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르네스 목조교회
우르네스 목조교회
우르네스 목조교회의 자료
소속대륙: 유럽, 소속국가 노르웨이, 지점: 송노 표르다네주
함의: 북유럽의 목질문화가 종교건축에서의 완미한 체현임
우르네스 목조교회(奥尔内斯木板教堂)는 내부의 원목기둥이 선박의 돛대와 비슷하다고 해서 “돛대교회”라고도 부른다. 이 교회당은 기원 12세기에 세워졌는데 노르웨이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교회당이며 지금도 내부에는 중세기의 수난당했던 예수의 목질조각상과 두개의 동으로 된 초받침대가 있다. 그리고 성당 및 포도단(布道坛), 노래와 시를 읊던 무대 및 긴의자와 벽화 등은 모두 1700여년 전의 물건들이다. 또한 교회당내의 장식은 대부분 백년송을 재료로 이용, 고풍스럽고도 우아한 것이 특점이다.
못과 나사 등을 쓰지 않은 성당
우르네스 목조교회는 3층의 목조건물로 된 건물로서 매개 층마다 모두 지붕이 있어 흡사 동방의 사원과 비슷하기도 하다. 이 건물이 기타 일반 원목건축 성당과 부동한 점이라면 이 건물은 기둥과 널판자가 시로 맞물리면서 정체를 고정시켰는데 그 어떤 못이나 나사를 쓰지 않은 것이 특점이다. 그리고 성당은 견실한 목질결구와 아름다운 자태로 평형태세를 유지하고 있어 세계종교건축물 중 하나의 걸작으로 남게 되었다.
“목조성당의 여왕”
우르네스목조성당은 풍격이 소박하고 비록 수차 재건되었지만 여전히 고풍스러운 건축풍격을 잃지 않은 전형이다. 건물은 지면의 견실함과 미관을 위하여 일반 건축물에서 쓰는 기초기둥을 쓰지 않고 모두 “돛대”형식을 대체하였다. 왜냐하면 열악한 기후조건에서 견실한 “돛대”형식의 횡향들보(橫向支撑)와 종향(纵向)기둥이 건물정체의 견고성을 보장해주고 있기때문다. 때문에 이 견실한 목조건물성당은 “목조성당의 여왕”으로도 불리우게 되었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BEST 뉴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허 훈 | 칼럼니스트 “디아스포라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지난 6월 23일 서울 종이나라박물관에서 열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0회 발표회에서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이 던진 이 말은 한글교육의 본질과 미래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표현이었다. 한글교육은 더 이상 단순한 문자 교육...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각 시대마다 역사 흐름을 바꾸는 탁월한 인물들이 등장해왔다. 이들은 그 지혜와 능력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신과 같은 존재’로 불리며 사회와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삼국연의>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이러한 인물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지만, 실제 역사 속에서는 그조차도 ‘신인’ 순위의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실시간뉴스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
-
중국 5대 종교 중 신도가 가장 많은 종교는?
-
중국 유명 역사 이야기 10편 01 : 와신상담 (卧薪尝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