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철균
강등모면의 “청신호”, 죽지 않은 연변팀! 그렇다. 연변팀은 죽지 않았다. 올들어 모든 것이 크게 “댄베이(点背ㅡ 재수없음)”이고 자아실수도 많은 연변팀이었지만 그래도 그제날의 풍격은 어느 정도 남아있는 것 같다.
연변팀의 대 북경이공전, 지난 5월 15일의 1회전 홈구장에서는 1 : 5였던가 참패를 당했다. “연변축구의 제사날”같은 기분이었다. 그래서 “연변축구의 애도일”이란 글 써보았었다. 하지만 이번 북경원정에서는 4발의 미사일을 명중하며 4 : 2의 압승으로 홈구장도 아닌 원정승을 만들어냈다. 최대의 설욕이다. 이런 기적을 잘 만들어내는 것이 곧바로 연변축구이다. 또한 “연변축구의 원정잔치날”이란 기분이다. 이런 날에는 술 한잔이 없어서는 안되었다. 구멍가게에 들어가 “양러우쵄(羊肉串)”에 반근짜리 “루저우로죠(泸州老窖)” 한병 입안에 쏟아넣었다.
그러면서 소리쳤다.
“고종훈동무, 참 자알했능기라ㅡ베리굿!”
필자가 강등모면의 “청신호”라고 “주먹구구식” 판단을 한건 다름이 아니다.
이번 제23라운드에서 광동일지천과 성도천성 두 “라이벌”이 2 : 2로 비겼다. 성도천성이 한골씩 앞서다가 낭패상이 됐다. “그눔”들의 점수가 올라가지 못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 연변팀의 살길이다.
성도천성? 워낙 연변축구와는 상대도 아니었다. 서북축구다. 본지방 선수가 없다. 무너지면 모래탑이다.
한국에서는 “동무”란 말을 잘 쓰지 않는다. 하지만 필자는 마음속으로 성도천성의 이장수 감독한테 “동무”란 칭호를 쓰고 싶었다.
“이장수동무, 이번에는 성도에 잘못 온 것 같응기라. 장수할려면 그런 썩발나무족구대 맡디 말아야디ㅡ.”
이장수ㅡ 개인적으로는 악감정이 없다. 취재를 수차 했고 농담도 잘 주고 받는 사이다. 헌데 그가 지난번 연변에 와서는 “디랄(지랄)”을 했다. 참 밥맛이 없었다.
“이장수동무, 왜 그러항기라? 한디 장수(长寿)에 불리항기라.”
……
연변팀에 대한 맹목적인 낙관이 아니다. 소식공개회에서 고종훈 감독이 밝히다 싶이 연변팀한테는 아직 곤란이 많고 갈 길도 멀다. 이제 남은 7경기에서 어떤 낭패상을 당할지도 모를 일이다. 자책골, 페너티킥 실축, 홈구장 대패…모든 가능성이 다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필자의 평가라면 “고종훈”호 출범 2경기에서 “고종훈식의 축구”를 보여주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제날 고종훈은 공격형 미드필더(前腰)였다. 그래서일까? 고종훈의 축구운영에는 공격성분이 농후했다. 오늘날의 세계축구의 흐름새는 실리축구가 선호되고 있다. “실점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승전을 기대한다”이다. 하지만 필자는 고종훈의 공격형축구를 좋아한다. 실점하고 패하더라도 공격축구가 “연변팀 체질”이 맞는다고 판단한다. 패할 땐 패하더라도 얻어맞으며 패하기보다는 때리다가 패하는 것이 낫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지난 브라질 월드컵에서 “삼바군단”의 체면이 땅에 떨어졌지만 그래도 필자가 냉혹하고 실리에만 목을 매는 유럽축구보다는 활발하고 개인기도 보여주는 남미축구를 더 좋아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연변팀의 득점력 미비ㅡ 거듭 강조하지만 이는 “천하의 고종훈”도 어쩔 수 없는 것이다. 고종훈이 공을 직접 차는 것이 아니니까. 그럼 이제 와서 바르셀로나의 메시를 사오랴, 아니면 레알 마드리드의 호나우드를 영입하랴.
