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항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 “일본을 겨냥한 것”
![115878102[1].jpg](http://dspdaily.com/n_news/peg/1501/thumb/a2852b1aff9f52b80523ee9965d4f239_jPdjsbrIv.jpg)
▲ 2009년 대규모 열병식(자료사진).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일전 일본 언론에서 중국이 반파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행사(9월 3일)때 열병식을 거행할 것이라고 보도했었다. 당시 일각에서는 반신반의 했다.
건국 이래 첫 비국경절 대규모 열병식
중국은 1949년부터 1959년까지 해마다 국경절이면 열병식을 거행했다. 1960년에는 중공중앙과 국무원에서 절약을 엄히 시행하고 근검하게 나라를 건설한다는 방침에 따라 5년에 한번씩 소규모 경축행사를 하고 10년에 한번씩 대규모 경축행사를 하며 대규모 경축행사때 열병식을 거행하기로 했다. 그러다가 “문화대혁명” 등 원인으로 24년동안 건국기념 열병식을 거행하지 않았다.
1981년, 중공중앙과 중앙군사위원회는 등소평의 제의에 좇아 열병식을 회복하기로 결정했고 1984년 건국 35주년 기념행사에서 대규모 열병식을 거행했다. 그 후에는 10년에 한번씩 열병식을 거행한다는 규정을 회복, 1999년 건국 50주년 기념행사때 한번, 2009년의 60주년 기념행사때 한번 열병식을 거행했다. 만약 이 규칙대로 열병식을 거행한다면 다음의 열병식은 2019년에 거행하게 된다.
상술한 원인으로 외신이 먼저 중국에서 올해 열병식을 거행할 것이라고 보도했을 때 사람들은 반신반의했었다.
결국 이 소식은 일전, 북경에서 열린 “양회(人大, 政协会议)”에서 확인되었다. 홍콩언론은 22일 밤에 있은 북경 “양회” 정무자문회의에서 국가 공안부 부부장이고 북경시 공안국 국장인 푸정화가 “반파쇼전쟁 승리 70주년 기념 열병식이 북경에서 거행된다고 밝혔다고 24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열병식은 처음으로 외국 정상이 참석하는 열병식으로 된다.
이에 앞서 중국정부에서 발표한 성명에 따르면 중국과 러시아 정상은 상호 반파쇼전쟁승리 7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로 했다. 때문에 이번 중국의 열병식에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이 참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번 열병식은 중화인민공화국 설립 후 처음으로 있는 비건국절 대규모 열병식으로 이정표적 의의와 강한 정치적 색채를 가진다.
대규모 열병식 거행하는 정치배경
하다면 중국은 왜 2015년 반파쇼전쟁 70주년 기념행사에 대규모 열병식을 거행하는가? 그 정치적 배경은?
첫째, 중국은 자국의 군사실력을 과시하려 한다.
경제적으로 세계 제2대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은 이젠 군사실력을 보여줄 때가 되었다.
열병식을 통해 중국은 세계에 향해 중국인민해방군의 위용, 면모, 사기를 보여줌으로써 중국의 군사장비 실력을 과시한다.
둘째, 일본을 겨냥해 위협을 주고 세계를 향해 제2차 세계대전 후의 국제질서를 유지하려는 중국의 확고한 신념을 재확인한다.
최근년간,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의 중국의 전략을 저지하려는 미국의 지지하에 일본은 중국에 대해 날따라 창궐해지고 있으며 중국의 영토 조어도를 “국유화”하려 할 뿐 아니라 중국에 대한 침략역사를 부인하며 재차 군국주의 길로 나아가려 하고 있다.
지난 몇년간, 미국은 일본의 창궐한 행위에 대해 묵인하고 지지하며 지어 일본을 도와 집단자위권을 해제했다. 의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일본은 진일보로 평화헌법을 수정해 “국가정상화”를 추진할 것이다.
일본은 제2차 대전 후의 국제질서를 전복하고 일본의 패전국 지위를 개변하려 하고 있다.
이번 열병식은 바로 중국이 일본을 향해 중국의 군사실력을 과시하고 일본을 위협주는 것으로서 중국은 일본이 중국의 2차대전 후의 질서에 도전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셋째, 중국 국민들에게 중국 군대의 위용, 면모, 사기를 보여줌으로써 국민들의 신심을 북돋우고 자호감을 증가하며 응집력을 강화하려 한다.
넷째, 부패분자들에게 기률검사위원회와 정법계통 이 두가지 “칼자루” 외에도 중국에는 해방군이라는 “칼자루”가 당과 인민들의 손에 쥐어져 있다는 것을 시사해 주기 위한 것이다.
지난 몇년간, 중국은 군사장비를 대대적으로 고급화했다. 대량의 새로운 장비들이 군에 투입됐고 J20, J31, Y20 등 새로운 전투기들이 시험비행을 하고 있으며 더우기는 새로운 미사일들이 연구, 제작되거나 육속 병역에 투입되고 있다.
2015년의 중국 대규모 열병식, 군사팬들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
-
日 우익, “중국의 반일감정은 공산당 조작” 왜곡 발언
-
일본 농림수산상, 광복절에 야스쿠니 참배…이시바 내각 첫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