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설산에서 발원되어 고원을 날아 넘고 협곡을 꿰지르며 만 리를 흐르는 호호탕탕한 중국의 장강(长江), 멀고도 기나긴 흐름으로 중화문명을 잉태한 장강이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장강에 의해 형성된 이 지대의 경제벨트는 마치도 꿈틀대는 ‘거룡’마냥 독특한 우세와 거대한 잠재력을 갖고 있다. 위성을 통한 영상 및 데이터의 분석에 따르면 장강은 말 그대로 중국의 동서를 가로지르며 비약하는 ‘거룡’이었다.
중국 대지의 ‘골든 벨트’인 장강은 중화민족의 ‘어머니의 강’이었고 중화민족 발전의 받침 주였으며 중국 인민의 특수한 문화와 감정을 담고 있는 강이었다.
중국 대지의 ‘골든 벨트’
중국 제일의 대하로서의 장강은 그 길이가 6300킬로미터로 중국의 서쪽으로부터 중 하부를 관통하는 수로 교통의 대 통로로 이 유역의 종합운수 시스템 중 중요한 위치를 갖고 있으며 강 연안의 경제발전 중 중요한 받침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
장강에 의해 형성된 장강 경제벨트는 상해(上海), 강소(江苏), 절강(浙江), 안휘(安徽), 강서(江西), 호북(湖北), 호남(湖南), 중경(重庆), 사천(四川), 귀주(贵州)와 운남(云南) 등 연안의 11개 성과 직할시가 포함되며 면적은 205만 평방킬로미터로 인구와 GDP 총량은 전반 중국의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 갈래 광활한 장강 경제벨트는 바로 이렇게 형성되어 있다.
거대한 ‘경제벨트’에 시동을 거는 엔진
이 한 갈래의 ‘골든 수로’에 의거, 장강 경제벨트는 동에서 서에로, 연해에서 내지로 즉 상해를 용두로 장강삼각주 지구에서 시작하여 중도에서 완강(皖江) 도시 벨트, 파양호(鄱阳湖) 도시군, 무한(武汉) 도시군, 장 주담(长株潭) 도시군을 주체로 장강 중류의 도시군을 에돌아 장강 상류의 청 위(成渝) 경제구에 가닿는다.
장강 벨트의 야광도를 보면 이 지구의 발전 수준을 직접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야광이 밝을수록 이는 이 지구의 경제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하다면 장강 경제벨트 구역의 경제발전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다원화의 문화, 번창하는 교육과 인재의 집중
중국 최대의 도시 상해를 중심으로 수 십 개의 대도시, 특대 도시가 명주처럼 장강 연안에 모여 있어 장강 벨트는 중국 경제발전의 수준이 최고에 이르며 종합경쟁력이 최강인 경제벨트와 중국 경제발전 전반 국면 중 중요한 받침대로 되고 있다.
3개의 도시권, 3대의 증장급(增长极)이 벨트 내에 이어져 구역 경제발전이 승수급(乘数级)으로 상승하는 국면이 나타났다. 2019년 장강 경제벨트 지구의 생산총액은 45억 7805위안으로 2018년 대비 6.9% 증장했으며 전국 경제총량의 46.2%를 차지했다.
2019년 장강 경제벨트 11개 성과 직할시의 GDP
2020년 전 3 개 분기 중국 도시 GDP의 앞자리 10강 중 장강삼각주 경제벨트 내 도시가 7개가 차지, 장강 경제벨트가 중국 경제에서의 받침대 작용이 날로 돌출하게 나타났다.
한 갈래 맑은 물의 ‘생태벨트’
새 중국의 창립 이래 특히는 개혁개방 이래 장강 유역의 경제사회가 신속하고도 거룩하게 발전해왔다. 하지만 장기간 주먹구구식으로 발전만 강조하면 장강에 대한 부담과 압력이 클 수밖에 없었고 생태환경의 보호와 복구 또한 더 이상 늦출 수 없었다.
최근년 들어 장강에 대한 보호와 복구 사업이 부단히 새로운 진전을 가져왔고 생태환경 돌출 문제의 해결 효과가 현저했으며 양안의 녹색생태 갤러리(廊道)가 기본상 형성, 생태보호의 체제 기제가 공동 관심하고 부단히 건전하게 되었다.
