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숙적에서 파트너로? 인도-중국 관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까?

  • 화영 기자
  • 입력 2025.03.26 21:1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 인도와 중국의 관계 개선 가능성을 놓고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영국 BBC는 3월 24일 모디 인도 총리가 최근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내린 인터뷰를 분석하며, 2020년 국경 충돌 이후 최악의 냉각기를 겪은 양국 관계의 해빙 신호로 해석했다. 다만 실질적 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국경 문제 해결을 비롯해 다방면에서의 진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양국은 역설적으로 경제적 협력 면에서 긴밀한 유대를 유지해왔다. 중국은 2020년 갈랑계곡 국경 충돌 이후에도 인도의 최대 교역국 지위를 고수하며, 연간 1,180억 달러 규모의 무역액을 기록 중이다. 브릭스(BRICS),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등 다자 협력체 내에서의 협업이 지속되고 있으며, 비서구권 경제 모델 구축, 테러 방지 협력, 미국 주도의 '도덕적 외교' 공동 반대 등 전략적 이해관계도 겹치고 있다.


하지만 현안으로는 양국이 각각 파키스탄·미국 등 상대방의 경쟁국과 군사·안보 협력을 강화해온 점이 꼽힌다. 전문가들은 양국 관계의 향방을 가를 4가지 관측 포인트를 제시했다. 첫째는 국경 분쟁 관리입니다. 2023년 양국 국방장관이 체결한 국경 순찰 프로토콜이 신뢰 회복에 기여했으나, 추가적인 신뢰 구축 조치와 정상회담을 통한 고위급 대화가 관건이다.


둘째는 중국의 대인도 투자 확대이다. 인도 제조업과 재생에너지 분야에 중국 자본이 유입될 경우 340억 달러에 이르는 무역적자 완화와 경제 성장 동력 확보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이는 동시에 중국 기업들에게 연평균 6% 성장 중인 인도 시장 진출 기회를 제공하는 상생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


셋째는 남아시아 지역 국가들의 외교 정책 변화이다. 방글라데시·몰디브·네팔·스리랑카 등 인도 주변국들이 최근 친중 성향의 리더십을 확보했으나, 현재까지는 인도-중국 간 균형 외교 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넷째는 미국의 대중 정책이다.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 강화 발언에도 불구하고 미중 관계 개선 움직임이 나타날 경우, 인도가 중국과의 경제 협력을 더욱 적극 모색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제관계 분석가들은 "양국이 무역·투자 협력 확대와 국경 현안 관리를 병행할 경우, 모디 정부의 화해 메시지가 구체적 성과로 연결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인도가 '글로벌 남부' 리더십을 강화하려는 야심과 중국의 아시아 패권 구도 사이에서 전략적 긴장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9회 발표회 개최…동포 차세대 정체성·미래 논의
  • '정치적 생존' 택한 트럼프, 대중 관세 고집 꺾은 내막은?
  • 美 국민의 對中 부정 인식, 5년 만에 뚜렷한 하락세 (퓨 보고서)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해외직구 플랫폼 테무에 138억 원 과징금 부과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 조선족 출신 최상, 300:1 경쟁 뚫고 CCTV 메인 앵커로 우뚝
  • 베트남, 여성갑부에 사형 선고... 검찰 “살겠으면 110억 달러 반환하라”
  • 박태일 시/근들이술
  • 중국공산당은 악의 모체? 조선족간부는 악의 실천자? 황당주장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투기 저지 투사, 양이원영 의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숙적에서 파트너로? 인도-중국 관계, 새로운 국면을 맞이할까?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