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는 22일 20대 총선 비례대표후보자 45명을 발표했다. 비례대표 후보들은 22일 밤 9시 국회에서 열리는 당 최고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된다.
<새누리당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 명단 45명>
▲1번 송희경(52) 전 (주)KT평창동계올림픽 지원사업단장
▲2번 이종명(56) 전 육군대령
▲3번 임이자(52) 현 한국노총 중앙여성위원회 위원장
▲4번 문진국(67) 현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위원장
▲5번 최연혜(60) 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
▲6번 김규환(59) 현 국가품질명장
▲7번 신보라(33) 현 청년이여는미래 대표
▲8번 김성태(61) 전 한국정보화진흥원(NIA)원장
▲9번 전희경(40) 전 자유경제원 사무총장
▲10번 김종석(60) 현 여의도연구원 원장
◇11~20번
▲11번 김승희(62) 전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12번 유민봉(58) 전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 수석비서관
▲13번 윤종필(62) 전 국군간호사관학교 교장
▲14번 조훈현(63) 현 프로바둑기사
▲15번 김순례(61) 현 대한약사회 여약사회장
▲16번 강효상(55) 전 조선일보 편집국장
▲17번 김현아(46) 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18번 김철수(72) 전 새누리당 재정위원장
▲19번 조명희(60) 전 제18대 대통령 소속 국가우주위원회 위원
▲20번 김본수(58) 현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이사
◇21~30번
▲21번 하윤희(44) 현 새누리당정책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수석전문위원
▲22번 신원식(57)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23번 김정주(58) 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기술본부장
▲24번 임명배(50) 전 국립공원관리공단 상임감사
▲25번 민경원(52) 전 경기도 경제단체연합회 사무총장
▲26번 김규민(41)현 통일교육위원
▲27번 김세원(55) 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28번 송기순(52) 전 (유)전일건설 대표이사
▲29번 방경연(60) 현 새누리정치대학원 총동문회 회장
▲30번 이 영(46) 현 (사)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
◇31~40번
▲31번 최원주(62) 현 새누리당 중앙여성위원회 상임전국위원
▲32번 허정무(61) 전 대한민국 축구국가대표팀 감독
▲33번 도경현(45) 현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부교수
▲34번 박현석(51) 현 새누리당 총무국장
▲35번 신향숙(46) 현 한국소프트웨어세계화연구원 이사장
▲36번 이부형(43) 현 새누리당 중앙청년위원장
▲37번 이승진(44) 현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안전행정위원회 수석전문위원
▲38번 김기웅(59) 전 서천군 수산업협동조합장
▲39번 이행숙(53) 전 인천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
▲40번 한정혜(46) 전 중앙 차세대여성위원회 위원장
◇41~45번
▲41번 한정효(57) 현 (사)제주특별자치도 신체장애인복지회 회장
▲42번 황규필(48) 현 새누리당 조직국장
▲43번 조태임(63) 현 (사)여성인력개발센터 연합회장
▲44번 김미애(46) 현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
▲45번 이인실(55) 현 대한변리사회 부회장
▲1번 송희경(52) 전 (주)KT평창동계올림픽 지원사업단장
▲2번 이종명(56) 전 육군대령
▲3번 임이자(52) 현 한국노총 중앙여성위원회 위원장
▲4번 문진국(67) 현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위원장
▲5번 최연혜(60) 전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사장
▲6번 김규환(59) 현 국가품질명장
▲7번 신보라(33) 현 청년이여는미래 대표
▲8번 김성태(61) 전 한국정보화진흥원(NIA)원장
▲9번 전희경(40) 전 자유경제원 사무총장
▲10번 김종석(60) 현 여의도연구원 원장
◇11~20번
▲11번 김승희(62) 전 식품의약품안전처 처장
▲12번 유민봉(58) 전 대통령비서실 국정기획 수석비서관
▲13번 윤종필(62) 전 국군간호사관학교 교장
▲14번 조훈현(63) 현 프로바둑기사
▲15번 김순례(61) 현 대한약사회 여약사회장
▲16번 강효상(55) 전 조선일보 편집국장
▲17번 김현아(46) 현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
▲18번 김철수(72) 전 새누리당 재정위원장
▲19번 조명희(60) 전 제18대 대통령 소속 국가우주위원회 위원
▲20번 김본수(58) 현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이사
◇21~30번
