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최근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부가 아편 불법 행위를 강력하게 금지함에 따라 미얀마가 올해 세계 최대 아편 공급원이 되었다.
미얀마, 라오스, 태국의 '골든 트라이앵글' 접경지대는 이미 빈번한 마약 제조와 밀수 활동으로 악명이 높았다. 유엔 마약문제사무국은 12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얀마의 2021년 쿠데타로 정치, 사회, 경제가 불안정해지자 현지인들이 양귀비 재배에 더 많이 의존하게 되었고, 미얀마는 이제 세계 최대의 아편 생산국이 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얀마 농부들은 현재 양귀비 재배에서 얻는 수입이 약 75% 증가했다. 양귀비 꽃의 평균 가격은 킬로그램당 약 355달러에 달했으며 재배 면적은 40,100헥타르에서 47,000헥타르로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다. 또한 재배 기술의 발전과 함께 미얀마의 양귀비 재배 방법은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으며 생산량은 2001년 이후 최고 수준인 1,080톤에 도달하여 작년의 790톤보다 30% 이상 증가했다.
반면 과거 아편 최대 생산국이었던 아프가니스탄은 지난해 4월 탈레반이 마약퇴치를 단행한 이후 아편 거래가 위축돼 재배면적이 지난해 말 23만3000헥타르에서 올해 1만800헥타르로 95% 감소했고 아편 생산량은 약 330톤으로 크게 줄었다. 양귀비는 지난해 아프가니스탄 전체 농업 생산량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보고서는 또한 아프가니스탄의 아편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구매자들이 미얀마로 이동하여 미얀마 마약의 '산업 사슬'의 발전을 악화시켰고 현재 연간 생산량이 수십억 달러에 달해 미얀마 정부가 단속을 결정하기가 더 어렵게 됐다고 지적했다. 설상가상으로 미얀마 군부와 소수민족 무장단체 간의 전투가 급증하면서 문제는 더욱 악화될 수 있다.
BEST 뉴스
-
대림동, 극우 반중 시위…시민단체 맞불 집회로 충돌 일촉즉발
[동포투데이] 서울 최대 중국인 밀집 지역인 대림동에서 7월 11일 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 등 극우 성향 인사 약 40명이 반중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태극기와 성조기, ‘Only 尹’(윤석열 복직 요구)이라고 적힌 팻말을 들고 “중국은 물러가라”는 등 혐오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고, 중국계 주민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1회 발표회 성료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과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원장 김재욱)이 공동 주최한 ‘제11회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발표회’가 7월 14일 오후 1시 서울 동대문구 한국외대 대학원 강당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디아스포라와 세계시민을 잇는 정체성 교육’을 주제로 열... -
“윤석열 전 대통령, 재구속”…로이터 “내란죄 수사 탄력받아”
[동포투데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해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등 국헌 문란을 목적으로 폭동을 일으킨 혐의로 7월 10일 재수감됐다고 로이터통신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통신은 “서울중앙지방법원이 특별검사팀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발부하면서 윤 전 대통령은 다시 서울구치소로 돌아가게 됐다”고 전했다. ... -
더불어민주당 “모스탄 푸대접으로 한미관계 파탄? 국민의힘 가짜뉴스 비호 그만해야”
[동포투데이]더불어민주당은 17일 국민의힘 이준우 대변인이 모스 탄(Moss Tan) 씨에 대한 ‘푸대접’이 한미관계 파탄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강하게 반박하고 나섰다.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이준우 대변인의 발언이 국민의힘의 공식 입장이냐”며 공개 질의했다. 김 대변인은...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NEWS TOP 5
실시간뉴스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맥도날드 중국, '현지화 속도'로 1만 개 매장 시대 연다
-
가짜 원사, 진짜처럼 통했다… 완샤오핑 사태가 남긴 질문
-
"中 자율주행차, 세계 도로 누빈다"…두바이부터 룩셈부르크까지 로보택시 진출 가속
-
태국 외교부, 캄보디아 지도자 암살 계획설 전면 부인
-
중국군 수뇌부 ‘줄줄이 실종’…건군 98주년 행사에 상장 7명 불참
-
中 후난 도심서 무차별 칼부림… 2명 사망·3명 중상
-
“결혼은 사치?”…중국, 결혼 기피 확산에 정책 고심
-
1만번째 외자기업…중국 ‘작은 도시’ 이우, 글로벌 상권의 심장으로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