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복(光復) 다음은?
■文玟 (大林國際學校)
70년, 사람으로 말하면 칠순이다. 만수무강을 기원하며 고희잔치를 치른다. 70년, 올해는 한반도 광복 70주년이다. 국가적인 축제가 한창이다.
학생들에게 물었다. 왜 광복일을 기념할까요? 나라가 세워진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란다. 면상에서 틀린 대답이라고 하기는 무리이다.
광복과 건국을 혼동하는 이들은 한국에서 의무교육을 1년도 받아보지 못한 중국동포 자녀들이다. ‘광복절’은 귀화시험의 단골 문제이다. 필기시험에도 나오고 면접시험에도 나온다. 꼭 알아둬야 하고 국경일이다.
광복 70년! 긴~ 세월이 흘렀다. 할아버지는 타향에서 광복을 기다렸지만 끝내 보지 못하고 돌아가셨다. 아버지는 광복을 보았지만 100만 명 귀국행렬에 서지 못했다. 그런 나는 아버지 고향에 왔지만 광복이 무엇이지 잘 모르고 있다.
현재 나처럼 할아버지 아버지 고향에 온 중국동포는 50만 명. 제2의 광복을 맞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광복70주년을 앞두고 대한민국 곳곳에서 국가적인 잔치가 벌어지고 있다. 서울의 남쪽(잠실종합운동장)에서는 ‘천만의 합창’(www.천만의합창.com), 북쪽(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는 ‘나는 대한민국’국민대합창(http://815.kbs.co.kr)등 초대형행사를 준비하고 있다.
광복의 기쁨을 만끽하고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싶거든 ‘천만의 합창’이나 국민대합창에 꼭 참가할 것을 권하고 싶다.
광복70주년 대잔치는 당일 8월15일에 절정을 이룰 것이다. 그리고 서서히 축제의 열기가 식어질 것이다. 광복70주년을 마치고 일상으로 돌아 온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나.
나는 예전과 같이 강당에서 학생들을 맞을 것이다. 광복절에 대해 잘 모르는 학생에게 광복의 의미를 설명할 것이고 건국에 대해 질문하는 학생에게는 난감한 표정을 지을 것이다.
아니, 이제는 똑같은 교육을 해서는 안되겠다. 이제는 건국을 말해야 할 것이다. 건국을 쉽게 말하면 남북통일이다. 지금까지는 반쪽 건국이었지만 하루빨리 통일하여 완전한 건국을 이루어야 한다. 그리고 건국일을 정해 후세들에게 광복절처럼 건국절도 기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통일은 대합창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통일’ ‘통일’ 노래만 부르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 중국동포들 중에는 통일의 아들딸들이 많다. 남쪽 출신 아버지와 북쪽 출신 엄마를 둔 통일아(統一兒)들이다. 이들도 통일의 주역으로 볼 때 통일은 더 빨리 다가 올 것이다.
광복70주년을 기념하여 중국 조선족 학생 100명이 한국에 와서 KBS도전골든벨에 도전한단다. 민감한 역사문제는 조심스럽게 다룬다는 작가님의 귀뜸. 그렇다면 미래의 문제라도 많이 다뤄보는 게 어떨까.
“광복일은 1945년 8월 15일입니다. 그렇다면 한반도의 건국일은 언제일까요?”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허 훈 | 칼럼니스트 “디아스포라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지난 6월 23일 서울 종이나라박물관에서 열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0회 발표회에서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이 던진 이 말은 한글교육의 본질과 미래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표현이었다. 한글교육은 더 이상 단순한 문자 교육...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각 시대마다 역사 흐름을 바꾸는 탁월한 인물들이 등장해왔다. 이들은 그 지혜와 능력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신과 같은 존재’로 불리며 사회와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삼국연의>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이러한 인물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지만, 실제 역사 속에서는 그조차도 ‘신인’ 순위의 다섯 손가락 안에 들... -
‘홍대 중국인 커플 폭행’, 언제까지 외국인 혐오에 눈 감을 것인가
[동포투데이] 서울 한복판에서 벌어진 외국인 관광객 폭행 사건이 또다시 한국의 국격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 3일 밤, 서울 홍대 앞 거리에서 중국인 커플이 한국인 남성에게 네 차례나 폭행당한 사건이 벌어졌다. 그 장면은 피해자가 직접 촬영한 영상으로 중국 SNS에 확산됐고, “한국은 안전한가”라는 물음이 순식간에...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동포투데이] 제주도의 바람이 전해주는 건 더 이상 소라향만이 아니다. 라면 국물 냄새가 편의점 냉장고 위에 퍼지고, 중국어가 적힌 안내문 옆에서 한국인 점원이 무거운 빗자루를 쥔 채 한숨을 쉰다. 관광객의 무질서한 행동이 반복되는 가운데, 지역 주민과 상인들은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다.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중국인 아이돌의 한마디에 ‘집단 분노’… 한국 사회의 불안한 자화상
-
중국 축구, 끝없는 추락에 해체론 재점화
-
“감독만 바꾸면 나아질까”…中 축구, ‘20년 책임 전가’의 민낯
-
‘홍대 중국인 커플 폭행’, 언제까지 외국인 혐오에 눈 감을 것인가
-
“억제”의 환상, 전쟁의 불씨가 된 서태평양…수천만 생명 위협하는 핵 시나리오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
'축구 굴기'의 허상, 국가 통제 축구의 비극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