▲21번 하윤희(44) 현 새누리당정책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수석전문위원
▲22번 신원식(57) 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23번 김정주(58) 현 한국환경산업기술원 환경기술본부장
▲24번 임명배(50) 전 국립공원관리공단 상임감사
▲25번 민경원(52) 전 경기도 경제단체연합회 사무총장
▲26번 김규민(41)현 통일교육위원
▲27번 김세원(55) 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28번 송기순(52) 전 (유)전일건설 대표이사
▲29번 방경연(60) 현 새누리정치대학원 총동문회 회장
▲30번 이 영(46) 현 (사)한국여성벤처협회 회장
◇31~40번
▲31번 최원주(62) 현 새누리당 중앙여성위원회 상임전국위원
▲32번 허정무(61) 전 대한민국 축구국가대표팀 감독
▲33번 도경현(45) 현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부교수
▲34번 박현석(51) 현 새누리당 총무국장
▲35번 신향숙(46) 현 한국소프트웨어세계화연구원 이사장
▲36번 이부형(43) 현 새누리당 중앙청년위원장
▲37번 이승진(44) 현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안전행정위원회 수석전문위원
▲38번 김기웅(59) 전 서천군 수산업협동조합장
▲39번 이행숙(53) 전 인천서구시설관리공단 이사장
▲40번 한정혜(46) 전 중앙 차세대여성위원회 위원장
◇41~45번
▲41번 한정효(57) 현 (사)제주특별자치도 신체장애인복지회 회장
▲42번 황규필(48) 현 새누리당 조직국장
▲43번 조태임(63) 현 (사)여성인력개발센터 연합회장
▲44번 김미애(46) 현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겸임교수
▲45번 이인실(55) 현 대한변리사회 부회장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韩 전문가들 “반중 집회, 국익 해친다”…미국과 힘겨운 협상 속 대중 관계 관리 절실
[동포투데이] 한국 사회에서 반중(反中) 정서가 격화되면 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과 힘겨운 협상을 이어가는 만큼, 이런 집회가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한국 전문가들의... -
중국인 무비자 입국 둘러싼 갈등 격화…반중 시위·위협 글까지 확산
[동포투데이]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무비자 입국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사회 전반에서 반중 정서가 격화되며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한 조치였지만 오히려 반중 시위와 혐오 표현, 온라인 위협 글까지 등장하면서 정책 효과는커녕 사회 불안만 키우는 모양새다. 관광 활성... -
트럼프 “일본 5,500억 달러·한국 3,500억 달러… 모두 선지불해야”
[동포투데이]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무역 협상과 관련해 한국이 3,500억 달러(약 480조원), 일본이 5,500억 달러(약 760조원)를 ‘선지불(upfront)’해야 한다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한국 정부가 “보장 없는 투자 요구는 금융위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해온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26일 로... -
트럼프, 대만 4억 달러 군사지원 보류…중국 달래기 포석?
[동포투데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억 달러(약 5,500억 원) 규모의 대만 군사지원안을 승인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려는 전략적 계산이 깔린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워싱턴포스트는 18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의회에 보고된 대만... -
中대사관 “반중 시위, 의도 불순·민심 얻지 못해”… 이재명 대통령도 강력 경고
[동포투데이]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 입국이 시행된 지 일주일 남짓, 서울 도심에서는 일부 극우 세력의 반중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와 한국 정부 모두 우려와 경고의 목소리를 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2일 공식 입장을 내고 “중국과 한국이 상호 무비자 제도를 통해 교류와 협... -
“중국 청년들, ‘서울병(首尔病)’에 걸렸다?”…中 매체 “韓 언론, 과장·왜곡 심각”
[동포투데이] 중국 온라인 매체 <관찰자망(观察者网)> 은 2일 최근 한국 언론이 대대적으로 보도한 이른바 ‘서울병(首尔病)’ 담론을 비판적으로 짚었다. 앞서 한국 지상파 방송 3사(KBS·MBC·SBS)는 잇따라 “중국 젊은 층 사이에서 서울병이 유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질병’은 한국을 여행한 뒤 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