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22일(현지시간)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투자자들에게 미·중 관세 대립이 "지속 불가능"하다고 시인한 데 이어,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대중국 강경 발언의 강도를 낮추며 무역협상 타결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오벌 오피스에서 기자들과 만나 "관세 협상 과정에서 중국에 강경 태도를 보이지 않을 것"이라며 "매우 우호적인 방식으로 접근할 것이고 상대도 같은 자세로 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145%에 달하는 대중국 관세를 상당히 빠른 시일 내에 대폭 인하하는 합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라며 낙관론을 피력했다.
하지만 협상 결렬 시 "단순히 (관세) 숫자를 정하면 그만"이라는 발언으로 여전히 압박 카드를 활용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가 "현 수준을 유지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크게 하락할 것"이라고 강조했으나, 동시에 "과거 중국이 미국에 무임승차했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Axios뉴스는 정부 내 대중국 무역전선 완화 움직임이 동시다발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옐런 장관이 모건스탠리 사설 투자자 회의에서 "현 관세율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경고한 데 이어, 백악관 대변인도 "잠재적 무역협상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고 언급했다는 것.
시장은 이러한 움직임에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CNBC에 따르면 옐런 장관 발언 직후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가 2% 이상 급등했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주가 상승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백악관 측은 기자들의 옐런 장관 발언 관련 질의에 대해 직접적인 답변을 회피하며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전문가들은 양국 간 비관세 조치 경쟁이 본격화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 규제 확대와 미국 기업 블랙리스트 지정 등 새로운 대응 수단을 가동 중인 점을 지적했다. 프랑스 투자은행 나틱시스(Natixis) 서젠웨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자국 피해가 임계점에 도달해야만 진정한 협상 테이블로 복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리스 전 재무장관 야니스 바루파키스는 관세 무기화가 단순한 미·중 갈등이 아닌 "미국 패권 유지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미국 지배층이 충분한 대가를 치르기 전까지 정책 전환은 어려울 것"이라며 중국 측에 전략적 판단 오류를 경계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중국 외교부는 지난 16일 정례 브리핑에서 "관세 전쟁은 미국이 시작했으며, 중국의 반제 조치는 정당한 권리 수호"라고 재차 강조했다. 린젠 대변인은 "대화를 원한다면 미국이 평등·상호 존중 원칙에 입각해 협상 테이블로 돌아와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재 양국 공식 협상은 재개되지 않은 상태지만, 미국 내 경제 성장률 하향 조정과 금융시장 불안 등이 겹치며 백악관의 대중국 압박 수위 조절 필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글로벌 시장은 향후 미·중 간 새로운 타협 모델 수립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
일본행 경고 하루 만에… 중국 항공사들 일제히 ‘전액 무료 환불’
[동포투데이]중국 정부가 자국민에게 일본 방문을 자제하라고 공식 경고한 지 하루 만에, 중국 주요 항공사들이 일본 노선을 대상으로 한 ‘특별 조치’를 일제히 발표했다. 15일 오후 5시(현지시간) 기준 에어차이나,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하이난항공, 쓰촨항공 등 5개 항공사는 12월 31일까지 일본 출·도착 항공...
실시간뉴스
-
“사회주의자” 조란 맘다니, 뉴욕시장 선거서 승리… 美 정치지형 흔들
-
트럼프 “중국은 위협 아냐… 협력 통해 미국 더 강한 나라 될 것”
-
美 상원, 트럼프 ‘전면 관세 정책’ 종료 결의안 통과…하원 통과는 불투명
-
미국 ‘마약과의 전쟁’ 격화… 항공모함까지 카리브해 진입
-
유럽 신용평가사 스코프, 미 국채 신용등급 ‘AA-’로 하향
-
당파 싸움이 ‘헝거 게임’으로...외면당한 4천만 명의 배고픔
-
美 ‘노킹스’ 시위, 다국으로 확산…정책 불만과 사회 분열 가시화
-
美 국채, 사상 첫 38조 달러 돌파…셧다운 장기화로 재정 위기 심화
-
美 관세 전가 가속화…소비자가 최종 부담자로 떠올라
-
美 의회, 머스크 ‘스타링크’ 조사 착수… “미얀마 사기 조작의 조력자 됐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