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검색결과
-
유엔, 사상 17번 조기 게양…중국인 위한 게양은 6번
- 뉴스홈
- 국제
2022.01.29 08:57
-
마오쩌둥 며느리 유사제 별세...향년 92세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2.01.08 14:28
-
53 년 전, 생명으로 지킨 中극비문서...22일 후 세계를 진감③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12.17 21:15
-
비운의 조선인 혁명가 무정장군③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11.19 21:22
-
‘제3차 세계대전’-총포성 없는 코로나19와의 전쟁은 ‘지구전’?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09.29 19:36
-
조국사태와 성인숭배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6.22 14:53
-
문재인 정부에 ‘주공’이 없다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4.14 10:39
-
사람들은 왜 좋은 이름에 집착할까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3.21 14:27
-
조선의용군과 만주독립군 활동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2.20 14:53
-
고강, 임표가 항미원조를 반대했는가?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02.16 16:32
-
중국혁명에 이바지한 외국인 장군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8 21:16
-
中 해방전쟁 시기 실패한 미국의 대 중국 침투 전략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10 21:14
-
[김정룡 칼럼] 귀 빠진 날과 미역국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6.21 11:57
-
中 장장 1세기에 거친 ‘항공모함의 꿈’ ②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5.23 18:27
-
[김정룡 칼럼] 코로나19와 흔들리는 재한조선족 정체성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4.19 17:06
-
유엔, 사상 17번 조기 게양…중국인 위한 게양은 6번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글로벌화가 진행되고 있는 요즘 국제 교류는 갈수록 빈번해지면서 조기를 게양해 상대국에 애도를 표하는 사례가 있다. 16세기에 수색을 수행하던 선장이 무자비하게 살해당하자 그를 기리기 위해 조기를 게양하는 방식이 동원됐다. 그 후로 조기 게양은 계속 전해져 내...- 뉴스홈
- 국제
2022.01.29 08:57
-
마오쩌둥 며느리 유사제 별세...향년 92세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2022년 1월 7일 새벽 1시 47분, 중국 모택동(毛澤東) 주석의 며느리 유사제(刘思齐)가 92세를 일기로 북경에서 별세했다. 일명 유송림(劉松林)으로 불리는 모안영(毛岸英)의 아내 유사제는 1930년 3월 2일 후베이(湖北)에서 혁명...-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2.01.08 14:28
-
53 년 전, 생명으로 지킨 中극비문서...22일 후 세계를 진감③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지난번 계속) 곽영회는 귀국하자 모택동 주석과 주은래 총리의 직접적인 접견을 받았다. 접견 장소에서 주은래가 곽영회에게 “무슨 요구가 있는냐”고 묻자 곽영회는 머뭇거리지도 않고 “하룻 빨리 업무에 임하고 싶다”고 짤막하게 대답했다.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12.17 21:15
-
비운의 조선인 혁명가 무정장군③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전번 계속) 조선의용군 창설 사업 무정은 또 다시 과로로 인해 건강에 문제가 생겼다. 고질인 위장염이 재발한 것이다. 이러자 사령부에서는 재차 그에게 휴식을 명령했다. 건강이 회복될 즈음 무정은 또 새로...-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11.19 21:22
-
‘제3차 세계대전’-총포성 없는 코로나19와의 전쟁은 ‘지구전’?
● 철 민 요즘 전반 지구촌이 전쟁터로 되고 있다. 아니, 이 전쟁은 2020년 1월부터 진작 시작되었다. 여느 전쟁과 다르다면 이 전쟁은 총포소리가 없다는 것이다. 전쟁의 양상을 보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는 1931년 9월 일본관동군이 중국 동북을 삼켜 버...-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09.29 19:36
-
조국사태와 성인숭배
●김정룡(多가치 포럼 위원장) 1년 남짓 대한민국을 시끌벅적하게 만든 이른바 ‘조국사태’가 사람들의 뇌리에서 차츰 떠나기 시작한 줄 알았는데 요즘 또 재 점화되고 있다. 이번에 불을 지핀 장본인은 보수 언론이나 보수유튜브도 아니고 ‘먼지 털이’로 조국일가를 지옥에 몰아넣은 검찰도...-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6.22 14:53
-
문재인 정부에 ‘주공’이 없다
●김정룡(多가치 포럼 위원장)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도시 서울과 부산 두 곳 시장 자리가 불미스럽게 성추행 사건에 의해 공백이 되어 보궐선거를 치르게 되었다.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여당이 당헌·당규까지 바꿔가면서 후보를 내는 등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4.14 10:39
-
사람들은 왜 좋은 이름에 집착할까
●김희수(중국) 부모가 지어준 이름이 마음에 안 들어 개명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애초에 그 이름을 지었을 때는 자식이 잘되기를 바라는 부모의 아름다운 축복이 깃들었을 것이다. 부모가 고민하면서 숱한 이름 가운데서 골랐을 좋은 이름을 버리고 새 이름을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3.21 14:27
-
조선의용군과 만주독립군 활동
● 김 규 한국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조선의용군’을 검색해보면 만주에서 싸우던 독립군 부대라고 버젓이 나온다. 해서 만주에서 조선의용군 혹은 조선 의용대가 싸웠거니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래서 조선의용군이 곧 조선독립군이고 만주에서 만들어...-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2.20 14:53
-
고강, 임표가 항미원조를 반대했는가?
