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고기축제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중국의 유명 톱스타들은 자신의 웨이보(微博, 중국판 트위터)를 통해 "개고기를 먹지 말자"고 호소하고 나섰다.
중국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최근 광시(广西)자치구 위린시(玉林市)에서 오는 21일(하지) 열리는 개고기 축제를 전후해 개 1만마리가 도살될 것이라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비난 여론이 일었다.
지난 18일 서북정법(西北政法)대학 동물보호법연구센터, 중국애완동물협회 등 20개 동물보호 관련 단체는 공동으로 호소문을 발표하고 "개고기 학살은 비문명적 행위이며 개고기축제를 취소할 것을 요구했다.
유명 연예인도 '개고기축제 반대'에 동참했다. 홍콩의 유명 MC인 량쓰하오(梁思浩)가 개인 SNS를 통해 "우리 힘을 모아 21일에 열리는 개고기 축제를 취소하자"고 글을 남기자, 왕리훙(王力宏), 황르화(黄日华) 등이 그의 게시글을 지지했다.
평소 강아지를 좋아하는 것으로 유명한 수치(舒淇)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강아지를 키우는 친구 여러분, 강아지를 사지 말고 입양해주세요, 부탁해요!”라는 글을 게재했으며 유명 MC 허즁(何炅)도 새끼 강아지 사진과 함께 "왜 이런 축제가 있어야 하나? (강아지가) 어떻게 입으로 들어갈 수 있지?"라고 반문했다.
네티즌들 역시 웨이보(微博, 중국판 트위터)를 통해 "개고기가 몸에 좋다지만 어떻게 1만마리나 죽일 수 있냐?",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너무 잔인하다", "개를 학살하는 개고기축제는 없어져야 한다" 등 비난을 퍼부었다.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위린시정부 관계자는 "적지 않은 사람이 개고기를 먹는 것이 습관화돼 있고 개고기축제를 금지하거나 취소할 근거가 아직은 없다"며 "최근의 비난 여론이 진정되는 데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위린시 주민들은 매년 하지(夏至)를 맞아 개고기를 먹는 것이 습관이 돼 있으며 매년 이맘때가 되면 대규모 개고기축제가 열린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청도와 세계의 건배"…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 개막
[동포투데이] 중국 산둥성 청도시가 다시 한 번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7월 18일 밤, 청도 서해안 신구 금사탄 맥주성에서 제35회 청도 국제맥주축제가 성대하게 막을 올렸다. "청도와 세계가 함께 건배한다"는 주제로 펼쳐지는 이번 국제맥주축제는 8월 16일까지 열린다. 개막식 공연은 시청각 예술의 ...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NEWS TOP 5
실시간뉴스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
-
日 우익, “중국의 반일감정은 공산당 조작” 왜곡 발언
-
일본 농림수산상, 광복절에 야스쿠니 참배…이시바 내각 첫 사례
-
북·러 정상급 교류 속…평양서 ‘해방 80주년’ 대회 열려
-
중국 대사 “반중 집회는 정치적 날조…양국 민중이 허위 가려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