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철균
강등모면의 “청신호”, 죽지 않은 연변팀! 그렇다. 연변팀은 죽지 않았다. 올들어 모든 것이 크게 “댄베이(点背ㅡ 재수없음)”이고 자아실수도 많은 연변팀이었지만 그래도 그제날의 풍격은 어느 정도 남아있는 것 같다.
연변팀의 대 북경이공전, 지난 5월 15일의 1회전 홈구장에서는 1 : 5였던가 참패를 당했다. “연변축구의 제사날”같은 기분이었다. 그래서 “연변축구의 애도일”이란 글 써보았었다. 하지만 이번 북경원정에서는 4발의 미사일을 명중하며 4 : 2의 압승으로 홈구장도 아닌 원정승을 만들어냈다. 최대의 설욕이다. 이런 기적을 잘 만들어내는 것이 곧바로 연변축구이다. 또한 “연변축구의 원정잔치날”이란 기분이다. 이런 날에는 술 한잔이 없어서는 안되었다. 구멍가게에 들어가 “양러우쵄(羊肉串)”에 반근짜리 “루저우로죠(泸州老窖)” 한병 입안에 쏟아넣었다.
그러면서 소리쳤다.
“고종훈동무, 참 자알했능기라ㅡ베리굿!”
필자가 강등모면의 “청신호”라고 “주먹구구식” 판단을 한건 다름이 아니다.
이번 제23라운드에서 광동일지천과 성도천성 두 “라이벌”이 2 : 2로 비겼다. 성도천성이 한골씩 앞서다가 낭패상이 됐다. “그눔”들의 점수가 올라가지 못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 연변팀의 살길이다.
성도천성? 워낙 연변축구와는 상대도 아니었다. 서북축구다. 본지방 선수가 없다. 무너지면 모래탑이다.
한국에서는 “동무”란 말을 잘 쓰지 않는다. 하지만 필자는 마음속으로 성도천성의 이장수 감독한테 “동무”란 칭호를 쓰고 싶었다.
“이장수동무, 이번에는 성도에 잘못 온 것 같응기라. 장수할려면 그런 썩발나무족구대 맡디 말아야디ㅡ.”
이장수ㅡ 개인적으로는 악감정이 없다. 취재를 수차 했고 농담도 잘 주고 받는 사이다. 헌데 그가 지난번 연변에 와서는 “디랄(지랄)”을 했다. 참 밥맛이 없었다.
“이장수동무, 왜 그러항기라? 한디 장수(长寿)에 불리항기라.”
……
연변팀에 대한 맹목적인 낙관이 아니다. 소식공개회에서 고종훈 감독이 밝히다 싶이 연변팀한테는 아직 곤란이 많고 갈 길도 멀다. 이제 남은 7경기에서 어떤 낭패상을 당할지도 모를 일이다. 자책골, 페너티킥 실축, 홈구장 대패…모든 가능성이 다 있을 수 있다. 하지만 필자의 평가라면 “고종훈”호 출범 2경기에서 “고종훈식의 축구”를 보여주었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제날 고종훈은 공격형 미드필더(前腰)였다. 그래서일까? 고종훈의 축구운영에는 공격성분이 농후했다. 오늘날의 세계축구의 흐름새는 실리축구가 선호되고 있다. “실점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승전을 기대한다”이다. 하지만 필자는 고종훈의 공격형축구를 좋아한다. 실점하고 패하더라도 공격축구가 “연변팀 체질”이 맞는다고 판단한다. 패할 땐 패하더라도 얻어맞으며 패하기보다는 때리다가 패하는 것이 낫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지난 브라질 월드컵에서 “삼바군단”의 체면이 땅에 떨어졌지만 그래도 필자가 냉혹하고 실리에만 목을 매는 유럽축구보다는 활발하고 개인기도 보여주는 남미축구를 더 좋아하는 까닭이기도 하다.