○김희수 1954년에 중국공산당 제7기 4중전회에서 고강(高岗), 요수석사건에 대해 결정을 내린 후 고강이 조선(북한) 출병을 반대했다는 설법이 있었다. 1971년의 “9.13”사건 후에도 또 임표(林彪)가 조선 출병을 반대했다는 설법이 있었다. 20세기 90년대 말까지 항미원조...-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02.16 16:32
-
중국혁명에 이바지한 외국인 장군들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 노농홍군이 강행한 2만5000리 장정에 참가한 이들 중에는 적지 않은 외국인들도 있었다. 거기에는 저명한 외국국적 공산당원이 있었는가 하면 이름도 남기지 않은 ‘무명영웅’도 있었다. 또한 장정도중 홍군을 위하여 많은 유익한 일을 한 외국인 전도사도 있었다. 그럼 오늘 이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8 21:16
-
中 해방전쟁 시기 실패한 미국의 대 중국 침투 전략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의 국내 해방전쟁은 중국인민이 부패한 장개석 독재정권을 뒤엎고 자유와 독립해방을 쟁취하는 대 결전이었으며 중국의 두 가지 운명, 두 가지 전도를 가름하는 최후의 대 결전이었다. 이 대 결전 중 중국 국민당정권은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컸으며 미국 또한 국민당 정권에 대한 원조를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10 21:14
-
[김정룡 칼럼] 귀 빠진 날과 미역국
●김정룡(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장) 중국어가 영어에 비해 표현력이 4.5배란다. 하긴 한문자체가 이 세상에서 유일한 뜻글자(표의자, 表意字)이기에 충분히 그럴 수 있겠다. 중국을 이웃한 우리 말 어휘 중 75%가 한자어라고 하니 한문 신세를 단단히 지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한자어를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6.21 11:57
-
中 장장 1세기에 거친 ‘항공모함의 꿈’ ②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011년 중국의 첫 항공모함이 건조대에서 출해, 성공적으로항행 시험 진행했다. 2012년 9월 25일, <요녕 함(辽宁舰)>으로 명명된 중국의 첫 항공모함이 정식으로 해군에 교부, 항공모함이 없는 중국해군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2017년 12월 17일, 중앙군위의 비준...-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5.23 18:27
-
[김정룡 칼럼] 코로나19와 흔들리는 재한조선족 정체성
●김정룡(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장) “야, 저 봐, 신천지 때문에 또 하루 사이 확진자가 100명이 넘어 나왔대. 아이 이상하다. 중국처럼 말 안 들으면 확 족쳐버리면 될 것을 한국정부는 왜 저리 무능하냐?” “엄마, 한국은 민주주의국가라서 인권 때문에 중국처럼 강력한 조치...-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4.19 17:06
-
유엔, 사상 17번 조기 게양…중국인 위한 게양은 6번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글로벌화가 진행되고 있는 요즘 국제 교류는 갈수록 빈번해지면서 조기를 게양해 상대국에 애도를 표하는 사례가 있다. 16세기에 수색을 수행하던 선장이 무자비하게 살해당하자 그를 기리기 위해 조기를 게양하는 방식이 동원됐다. 그 후로 조기 게양은 계속 전해져 내려왔다고 한다. 현대에 와서 조기를 게양하는 것은 한 국가나 국제기구에서 흔히 감정을 표현하는 형식으...- 뉴스홈
- 국제
2022.01.29 08:57
- 뉴스홈
- 국제
2022.01.29 08:57
-
마오쩌둥 며느리 유사제 별세...향년 92세
[동포투데이 김다윗 기자] 2022년 1월 7일 새벽 1시 47분, 중국 모택동(毛澤東) 주석의 며느리 유사제(刘思齐)가 92세를 일기로 북경에서 별세했다. 일명 유송림(劉松林)으로 불리는 모안영(毛岸英)의 아내 유사제는 1930년 3월 2일 후베이(湖北)에서 혁명열사 유겸초(劉謙初)와 장문추(張文秋)의 딸로 태어났다. 1927년 무한에서 열린 중공 제5차 대표자회에서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2.01.08 14:28
- 뉴스홈
- 국제
- 아시아
2022.01.08 14:28
-
