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순신 장군전에 올릴 벼를 벱니다

  • 허훈 기자
  • 입력 2014.10.20 12:17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10월 25일, 이충무공묘소 위토 벼 베기 체험행사
[동포투데이]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최이태)는 오는 25일 일제강점기에 민족 성금으로 지켜낸 이충무공 묘소 위토(位土: 제사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작되는 논)에서 자란 벼를 전통방식에 따라 시민의 손으로 직접 수확하는 체험행사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오전 10시 이충무공 묘소 참배를 시작으로, 직원들의 행사 안내와 교육을 받고 오전 11시부터 벼 베기에 들어간다. 벼 베기를 하는 동안 일꾼들의 흥을 돋우기 위해 전통 풍물놀이가 함께 진행된다. 아울러 벼 베기 체험행사를 마친 후엔 들밥(새참)도 제공된다.
 
이충무공 묘소는 현충사에서 북쪽으로 9km쯤 떨어진 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어라산 기슭에 있는 덕수이씨 선산에 자리 잡고 있다. 그 아래쪽에 있는 위토는 이충무공 묘소와 사당의 유지비, 춘추제향(春秋祭享)비 등에 필요한 경비를 대기 위해 마련된 땅이다.
 
이충무공 묘소의 위토는 현충사 중건과 관계가 깊은 역사적인 곳이다. 일제강점기 당시 종가의 가세가 기울어, 이 위토가 충무공의 묘소 임야와 함께 은행에 저당이 잡혀 경매로 일본인의 손에 넘어갈 위기에 처하게 된 적이 있었다.
 
이 사실은 1931년 5월 13일 자 동아일보에 “2천 원 빚에 경매당하는 이충무공의 묘소 위토”라는 제목으로 기사가 나면서 세상에 알려졌고, 그 다음 날부터 이충무공 묘소의 위토를 구하기 위하여 전국 각지에서 성금이 모이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충무공유적보존회’가 결성되어 불과 1개월 만에 빚 2,272원 22전을 모두 갚게 되었다. 또 1년여 만에 모인 성금 총 1만 6,021원 30전 중 빚을 갚고 남은 돈으로, 청전 이상범 화백이 그린 초상화를 봉안한 현충사를 중건하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에 민족 성금으로 지켜낸 이충무공 묘소와 위토에서 치러지는 이번 벼 베기 체험행사는 겨레의 영웅인 이순신 장군의 위업을 다시금 되새기고, 가족과 함께 우리 전통문화도 체험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현충사관리소는 오는 21일 오전 9시부터 전화(☎041-539-4612) 접수를 통해 선착순으로 40가족(100명 내외)을 신청받는다.
 
캡처.PNG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 ‘축구굴기’는 실패했다…중국, 이제 아마추어에 열광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中 외교부가 극찬한 배우, 유역비의 조용한 선행 17년”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 “연봉 더 깎으면 누가 축구하나?”...中 전 국가대표의 궤변
  • 새로운 시작, 문화와 통합의 시대를 열며...
  • 유역비, 37세에도 ‘요정 미모’ 과시…“나이는 숫자일 뿐”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이순신 장군전에 올릴 벼를 벱니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