그대로 인산인해였다. 긴 오르막을 지...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
[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동포투데이] 백두산 자락을 따라 동쪽으로 내려서면 용정시 명동촌이 나온다. 소박한 기와집과 푸른 담장이 맞아주는 이 마을은 시인 윤동주(1917~1945)의 고향이다. 그러나 이곳은 한 시인의 생가를 넘어선다. 근대 조선 민족운동의 요람이자, 교육·종교·문화가 교차한 북간도의 심장부였다. 1906년 서전서...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