53 년 전, 생명으로 지킨 中극비문서...22일 후 세계를 진감③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지난번 계속) 곽영회는 귀국하자 모택동 주석과 주은래 총리의 직접적인 접견을 받았다. 접견 장소에서 주은래가 곽영회에게 “무슨 요구가 있는냐”고 묻자 곽영회는 머뭇거리지도 않고 “하룻 빨리 업무에 임하고 싶다”고 짤막하게 대답했다. 조국이 수요하는 사업에 투신 1956년 말, 중국역학연구센...-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12.17 21:15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12.17 21:15
-
비운의 조선인 혁명가 무정장군③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전번 계속) 조선의용군 창설 사업 무정은 또 다시 과로로 인해 건강에 문제가 생겼다. 고질인 위장염이 재발한 것이다. 이러자 사령부에서는 재차 그에게 휴식을 명령했다. 건강이 회복될 즈음 무정은 또 새로운 임무를 맡게 됐다. 대일 작전을 모색하기 위해 연안에 찾아온 조선인 청년들을 집중시켜 조선의용군...-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11.19 21:22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11.19 21:22
-
‘제3차 세계대전’-총포성 없는 코로나19와의 전쟁은 ‘지구전’?
● 철 민 요즘 전반 지구촌이 전쟁터로 되고 있다. 아니, 이 전쟁은 2020년 1월부터 진작 시작되었다. 여느 전쟁과 다르다면 이 전쟁은 총포소리가 없다는 것이다. 전쟁의 양상을 보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 속도는 1931년 9월 일본관동군이 중국 동북을 삼켜 버릴 때의 진격 속도보다도, 소련군이 베를린을 향해 진격할 때의 속도보다도 훨씬 더 빨라 수개월 내에 지구...-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09.29 19:36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09.29 19:36
-
조국사태와 성인숭배
●김정룡(多가치 포럼 위원장) 1년 남짓 대한민국을 시끌벅적하게 만든 이른바 ‘조국사태’가 사람들의 뇌리에서 차츰 떠나기 시작한 줄 알았는데 요즘 또 재 점화되고 있다. 이번에 불을 지핀 장본인은 보수 언론이나 보수유튜브도 아니고 ‘먼지 털이’로 조국일가를 지옥에 몰아넣은 검찰도 아니다. 조국 자신이다. 도무지 억울해 죽겠으니 변명으로 맘의 짐을 털려는 절박한 심정으로『조국의 시...-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6.22 14:53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6.22 14:53
-
문재인 정부에 ‘주공’이 없다
●김정룡(多가치 포럼 위원장)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도시 서울과 부산 두 곳 시장 자리가 불미스럽게 성추행 사건에 의해 공백이 되어 보궐선거를 치르게 되었다.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여당이 당헌·당규까지 바꿔가면서 후보를 내는 등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4.7보궐선거가 끝났다. 선거결과는 보수당의 압승, 진보당의 참패였다. ‘한 집은 환락, 다른 한 집은 울상...-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4.14 10:39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4.14 10:39
-
사람들은 왜 좋은 이름에 집착할까
●김희수(중국) 부모가 지어준 이름이 마음에 안 들어 개명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애초에 그 이름을 지었을 때는 자식이 잘되기를 바라는 부모의 아름다운 축복이 깃들었을 것이다. 부모가 고민하면서 숱한 이름 가운데서 골랐을 좋은 이름을 버리고 새 이름을 지으려고 할 때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것이다. 다른 아이들이 놀려준다거나 흔한...-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3.21 14:27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3.21 14:27
-
조선의용군과 만주독립군 활동
● 김 규 한국의 인터넷 사이트에서 ‘조선의용군’을 검색해보면 만주에서 싸우던 독립군 부대라고 버젓이 나온다. 해서 만주에서 조선의용군 혹은 조선 의용대가 싸웠거니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그래서 조선의용군이 곧 조선독립군이고 만주에서 만들어진 조선독립군 백두산 독립군이나 만주 독립군이라고 생각하고 나아가서 항일연군에도 가담하지 않았나 혹...-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2.20 14:53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1.02.20 14:53
-
고강, 임표가 항미원조를 반대했는가?
