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미·우크라이나 정상 회동 불발, 트럼프-젤렌스키 갈등 격화

  • 화영 기자
  • 입력 2025.03.01 12:0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 2월 2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의 백악관 회동이 예상치 못하게 격렬한 논쟁으로 이어지며 양국 관계에 새로운 긴장을 야기했다. 이번 회동에서 두 정상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평화 협상에 대한 입장 차이로 인해 치열한 말다툼을 벌였고, 젤렌스키 대통령은 예정보다 일찍 백악관을 떠났다.


글로벌 타임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비난하는 대신 평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은 '평화를 이루고 싶다'고 말해야 한다"며 "푸틴을 비난하는 부정적인 발언은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젤렌스키 대통령이 "사람들이 죽어가기 때문에 더 이상 이 전쟁을 지속하고 싶지 않다"는 메시지를 전달할 것을 요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회동에서 "너무 지나쳤다"고 비판하며, 두 사람이 현재 같은 목표를 추구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젤렌스키 대통령은 계속 싸우고 싶어 하지만, 우리는 살인을 끝내려고 한다"며 "전쟁을 종결하거나 그가 싸우게 내버려둘 것인데, 그가 우리의 지원 없이 승리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젤렌스키 대통령이 "지금 당장" 백악관으로 돌아가길 원했다는 주장에 대해 "그럴 수 없다"는 냉담한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미국 공화당 의원 토마스 매시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젤렌스키 대통령의 입장을 비판하며 "그는 바이든 전 대통령과 정부에 희망을 걸었지만, 그들은 졌고, 이제 그는 자신의 카드를 잘 쓰지 못한 듯하다"고 말했다. 이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도 "젤렌스키는 미국 국민의 눈에 스스로를 망가뜨렸다"고 지적하며, "우크라이나에 보내진 수천억 달러가 어디로 갔는지 알아낼 때가 왔다"고 강조했다.


한편, 젤렌스키 대통령은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존중한다"고 밝혔으나, 백악관에서 벌어진 말다툼에 대해 사과할 가능성은 배제했다. 그는 "우리는 매우 개방적이고 솔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잘하지 못하는 부분이 어디인지 잘 모르겠다"고 말하며 자신의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번 회동 불발 이후 워싱턴 포스트는 트럼프 행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모든 군사 지원을 중단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만약 트럼프 행정부가 군사 지원을 중단할 경우, 우크라이나에 제공될 예정이던 수십억 달러 규모의 레이더, 탄약, 차량, 미사일 등이 취소될 전망이다. 이는 미국-우크라이나 관계의 급격한 악화를 반영하는 조치로 평가된다.


이번 사태는 미·우 관계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태도와 젤렌스키 대통령의 고집이 맞부딪히며, 양국 간 협력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이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시진핑·김정은 회담…“북·중 전통친선 계승, 전략적 협력 강화”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 퇴임 앞둔 프랑스군 총참모장, “분열된 유럽은 강대국 먹잇감 될 수도”
  • 서정원 매직, 펠리피 폭발+웨이스하오 쇼타임…유스 듀오 데뷔골까지 ‘5-1 완승’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공산당 축구 관리’ 본격화…심양, 37억 쏟아 대련 추격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 ‘해삼 군단’의 몰락, 스스로 무덤을 판 중국 축구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미·우크라이나 정상 회동 불발, 트럼프-젤렌스키 갈등 격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