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AI 강국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투자 열풍…미국과 시장 주도권 경쟁

  • 화영 기자
  • 입력 2025.08.14 20:58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중국의 인공지능(AI) 산업이 거센 속도로 성장하면서 자본이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 기업으로 쏠리고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2일 “중국의 AI 추격 속도가 빨라지면서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의 투자 열기가 한층 달아오르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베이징에서 열린 ‘2025 세계 로봇대회’에는 국내외 200여 개 로봇 기업이 참가했다. 대회 현장에서 마라톤 완주, 권투·축구 경기, 공중제비 등 사람과 유사한 동작을 구현하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지만, 업계가 주목하는 진짜 승부처는 ‘물리 AI(Physical AI)’ 성능 경쟁이다.

 

미국 CB 인사이트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투자 규모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 주도권은 미국과 중국이 나눠 갖고 있으며, 본사를 미국에 둔 기업이 32%, 중국에 둔 기업이 27%다. CB 인사이트는 “AI 시스템과 연산 하드웨어에서는 미국이 여전히 우세하지만, 중국은 대규모 생산 능력과 효율성에서 압도적인 강점을 지니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책과 자원에서의 뒷받침도 중국의 무기다. 광대증권국제 전략가 우리셴은 “중국은 정책 지원과 자원 동원 능력에서 비교 불가의 우위를 가진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업계에는 자금 유입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고공로봇산업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중국에서만 87건의 휴머노이드 로봇 투자 계약이 체결됐고, 공개된 금액만 약 109억 위안(약 2조1천억 원)에 이른다. 7월 들어서는 ‘콰웨이즈넝(跨维智能)’과 ‘싱하이투(星海图)’ 등 기업이 잇달아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투자 주체도 국내외를 넘나든다. 중국 언론은 ‘즈위안로봇(智元机器人)’이 최근 LG전자와 미래에셋그룹이 공동 주도한 전략 투자를 마쳤다고 전했다. 이 회사는 7월에도 정대로봇(正大机器人)으로부터 자금을 받았고, 이전에는 텐센트·징둥(JD)·비야디(BYD) 등도 투자에 참여했다. 현재 즈위안로봇의 시장 가치는 약 150억 위안(약 2조9천억 원)으로 평가된다.

 

업계에서는 향후 중국 로봇 기업들의 기업공개(IPO)가 잇따를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연구·개발 투자 부담과 미확립된 수익 구조를 고려해 일부 기업은 홍콩 증시나 상하이증권거래소 하이테크 스타트업 커촹반(科创板)을 택할 가능성이 크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中 배우 신즈레이, 베니스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 시진핑·김정은 회담…“북·중 전통친선 계승, 전략적 협력 강화”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 퇴임 앞둔 프랑스군 총참모장, “분열된 유럽은 강대국 먹잇감 될 수도”
  • 서정원 매직, 펠리피 폭발+웨이스하오 쇼타임…유스 듀오 데뷔골까지 ‘5-1 완승’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공산당 축구 관리’ 본격화…심양, 37억 쏟아 대련 추격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AI 강국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투자 열풍…미국과 시장 주도권 경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