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매장 청소공 최고가 명화를 쓰레기인줄 알고 쓰레기처리장에 내다버려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홍콩언론에 따르면 보리홍콩봄철경매회에서 보기 드문 명화가 실종된 사건이 발생, 낙찰가격이 근 3000만 홍콩달러에 달하는 명화가 경매가 결속된 후 기이하게 사라졌다고 신화망이 보도했다.
소실된 작품은 엄동설산의 풍경을 그린 수묵회화―“산색이 창망해 설천을 빚다”로 중국 당대 저명한 서화가 최여탁이 2012년에 그린 명작, 길이 179센티미터, 너비 381센티미터이며 7일에 있은 경매회에서 2875만 홍콩달러에 낙찰됐다.
이 작품은 보리홍콩경매유한회사 “2014년 봄철경매회”의 중점작품이였다.
경매회사 측에 따르면 4월 7일 밤에 있은 경매회에서는 최여탁의 작품 22점이 전시되었는데 총 예상가격은 1억 5000만 홍콩달러, 최종 16점이 성공적으로 낙찰됐다. 그 가운데서 “단풍백설두루마리” 한점이 1억 8400만 홍콩달러에 낙찰돼 최여탁 작품 경매기록을 냈고 “산색이 창망해 설천을 빚다”가 2875만 홍콩달러로 낙찰됐다.
7일 밤 경매회가 끝난 후, 경매회사 직원이 경매품들을 일일이 점검하다가 “산색이 창망해 설천을 빚다”가 실종된 것을 발견하고 이튿날인 8일, 경찰에 신고했다. 경찰은 페회로 텔레비전을 보고 그 어떤 의심되는 점도 발견하지 못했다. 하지만 조사에서 청소공이 경매장을 청소하면서 그 명화를 쓰레기로 간주하고 쓰레기차에 실어갔음이 발견됐다. 이미 명화가 둔문쓰레기처리장에 매장되었을 것으로 경찰은 추정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동포투데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 수립 과정에서 국민들의 온라인 의견을 적극 반영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이번 의견 수렴 과정을 “전 과정 인민민주주의의 생생한 실천”이라고 평가하며, 각급 당위원회와 정부가 국민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폭넓게 민의... -
재외동포청-기초지자체 맞손… “국내 체류 동포 정착, 함께 돕는다”
[동포투데이]재외동포청이 지방자치단체들과 손잡고 국내에 체류 중인 귀환 동포들의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돕기 위한 협력에 본격 나선다. 재외동포청(청장 이상덕)은 7월 30일 인천 연수구 본청에서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대표회장 조재구 대구 남구청장)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제11회 발표회(7.14) 전경 (사진제공=지구촌 한글학교 미래 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총장 최용주)가 오는 8월 19일 오후 1시, 서울 서대문구 신촌로에 위치... -
전 연인 살해하고 도주한 20대, 24시간 만에 검거…체포 직전 극단 선택 시도
[동포투데이]전 연인에게 흉기를 휘두르고 달아났던 20대 남성이 범행 하루 만에 경찰에 붙잡혔다. 피의자는 체포 직전 음독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현재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다. 대전서부경찰서는 30일 오전, 살인 혐의로 A(20대)씨를 대전 중구 산성동의 한 지하차도 인근에서 긴급체포했다고 밝혔다. ...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동포투데이] 8월 6일 오전,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에서는 정적이 흐른 가운데 8시 15분 정각, 평화의 종이 울렸다. 80년 전 같은 시각, 미군의 B-29 폭격기가 ‘리틀보이’라는 이름의 원자폭탄을 투하하며 이 도시는 순식간에 폐허가 됐다. 14만 명이 목숨을 잃었고, 그날의 상흔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시진핑·푸틴·김정은, 이례적 한자리에…“북한 외교 노선 변화 신호”
-
중국 전승절 기념 행사, 日 전 총리 포함 외빈 명단 공개
-
연변 현장 탐방에 나선 기업인들 “산업·문화 자원 풍부”
-
김정은, 중국 전승절 80주년 기념행사 참석…북중 밀착 과시 전망
-
연길, 외국인 관광객 몰려…도시 곳곳 ‘국제적 풍경’
-
“中 국경 27km 앞 북한 비밀 ICBM 기지”…美 본토까지 겨냥한 김정은의 계산법
-
中, ‘우크라이나 평화유지군 파견’ 소문 공식 부인
-
장춘 조선족 민속마을, 논 위에 피어난 ‘이야기하는 그림’
-
조선족 문화로 다시 피어나는 농촌… 흑룡강 신흥촌의 변신
-
김미연, 데뷔 10주년 기념 고향 연길서 '감동의 무대' 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