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2025년 9월 25일, 기자는 길림성 용정시 명동촌을 찾았다. 이곳은 애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태어나고 자란 마을이다. 복원된 생가는 소박하게 서 있고, 그 앞마당에는 여전히 들판에서 불어온 가을 바람이 머문다.
마을 입구의 표지석은 단순히 한 시인의 흔적만을 가리키지 않는다. 명동촌은 20세기 초 수많은 한인 이주민들이 정착하며 민족교육과 독립운동의 거점이 된 공간이었다. 윤동주의 삶과 시는 그 이주사와 겹쳐 있다.
1900년대 초, 일본의 토지 수탈과 가난을 피해 수만 명의 조선인들이 북간도로 이주했다. 척박한 땅에서 살아남기 위해 그들은 농사를 지었고, 동시에 민족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학교와 교회를 세웠다. 명동학교는 그 대표적인 사례였다. 윤동주는 명동학교에서 기초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이 학교는 단순한 배움터가 아니라 민족교육의 요람이었고, 독립운동 인재들을 길러낸 터전이었다. 교육과 신앙, 공동체 의식은 윤동주의 시 세계에도 깊은 흔적을 남겼다.
연희전문(현 연세대 전신)에서 공부하던 그는 문학적 자의식을 키워갔다. 그러나 식민지 현실은 그의 시에서 늘 부끄러움과 성찰로 나타났다. 그는 이렇게 썼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이 짧은 다짐은 개인의 윤리적 고백을 넘어, 식민지 시대를 살아가는 젊은 지식인의 절박한 호소였다. 일본 유학 중 항일 혐의로 체포된 그는 1945년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했다. 스물여덟의 짧은 생이었다.
명동촌 생가를 지키고 있는 한 관계자는 “윤동주 시인은 우리 조선족 사회의 자랑”이라며 이렇게 증언했다.
“일본 순사들이 이 마을을 수시로 드나들었고, 청년들이 잡혀가기도 했지요. 시인도 결국 그 길을 벗어나지 못했어요. 지금도 학생들이 찾아와 ‘서시’를 낭송하는데, 그럴 때마다 우리가 지켜온 역사가 이어지고 있다는 걸 느낍니다.”
윤동주의 작품은 단순한 서정시가 아니다. 그것은 해외로 흩어진 한인 공동체의 상처와 저항, 그리고 자기 성찰이 교차하는 문학적 산물이다. 별과 바람, 하늘 같은 상징들은 자연의 이미지이자, 떠도는 디아스포라의 운명을 비추는 거울이었다.
오늘날 명동촌 생가와 명동학교는 조선족 사회뿐 아니라 한국과 해외 동포들에게 중요한 ‘기억의 장소’가 되고 있다. 이곳은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한인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항일운동, 그리고 문학적 저항을 동시에 품은 현장이다.
생가 앞마당에서 불어온 바람 속에서 기자는 다시금 시인의 목소리를 떠올렸다.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국경을 넘어 이어지는 그 다짐은 지금도 여전히 유효하다.
BEST 뉴스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실시간뉴스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
-
백두산 현장르포② | 폭포 앞에서 듣는 사람들의 이야기
-
[기획연재②]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교육·신앙·항일의 불씨
-
[기획연재①]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문학, 민족, 그리고 기억의 장소
-
백두산 현장르포① | 민족의 성산, 천지를 마주하다
-
“해방군인가, 약탈군인가”…1945년 소련군의 만주 진출과 동북 산업 약탈의 기록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
여성 우주인, 왜 우주비행 전 피임약을 먹을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