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간 중요한 현상 중 하나가 한국에서 북한으로 넘어가는 탈북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1953년에서 2000년까지 그들의 수는 1100명이었으나, 그후 최근 13년간 그 수가 무려 10배가 증가해 현재 25000명이 넘고 있다.
주요 원인은 필경, 생활수준과 경제발전의 차이로 대다수 탈북자들은 한국을 지상낙원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합뉴스가 조사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약 2000명의 탈북자가 한국을 떠나, 제 3 국가로 향한다고 한다. 이러한 상황은 대다수 국가법에 위반되는 행위로 대다수 탈북자들은 오랜 기간 한국에 거주했다는 사실을 숨기고 있는게 현실이다.
한편, 일부 탈북자의 경우 북한으로 다시 돌아가길 원하기도 하며 공식적으로 공개된 수는 12명이나, 실제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결국, 경제수준과 생활수준의 큰 격차가 탈북자로 하여금 한국에 살고 싶은 바램을 매꿀 수는 없었던 것 같다. 대다수 탈북자들은 한국에 살 때, 보다 나은 의료혜택과 교육이 주어진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그들이 제 3국을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주원인은 탈북자가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단계에서 빚어지고 있다. 자유로운 삶에서 만끽하는 만족감이 얼마 못가는데 있다. 몇개월 한국생활을 경험한 대다수 탈북자들은 한국사회에 그들을 위한 자리가 없다는 소외감을 느끼게 된다.
그중 첫째가 차별이다. 한국인들은 탈북자들에 다소 경계심을 갖고 있어 시간이 지나면서 여기에서 오는 느낌은 혐오감으로까지 번지게 된다. 이외, 한국사회에서 성공을 꿈꾸기에 지녀야 하는 기술과 지식 또한 부재한 것 또한 큰 이유가 된다.
엘리트 탈북자의 경우 그들이 조선에서 받은 교육이 한국 사회에서 가치를 갖지 못함을 빠르게 눈치챈다고 한다. 기술인-탈북자 역시 그들의 기술이 현대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을 분석하기엔 역부족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의사인-탈북자 역시 해부학을 비롯한 기본적 의료지식을 갖추고 있다 해도 현재 한국 사회에서 이용되는 의약 재료에 대한 지식은 턱없이 부족한게 현실이다.
탈북자중 많은 퍼센트를 차지하는 저학력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공장에서 일하기 위해 그들이 갖추지 못한 일련의 기술력이 필요함을 깨닫게 된다.
그 결과, 대다수 탈북인들은 적은 기술을 요하는 일에 전념하게 되어 저임금 노동자로 전락하는 형국입니다. 물론, 북한에서의 삶보다는 나을 수 있겠으나, 인간의 삶에 있어서 수입도 중요하나, 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치 또한 경시할 수 없다. 과거 기술자였던 이가 화장실 청소부로서 느끼는 자신의 모습은 과히 편하진 않을 것이다.
조국을 떠나 해외에서의 행복을 꿈꾸는 것은 일종의 기만일 수 있다. 경험을 통해 한국인 중 제 3국에 이민가기로 결심한 이들은 제 3국 생활에서 쉽게 좌절하는 것을 보게 된다. 그곳에서 새롭게 부닥치는 삶의 문제들이 결코 조국에서 만큼 만만치 않은 까닭이다.
대다수 탈북자는 먹고 사는 일에 걱정이 덜한 한국 생활에서 답답함을 느끼고 있다. 슬픈 현실이다.< 안드레이 란코프>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韩 전문가들 “반중 집회, 국익 해친다”…미국과 힘겨운 협상 속 대중 관계 관리 절실
[동포투데이] 한국 사회에서 반중(反中) 정서가 격화되면 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과 힘겨운 협상을 이어가는 만큼, 이런 집회가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한국 전문가들의... -
중국인 무비자 입국 둘러싼 갈등 격화…반중 시위·위협 글까지 확산
[동포투데이]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무비자 입국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사회 전반에서 반중 정서가 격화되며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한 조치였지만 오히려 반중 시위와 혐오 표현, 온라인 위협 글까지 등장하면서 정책 효과는커녕 사회 불안만 키우는 모양새다. 관광 활성... -
트럼프 “일본 5,500억 달러·한국 3,500억 달러… 모두 선지불해야”
[동포투데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무역 협상과 관련해 한국이 3,500억 달러(약 480조원), 일본이 5,500억 달러(약 760조원)를 ‘선지불(upfront)’해야 한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 정부가 “보장 없는 투자 요구는 금융위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해온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26일 로... -
트럼프, 대만 4억 달러 군사지원 보류…중국 달래기 포석?
[동포투데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억 달러(약 5,500억 원) 규모의 대만 군사지원안을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전략적 계산이 깔린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워싱턴포스트는 18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의회에 보고된 대만... -
中대사관 “반중 시위, 의도 불순·민심 얻지 못해”… 이재명 대통령도 강력 경고
[동포투데이]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이 시행된 지 일주일 남짓, 서울 도심에서는 일부 극우 세력의 반중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와 한국 정부 모두 우려와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2일 공식 입장을 내고 “중국과 한국이 상호 무비자 제도를 통해 교류와 협... -
반중 집회 격화, 김민석 총리 "강력 대응" 지시
[동포투데이] 서울 명동과 영등포 대림동 일대에서 일부 정치 세력이 주도한 반중 집회가 이어지자, 한국 김민석 국무총리는 19일 긴급 지시를 내렸다. 총리실 관계자는 “필요시 관련 법률에 따라 강력 대응하되, 상인과 주민, 주한 중국인 시민에게 불편과 공포가 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국민의힘, 중국인 대상 ‘배척 법안’ 추진… “中 반격 대비는?”
-
“650km 달리고 25분 충전” — 비야디 2026년형 Atto 3 공개
-
‘철도의 기적’…연변, 변방에서 동북아 중심으로
-
AI 기반 한류 플랫폼 ‘SCL’로 글로벌 진출 시동
-
美 관세 전가 가속화…소비자가 최종 부담자로 떠올라
-
비야디, 2026년형 ‘씰 05 DM-i’ 출시… 가격은 그대로, 주행거리는 두 배로
-
“중국 승리로 끝난 전기차 경쟁”… 美 언론 “양국 격차 더 벌어져”
-
비야디, 12분 충전으로 1500km 주행 가능 고체전지 장착 EV 공개
-
또 한 번의 참사…청두서 고속 질주하던 샤오미 SU7 화재, 운전자 사망
-
왕젠린·완다그룹, 계약 분쟁 피소…자산 동결과 소송 잇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