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중국 축구대표팀이 또다시 예상된 절망을 재확인시켰다. 관찰자망은 5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와의 원정 경기 참패 후 “가장 용기가 필요한 순간, 국가대표팀이 스스로 자멸을 초래했다”고 냉철한 비판을 쏟아냈다.
이 매체의 논조는 단순한 경기 결과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3연패로 시작해 4연패를 눈앞에 둔 중국. 비록 10일 바레인과의 최종전이 남았으나, 미국-캐나다-멕시코 월드컵 문은 이미 닫혔다. 관찰자망은 “탈락은 예상됐지만, 2022년 베트남 패배 당시와 똑같은 모습이 재현된 게 더 통탄스럽다” 고 꼬집었다.
68년 만에 월드컵 예선에서 인도네시아에 첫 패배한 이 경기는 중국 축구의 추락을 상징했다. 단 1회의 유효슈팅만 기록한 채 핵심 경기지표에서 완패했음에도, 관찰자망은 “조별리그 진출을 논하는 것 자체가 축구에 대한 모독”이라 일갈했다.
승리만이 생존조건인 절체절명의 순간, 중국 선수들은 오히려 경기력이 지속적 하락했다. 후반 기세를 잡아야 할 때도 오직 수동적 태도만 보였으며, 논란의 페널티킥 실점(41분) 후 양쩌샹의 멘탈 붕괴가 전염되며 전열이 무너졌다. 매체는 “실점 직후 팀 전체가 혼란·무기력·방황에 빠졌고, 역전 기회를 스스로 포기했다”고 진단했다.
실패의 씨앗은 페널티킥보다 30초 앞서 뿌려졌다. 한펑페이가 주변 확인 없이 대충 걷어낸 공이 연속 실책으로 이어져 결국 페널티 유발로 연결됐다. 관찰자망은 “양쩌샹이 한펑페이의 실수를 대가로 치른 것”이라 분석, 두 선수 모두 소속팀에서 출전 기회 부족(양쩌샹 시즌 평균 26분 출전, 한펑페이 주전 경쟁 탈락)이 화근임을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반 코비치 감독은 전술적 불확실성 속에서 실전 감각이 떨어진 선수를 맹신한 탓”이라고 비판하며, “경험이 아닌 맹목적 선택이 자멸을 초래했다”고 질타했다.
후반 이반 감독의 공격수 4인 체제(유청위·웨이스하오 추가 투입)는 오히려 역효과를 냈다. 중국 팀 유일의 유효슈팅은 왕위둥의 중거리 슈팅(후반 추가시간) 단 한 차례에 불과했다. 공격진은 인도네시아의 이중 강력 중앙 수비(귀화 선수 주력)에 완전히 봉쇄당했고, “공격수들은 그저 무작정 전후반을 오가며 체력만 소모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더욱 비극적은 용기부족의 선수들의 선택이었다. 수비 전환 찬스마다 “뒤로·옆으로의 안전한 패스만 반복하며 시간을 소모했고, 4% 높은 볼점유율(58%)은 ‘가짜 패스게임’에 불과했다”고 관찰자망은 통렬히 비판했다. 이 과정에서 웨이스하오의 페널티박스 근처 패스 실축은 인도네시아의 추가 득점 찬스를 허용했고, 후반 최고 선수는 골라인 세이브를 연발한 장광타이 수비수에 그쳤다.
“희망은 실력 위에 존재해야 한다”는 관찰자망의 평가가 뼈아프다. 중국은 FIFA 랭킹 94위(10년 만에 최저), 선수단 총 가치 672.5만 유로(인도네시아 1502.5만 유로의 절반)라는 열악한 현실에 직면했다. 게다가 우레이·고준익· 정청룽 등 주전 5명 부상 공백까지 겹치며 원정(인도네시아 관중 6만9천 명 압박)에서의 완패는 예견된 결과다.
향후 전망도 암울하다. 아시아 예선 5부 시드로 전락한 중국은 이번 대회 최하위 시나리오 속에서 “차기 예선 시드 유지도 어려울 전망”이다. 관찰자망은 “2027 아시안컵에서 불가피한 신구 세대 교체가 이뤄질 테지만, 제도적 한계 속 경험·전력 악화는 피할 수 없다”며 우려를 표했다.
중국 축구를 뒤덮은 익숙한 레토릭 ‘2030년 월드컵 준비’는 무용지물이 됐다. 관찰자망은 이번 패배를 두고 “팀이 스스로 기회를 발로 차버렸고, 그들이 가장 외면한 건 단 한 가지—용기였다”며 날 선 비판을 마무리했다. 동시에 축구팬의 보편적 고통을 되새기며 이렇게 덧붙였다.