○김희수 1954년에 중국공산당 제7기 4중전회에서 고강(高岗), 요수석사건에 대해 결정을 내린 후 고강이 조선(북한) 출병을 반대했다는 설법이 있었다. 1971년의 “9.13”사건 후에도 또 임표(林彪)가 조선 출병을 반대했다는 설법이 있었다. 20세기 90년대 말까지 항미원조전쟁(6.25전쟁)에 대해 언급한 개별적인 저작에서 이런 설법이 있었다. 그럼 고강과 임표가 정말로 항미원조...-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02.16 16:32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1.02.16 16:32
-
중국혁명에 이바지한 외국인 장군들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 노농홍군이 강행한 2만5000리 장정에 참가한 이들 중에는 적지 않은 외국인들도 있었다. 거기에는 저명한 외국국적 공산당원이 있었는가 하면 이름도 남기지 않은 ‘무명영웅’도 있었다. 또한 장정도중 홍군을 위하여 많은 유익한 일을 한 외국인 전도사도 있었다. 그럼 오늘 이 글에서는 주로 4명의 외국인 공산당원을 소개, 이들로는 소련에서 온 이덕(李德), 조선에서 온 필사제(毕士...-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8 21:16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28 21:16
-
中 해방전쟁 시기 실패한 미국의 대 중국 침투 전략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중국의 국내 해방전쟁은 중국인민이 부패한 장개석 독재정권을 뒤엎고 자유와 독립해방을 쟁취하는 대 결전이었으며 중국의 두 가지 운명, 두 가지 전도를 가름하는 최후의 대 결전이었다. 이 대 결전 중 중국 국민당정권은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컸으며 미국 또한 국민당 정권에 대한 원조를 대폭 늘이기도 했다. 이렇듯 엄준한 정세에 직면하여 중국공산당은 2차 대전 후의 국내 외 형세를 전면 분...-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10 21:14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8.10 21:14
-
[김정룡 칼럼] 귀 빠진 날과 미역국
●김정룡(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장) 중국어가 영어에 비해 표현력이 4.5배란다. 하긴 한문자체가 이 세상에서 유일한 뜻글자(표의자, 表意字)이기에 충분히 그럴 수 있겠다. 중국을 이웃한 우리 말 어휘 중 75%가 한자어라고 하니 한문 신세를 단단히 지고 있는 셈이다. 그런데 한자어를 제외한 순수 우리 낱말들은 삶의 정서를 표현하는 기능이 너무 풍부해서 세상에서 으뜸이라 나는 생각한다.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6.21 11:57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6.21 11:57
-
中 장장 1세기에 거친 ‘항공모함의 꿈’ ②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2011년 중국의 첫 항공모함이 건조대에서 출해, 성공적으로항행 시험 진행했다. 2012년 9월 25일, <요녕 함(辽宁舰)>으로 명명된 중국의 첫 항공모함이 정식으로 해군에 교부, 항공모함이 없는 중국해군의 역사에 종지부를 찍었다. 2017년 12월 17일, 중앙군위의 비준을 거쳐 중국의 첫 국산항공모함이 <중국인민해방군 해군 산동함(山东舰)>으로 명명, 해남성 삼아(三...-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5.23 18:27
- 오피니언
- 기획/연재
2020.05.23 18:27
-
[김정룡 칼럼] 코로나19와 흔들리는 재한조선족 정체성
●김정룡(중국동포사회문제연구소장) “야, 저 봐, 신천지 때문에 또 하루 사이 확진자가 100명이 넘어 나왔대. 아이 이상하다. 중국처럼 말 안 들으면 확 족쳐버리면 될 것을 한국정부는 왜 저리 무능하냐?” “엄마, 한국은 민주주의국가라서 인권 때문에 중국처럼 강력한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있어요.” “야, 야, 인권이고 뭐고 이 비상시국에 비상조치를 취해야지. 정부가 저렇...-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4.19 17:06
- 오피니언
- 칼럼/기고
2020.04.19 1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