연변팀의 득점력 미비ㅡ 거듭 강조하지만 이는 “천하의 고종훈”도 어쩔 수 없는 것이다. 고종훈이 공을 직접 차는 것이 아니니까. 그럼 이제 와서 바르셀로나의 메시를 사오랴, 아니면 레알 마드리드의 호나우드를 영입하랴.
필자는 축구에도 “선전(善战)”과 “영예전”이 있다는 걸 많이 들었었다.
올시즌 연변팀의 운명을 두고 필자 역시 낙관은 금물이라는 것을 잘 안다. 어떤 이들이 말하는 것처럼 “최악의 상태”가 도래할 수도 있다. 참, 어떤이들은 이를 바라고 있는 것처럼 말하기도 하여 괘씸했다. 그럴수도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도 연변축구가 죽는 것은 결코 아니며 연변축구를 포기해서는 더욱 안될 일이다.
이제 남은 7경기 갑급강등 여하보다는 “선전”과 “영예전”을 염두에 두면 혹시 더 나은 결과가 도래할 수도 있지 않을까?
BEST 뉴스
-
서정원 매직, 펠리피 폭발+웨이스하오 쇼타임…유스 듀오 데뷔골까지 ‘5-1 완승’
[동포투데이] 한국인 사령탑 서정원이 또 한 번 지도력을 증명했다. 청두 룽청(成都蓉城)이 23일 밤 원정에서 승격팀 윈난 위쿤(云南玉昆)을 5대1로 제압하며 중국 슈퍼리그 22라운드 대승을 거뒀다. 화려한 스타 플레이, 과감한 유스 기용, 그리고 팀을 하나로 묶는 지도력이 어우러진 경기였다. 경... -
“중국, 생각보다 훨씬 개방적…브라질 공격수 제카, 中 생활 솔직 고백
[동포투데이] 중국 슈퍼리그 산동 타이산의 브라질 출신 공격수 제카(28)가 중국에서의 생활과 축구 환경에 대해 솔직하게 털어놨다. 그는 최근 브라질 언론과 인터뷰에서 “중국은 생각보다 훨씬 개방적이다. 거리도 깨끗하고 생활 편리하며, 브라질보다 부유하게 느껴진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에서 은퇴할 계획이다. ... -
“부패와 무능에 발목 잡힌 중국 축구, 민간 대회 장악 시도로 논란”
글 | 허훈 중국축구협회(이하 축구협회)가 민간 축구 대회를 전면 장악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이 움직임은 단순한 관리가 아니라, 중국 축구의 썩은 행정 시스템과 부패 구조를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중국 슈퍼리그(CSL)는 최근 5년간 20개 이상의 구단이 폐... -
“서감독, 제발 가지 마!”…팬심 폭발시킨 4-1 완승
[동포투데이] “徐指导,别走(서 감독, 가지 마세요)!” 30일 밤 중국 성도(成都) 펑황산 스포츠파크가 함성으로 흔들렸다. 성도 용성이 리그 강호 상하이 해항을 4-1로 완파하자, 팬들은 자리를 뜨지 못하고 한국인 사령탑 서정원 감독의 이름을 연호했다. 경기 전까지 분위기는 달랐다. 구단... -
중국 남자축구, 국제 무대서 외면…축구협회 대응에도 비판 확산
[동포투데이] 중국 남자축구가 국제 무대에서 사실상 냉대를 받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해외 축구 팬들 사이에서는 “중국 대표팀에는 실력 있는 선수가 없다”는 비판과 함께 조롱 섞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으며, 중국 내 여론도 깊은 실망감을 드러내고 있다. 외국 네티즌들은 “... -
중국 남자축구, 부진 속 팬 실망 확산…“존재 의미마저 의문”
[동포투데이] 최근 중국 남자축구 대표팀의 경기력이 다시 한번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경기 직후 일본 팬들은 “중국과 붙는 것은 시간 낭비”라며 직설적인 평가를 내놓았고, 한국과 인도네시아 팬들 역시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경기 내용은 단순한 패배를 넘어 ‘국민적 좌절’ 수준이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