“가장 슬픈 건, 중국팬에게 ‘내년, 다음 대회’가 언제나 더 무거운 짐이 된다는 사실이다”
BEST 뉴스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동포투데이] “중국 선수 연봉이 일본·한국의 3분의 1이다. 더 깎으면 누가 축구를 하겠는가?” 전 국가대표 쉬량(徐亮)이 최근 생방송 도중 내뱉은 이 한마디가 중국 축구계에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팬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실력은 바닥인데, 연봉 걱정이 먼저냐는 것이다. 쉬량은...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동포투데이] 6월 18일 새벽, 새롭게 개편된 FIFA 클럽월드컵 무대에서 아시아 축구가 다시 한 번 쓴맛을 봤다. 우라와 레즈와 울산 HD가 각각 아르헨티나 명문 리버 플레이트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마멜로디 선다운스에 1-3, 0-1로 완패했다. 중국 관영 매체인 베이징칭녠바오(北京青年报)는 “아시아 축구의 현실은 냉... -
중국 축구의 참담한 현실…“이제 우리는 아시아 3~4류”
[동포투데이]중국 축구가 다시 한 번 깊은 절망에 빠졌다. 최근 열린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중국 축구대표팀은 참담한 성적으로 탈락했다. 첫 경기에서 일본에 0-7로 대패한 데 이어, 인도네시아와의 경기에서도 0-1로 무릎을 꿇었다. 경기력뿐만 아니라 축구 전반에 걸친 총체적 부실이 적나라하게 드... -
클럽월드컵 개막전 ‘0-0 쇼크’… 메시도 뚫지 못했다! 주인공은 38세 골키퍼 우스타리
[동포투데이] '메시도, 수아레스도 침묵!' 클럽월드컵이 뜨겁게 개막했지만, 골은 없었다. 15일(한국시간) 열린 2025 FIFA 클럽월드컵 A조 1차전 개막전에서 인터 마이애미와 이집트 챔피언 알 아흘리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전 세계 축구팬의 이목이 집중된 이번 경기. 마이애미... -
클럽월드컵, 아시아 축구 잇단 참패…울산 현대 2연패로 조기 탈락
[동포투데이] 2025 클럽월드컵에서 아시아 축구가 잇따른 참패로 고개를 숙였다. 6월 22일 울산 현대는 브라질 플루미넨세에 2-4로 무릎을 꿇으며 2연패, 조별리그 조기 탈락을 확정지었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오클랜드 시티, LAFC에 이어 네 번째로 조별리그 문턱을 넘지 못한 아시아팀이 됐다. 이번 대... -
첼시, 클럽월드컵 우승 확률 1위로 급부상…알힐랄-플루미넨시 이변 속 유럽 강호들 고전
[동포투데이] 2025년 FIFA 클럽월드컵 8강 대진이 확정된 가운데, 첼시가 새롭게 우승후보 1순위로 떠올랐다. 글로벌 스포츠 데이터 기업 옵타(Opta)의 슈퍼컴퓨터 분석에 따르면 첼시는 현재 26.8%의 확률로 대회 정상에 오를 가능성이 가장 높은 팀으로 평가됐다. 이번 대회는 조기 탈락한...
NEWS TOP 5
실시간뉴스
-
벵거, 클럽월드컵 옹호…“모든 클럽이 다시 참여 원할 것”
-
중국 축구, 끝없는 추락에 해체론 재점화
-
PSG, 레알마드리드에 4-0 완승…클럽월드컵 결승서 첼시와 격돌
-
트럼프, 클럽월드컵 결승전 직관 예정…FIFA, 트럼프 타워에 사무소 개소
-
주앙 페드루, 친정팀에 비수… 첼시, 클럽월드컵 결승 진출
-
“감독만 바꾸면 나아질까”…中 축구, ‘20년 책임 전가’의 민낯
-
승리보다 빛난 예의…韓 축구대표팀, 中 응원석 향해 ‘정중한 인사’
-
2025 클럽월드컵, AI가 꼽은 우승후보는 PSG
-
[스포츠 종합] 독일 클럽들, FIFA 클럽 월드컵서 줄줄이 탈락…무사이알라 부상, 조타 장례, 조코비치 100승
-
한국에 또 무너진 중국 축구…동아시안컵 0-3 완패, 한·중전 6연패 수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