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7월 1일 중국 공산당 창당 104주년을 하루 앞두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당 지도부 회의에서 “권력 행사는 규율과 감시에 따라야 한다”며 내부 통제 강화를 재차 주문했다. 시 주석은 “모든 권력은 인민이 부여한 것”이라며, 권력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 개편 필요성을 역설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공산당 정치국 집단학습 회의를 주재하며 “부패를 척결하려면 권력 행사를 규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권한의 부여, 행사, 통제 과정을 하나의 체계로 묶고, 이를 명확하고 투명하며 추적 가능하게 만들어야 한다”며 “권력 행사 과정의 허점을 찾아 제도의 결함을 보완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또 “당과 간부는 인민을 존중하고, 당을 존중하며, 법과 규율을 엄중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의 권력이 내부에서 자율적으로 행사되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 의해 위임된 것이라는 점을 환기시키며, 권력 남용과 특권 의식을 경계했다.
이러한 발언은 시 주석이 집권 이후 줄곧 강조해 온 ‘반부패’ 기조와 궤를 같이한다. 그는 2012년 집권 직후 이른바 ‘8항 규정’을 도입해 관료들의 사치와 특권을 억제하고, 당내 기강을 바로잡겠다고 공언했다. 올해 들어 당 내부에서 다시금 ‘8항 규정’ 준수를 강조하는 교육 캠페인이 벌어지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 당국은 최근 황금시간대에 4부작 반부패 다큐멘터리를 방영하며 반부패 드라이브를 재점화하고 있다. 당의 통제력이 유지되려면 권력 오남용을 내부적으로 차단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화된 셈이다.
시 주석의 이번 발언은 권력 집중과 내부 통제 강화를 뒷받침하면서도, 외부의 감시 기능을 일정 부분 용인하려는 신호로도 읽힌다. 그는 “당과 정부는 사회와 언론의 감시를 수용해야 한다”며 권력의 투명성을 위한 국민 참여의 필요성도 언급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권력 규제 강조가 실질적인 개혁보다는 내부 통제를 위한 명분 쌓기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당내 감시가 강화될수록 권력의 상명하복 체계는 더욱 견고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시진핑 체제의 반부패 기조가 어디까지 제도화될 수 있을지, 그리고 그것이 정치적 다양성과 권력 분산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미언체이(Oddar Meanchey)주 인근에...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동포투데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제15차 5개년 계획(2026~2030년) 수립 과정에서 국민들의 온라인 의견을 적극 반영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이번 의견 수렴 과정을 “전 과정 인민민주주의의 생생한 실천”이라고 평가하며, 각급 당위원회와 정부가 국민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폭넓게 민의...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취미 접경지”에서 만난 색다른 풍경, 2025 절강-길림 협력 교류 홍보 활동 성료
-
[르포] 연길 조선족 민속원 미식거리, ‘꽃소녀 벽화’와 함께 흥겨운 여름밤
-
[르포] 하얼빈 여름밤 적신 조선족 장단과 춤사위
-
청도~훈춘 직통 고속철 개통…‘반나절 생활권’으로 동북·산동 잇는다
-
홍콩 지미 라이 재판, '국보법' 심판대에 오른 언론 자유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