엄중하게 혹사당하던 ‘어머니의 강’ 드디어 숨 돌릴 기회가 생겼다
경항 대운하(京杭大运河)와 망도하(芒稻河) 합수목에 위치한 장두수리중추(江都水利枢纽)는 남수북조 동선공사의 발원지이다. ‘일강 청수 북송(一江清水北送)’을 확보하기 위하여 양저우(扬州)에서는 남수북조 발원지의 생태습지 회복, 임업망 건설 등을 추진, 효과적으로 남수북조 공사를 위해 봉사하였다.
2019년 11월 말까지 장강 경제벨트 우량 수질 비례는 82.5%에 도달, 전국 평균 수준보다 6.1%가 질이 높았고 저 수질 비례는 1.2%밖에 되지 않았으며 남수북조의 맑은 물은 호탕하게 저 멀리 북경(北京), 천진(天津) 등지로 흘러 흘러갔다.
중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가장 발달했으며 종합경쟁력이 가장 강한 국제도시 상해와 장강 삼각도시군 그리고 장강 경제벨트는 중국에서 가장 중심 위치에 있고 그 위치적 우세가 가장 큰 경제벨트이다.
새로운 발전의 여정에 오른 장강 경제벨트는 긍정적으로 그 면모가 새롭고도 몰라보게 변할 것이며 에너지가 거대한 ‘거룡’이 되어 중국경제로 하여금 고차원 발전에로 이끄는 활력소로 되기에 손색이 없을 것이다.
BEST 뉴스
-
'현대 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中 손에 달렸다...美 긴급 대응
[동포투데이]중국의 희토류 수출 규제 강화가 글로벌 공급망에 충격을 주며 미국이 협상 요청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 생산의 60%, 정제 설비의 92%, 중희토류 매장량의 80% 이상을 장악한 상태에서 수출 통제를 통해 군사·기술 분야의 주도권을 공고히 하고 있다. 이에 미국은 F-35 전투기... -
美 서해안 항구 '제로 물동량' 경고등…무역 전쟁發 공급망 대란
[동포투데이]2025년 5월, 미국 서해안 주요 항구에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다. 중국에서 출발해 로스앤젤레스와 롱비치 항구에 입항할 예정이던 화물선이 단 한 척도 도착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최근 12시간 동안 기록된 충격적인 ‘제로 현상’으로, 현지 항구 관계자들의 우려를 극적으로 확대시켰다. 롱비치 항구 CEO ... -
美, 대중국 추가 관세…의료·제약 필수 원자재 수급 '빨간불'
[동포투데이] 미국 통계 당국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미국 정부의 대중국 추가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 내 중국산 비타민과 휠체어, 목발, 의료용 안경 등 필수 의료기기 수급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휠체어 수입의 66.3%(2억 7,380만 달러)를 중국에 의존하는 등 주요 의료용품에서 중국산 ... -
美 바이어 부재 속 광저우 페어 이변... 신흥시장 덕에 역대급 성과
[동포투데이] 중국 광저우에서 지난 5일 폐막한 제137회 중국수출입상품전람회(광저우 페어)에서 미국 바이어들의 참여 부족에도 역대 최다 해외 바이어들이 몰리며 수주량이 증가하는 이변을 기록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번 행사가 미중 무역 갈등 속에서도 중국 수출업계의 회복력을 입증했다고 ... -
경찰, 교통사고 보험사기 4개월 집중단속…고의 사고·허위 청구 뿌리 뽑는다
[동포투데이]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오는 5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4개월간 교통사고 보험사기 집중수사 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집중수사는 야외활동 증가로 교통사고가 빈번해지는 시기를 겨냥해 고의적 사고 유발 및 보험금 과다 청구 등 서민경제를 위협하는 범죄를 근절하기 위해 마련됐다. 교통사고 ... -
美 고관세 비웃는 ‘中 공급망 파워’… “대체 불가” 주문 복귀
[동포투데이] 미국 정부의 대중국 관세 강화 조치가 시행된 지 10일이 지났지만, 오히려 미국 고객들이 중국 제조업체를 다시 찾아오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저장(浙江)성 수출업체 대표 웅웨이핑(熊伟平) 씨는 최근 미국 주문량이 오히려 증가했다고 밝혔다. 중국청년보와 차오신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웅 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