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4브라질월드컵] 한국, 러시아와의 경기서 보여준 세가지
■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18일 오전 6시, 브라질월드컵 H조 경기에서 한국축구대표팀은 러시아와 접전, 후반들어 교체멤버된 이근호가 후반 23분에 선제골을 터트렸다가 6분만에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케르자코프한테 동점골을 허용해 결국 1 : 1로 비기는 아쉬움을 남겼지만 월드컵 전의 우려와는 달리 탈태환골의 모습을 보여줬고 16강 진출의 희망을 쏴올렸다.
이날의 경기에서 한국축구대표팀은 주로 세가지 특점을 보여줬다.
첫째, 신체와 힘에서 밀리지 않았다. 주지하다싶이 일반적으로 유럽팀들을 보면 장신에 강한 힘을 발산하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그 중 러시아가 더욱 전형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날의 경기에서 한국은 거의 러시아한테 신체와 힘에서 밀리지 않았다. 공통제에서 50.5%로 상대보다 약간 우위를 차지했는가 하면 패스 차수가 430차, 패스성공률이 353차로 역시 상대보다 우위였다. 이는 평소 홍명보 감독이 선수들의 체능향상에 중시를 돌리면서 자주 강조했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렇듯 왕성한 체능적 보장이 있었기에 선수들은 경기보충시간까지 95분간 지치지 않고 경기에 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2010년 남아공월드컵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기전술 구사에서 큰 변화를 보여줬다. 이전에 한국대표팀의 주된 전술이 쌍변선돌파- 센터링(传中)- 문전침투와 득점시도 등이었다면 이날 경기에서는 4231포메이션으로 다종다양한 기전술 변화를 시도했다. 즉 원톱으로 박주영(후반 이근호)를 내세웠으나 원톱한테 절대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손흥민, 이청용, 구자철 등이 상호배합하면서 화력망을 강화했고 상대방의 밀집수비를 허물기 어려운 난제를 감안, 롱슈팅도 대담히 시도했으며 결국 후반들어 교체멤버된 이근호가 그 롱슈팅으로 선제골을 터트렸다. 이 역시 박지성한테 크게 의존하던 2010년 남아공월드컵 때보다는 다른 변화라 볼 수 있다.
셋째, 방어역습보다는 공격위주의 시스템을 구사했다. 이전엔 아무리 공격형 축구를 운영하는 한국이었지만 유럽이나 남미팀과의 경기에서는 흔히 방어역습의 시스템을 구사하기도 했다. 그 전형적인 사례라면 2010년 남아공월드컵 아르헨티나와의 경기 등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홍명보 감독은 아무리 강팀 상대라 해도 보수적인 것보다는 공격형으로 나오겠다는 배짱을 세운 것 같다. 이번 경기에서 그것이 돌출하게 표현되었다. 러시아가 유럽에서는 비록 손안에 꼽힐 강팀은 아니지만 그래도 아시아팀들에 비해서는 신체 및 기타 힘 등에서 우세가 있었지만 한국은 그들을 리드하며 몰아붙이는 기전술을 구사, 그것은 공통제률과 패스성공률에서 뚜렷하게 체현됐다. 그리고 이왕의 경기와 다른 점이라면 뒤패스가 현저하게 적어진 것 역시 공격위주의 축구운영이라 해도 그릇된 진단은 아닌 것 같다.
그 외 말하고 싶은 것은 한국축구대표팀의 “특허”라고도 할 수 있는 정신력이다. 이 날의 경기에서 러시아팀 선수들이 80~90%의 능률을 발휘했다면 한국팀 선수들은 100% 혹은 그 이상의 에너지를 쏟았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아쉬운 점도 없지는 않다. 이날 출전한 선수중 박주영은 기술형이고 이근호는 체력형이였던만큼 이근호가 선발출전하고 러시아선수들이 지쳤다 할 무렵에 기술형인 박주영이 출전했더면 더 이상적이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고 중원에서 기성용이 공수송보다는 자아돌파에 좀 더 정신을 팔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도 어느 정도 남았다. 그리고 손흥민과 구자철이 예로카드를 받은 것도 다음 경기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 좀 우려가 된다.
오는 23일 아침 4시, 한국은 두번째 경기로 알제리와 맞붙게 된다. 알제리는 기술적으로나 체능적으로도 러시아보다는 한차원 낮은 팀이라 할 수 있으며 이 경기에서 한국팀은 많은 우월한 요소가 있다는 판단이다. 이제 한국대표팀이 알제리만 꺾으면 16강 진출은 별로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고 해야 할 것 같다. 그것은 이제 벨기에가 러시아만 꺾는다면 16강이 확정되기에 한국과의 경기에서는 소극적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동포투데이]한국 축구의 간판 스타 손흥민(33)이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토트넘 홋스퍼와의 10년 동행을 마무리하고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LAFC(로스앤젤레스 FC)에 공식 입단했다. 그는 “여기에 온 이유는 단 하나, 이기기 위해서”라며 새로운 각오를 밝혔다. 6일(현지시각) 미국 LA BMO 스타디움에서 열...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청두=동포투데이] 제12회 월드게임(World Games)이 8일 밤(현지시각) 중국 쓰촨성 청두에서 화려하게 막을 올렸다. 천부(天府) 국제회의센터의 460m 길이 목조건축 아래서 열린 개막식은 청두의 풍부한 역사문화유산과 현대적 감각이 어우러진 공연으로 관중을 사로잡았다. ... -
‘해삼 군단’의 몰락, 스스로 무덤을 판 중국 축구
중국 축구가 마침내 ‘국민 망각 리스트’에 올랐다. CCTV는 더 이상 대표팀 경기를 중계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유는 너무도 명확하다. 국민 앞에 내놓기 부끄러울 만큼 무기력하고 참담한 경기 내용 때문이다. 방송사조차 외면한 상황, 이건 스포츠가 아니라 스스로 무너지는 ‘자기 파괴 쇼’다. 국민이 ‘경기... -
바르셀로나, 4400만 유로 ‘콩고 후원’ 논란…“재정인가, 도덕인가”
[동포투데이]스페인 프로축구 명문 FC 바르셀로나가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DRC)과 체결한 새로운 스폰서십 계약이 거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단순한 로고나 후원금 문제가 아니라, 자금이 흘러나오는 정치적 배경과 현재 콩고의 인도적 상황 때문이다. 바르셀로나는 지난 7월 말, 콩고 정부와 4년간 ... -
"믿을 수 없는 판정, 심판도 수입…중국 축구, 신뢰 회복 가능할까"
“이제 축구도 믿을 수 없다.” 중국 축구 팬들 사이에서 최근 자주 들리는 말이다. 단순한 성적 부진이나 경기력 문제가 아니다. 중국 축구가 오랜 기간 묵인해온 불투명한 판정, 정치화된 운영, 그리고 구조적 부패가 마침내 폭발하고 있다. 그 단면이 바로 ‘심판 해외 수입’이라는 전대미문의 조치다. 중국... -
38살에 유럽 복귀…다비드 루이스, 파포스 FC와 3년 계약
[동포투데이] 브라질 대표팀과 첼시에서 활약했던 수비수 다비드 루이스(38)가 예상치 못한 행선지로 다시 유럽 무대에 복귀했다. 그가 선택한 곳은 키프로스의 파포스 FC. 유럽 무대를 떠난 지 4년 만의 귀환이다. 파포스 구단은 3일(현지시간) 공식 발표를 통해 “브라질 출신의 세계적인 수비수 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