필자는 축구에도 “선전(善战)”과 “영예전”이 있다는 걸 많이 들었었다.
올시즌 연변팀의 운명을 두고 필자 역시 낙관은 금물이라는 것을 잘 안다. 어떤 이들이 말하는 것처럼 “최악의 상태”가 도래할 수도 있다. 참, 어떤이들은 이를 바라고 있는 것처럼 말하기도 하여 괘씸했다. 그럴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연변축구가 죽는 것은 결코 아니며 연변축구를 포기해서는 더욱 안될 일이다.
이제 남은 7경기 갑급강등 여하보다는 “선전”과 “영예전”을 염두에 두면 혹시 더 나은 결과가 도래할 수도 있지 않을까?
BEST 뉴스
-
‘축구굴기’는 실패했다…중국, 이제 아마추어에 열광
[동포투데이] “중국 축구팬이 된다는 건 인내심과 회복탄력성, 그리고 약간의 자학적 유머 감각을 요구하는 일이다.” 마케팅 리서치 전문기관 차이나 스키니(China Skinny)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중국 축구의 현실을 이렇게 묘사했다. 한때 ‘축구 굴기’를 외치며 국가 차원의 대대적 투자를 받았던 중국 축구는 오늘... -
"믿을 수 없는 판정, 심판도 수입…중국 축구, 신뢰 회복 가능할까"
“이제 축구도 믿을 수 없다.” 중국 축구 팬들 사이에서 최근 자주 들리는 말이다. 단순한 성적 부진이나 경기력 문제가 아니다. 중국 축구가 오랜 기간 묵인해온 불투명한 판정, 정치화된 운영, 그리고 구조적 부패가 마침내 폭발하고 있다. 그 단면이 바로 ‘심판 해외 수입’이라는 전대미문의 조치다. 중국... -
바르셀로나, 4400만 유로 ‘콩고 후원’ 논란…“재정인가, 도덕인가”
[동포투데이]스페인 프로축구 명문 FC 바르셀로나가 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DRC)과 체결한 새로운 스폰서십 계약이 거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단순한 로고나 후원금 문제가 아니라, 자금이 흘러나오는 정치적 배경과 현재 콩고의 인도적 상황 때문이다. 바르셀로나는 지난 7월 말, 콩고 정부와...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동포투데이]한국 축구의 간판 스타 손흥민(33)이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 토트넘 홋스퍼와의 10년 동행을 마무리하고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LAFC(로스앤젤레스 FC)에 공식 입단했다. 그는 “여기에 온 이유는 단 하나, 이기기 위해서”라며 새로운 각오를 밝혔다. 6일(현지시각) 미국 LA BMO 스타디움에서 열... -
메시 없는 유럽 여행…안토넬라, 바르사 '와이프 군단'과 이탈리아서 재회
[동포투데이]리오넬 메시(인터 마이애미)의 아내 안토넬라 로쿠소가 최근 이탈리아에서 특별한 재회를 가졌다. 그는 바르셀로나 시절부터 인연을 맺어온 절친한 친구들과 함께 유럽에서 휴가를 즐기며 오랜 우정을 다시금 확인했다. 로쿠소는 이번 여행에서 세르지 로베르토의 아내 코랄 시마노비치,... -
“연승은 우연이 아니다”… 연변 홈 9연승, 대륙이 놀란 ‘작지만 강한 팀’의 비결
[동포투데이] “또 이겼다고?” “연변, 요즘 미쳤네!” 2025년 여름, 중국 갑급리그(中甲) 팬들의 온라인 공간은 ‘연변 홈 9연승’이라는 말로 가득 찼다. 연변룽딩(延边龙鼎)은 자그마한 연길시 인민체육장에서 9경기 연속 홈 승리를 이어가며, 그야말로 ‘중국판 안필드’를 만들어내고 있다. 창단 6년 차의 ‘신생팀’은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