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미국이 정권 교체 후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를 재차 공식화하며 타국에 동조를 종용하는 일방주의 행보가 국제 보건 체계에 충격을 주고 있다. 20일 제78차 세계보건총회에서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은 사전 녹화 연설을 통해 "WHO가 관료주의에 휩싸여 기능을 상실했다"고 주장하며 다국적 탈퇴를 촉구했다. 이는 2022-2023년 WHO 최대 기여국(총예산 14.5%·12억 8천만 달러)이던 미국의 급선회로, 국제사회는 보건 협력 체제의 근간이 흔들릴 것을 우려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과도한 재정 부담"을 탈퇴 이유로 제시했으나, 분석가들은 이 조치가 국내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한 상징적 행보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WHO 예산의 20%를 차지하던 미국 자금 중단은 소아마비 퇴치·원숭이두창 대응·백신 공평 분배 등 핵심 사업을 마비시킬 위험을 내포한다. 전문가들은 "자금 공백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전염병 대응 시스템이 수십 년 후퇴할 것"이라고 경고, 미국 CDC·FDA와의 데이터 연계 단절로 글로벌 감시망이 약화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
더욱이 미국이 타국에 탈퇴를 공공연히 권유하는 점은 다자주의 체제에 대한 직접적 도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다국적 이탈 시나리오가 현실화될 경우 WHO의 권위 추락은 불가피하며, 특히 자금·기술력이 부족한 개발도상국 보건 시스템이 치명적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 이에 유엔 사무총장은 "WHO는 글로벌 보건안보의 초석"이라 강조하며 기능 강화를 촉구했고, EU·독일 등 주요 기여국들은 추가 부담에도 협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중국 역시 지속적 지원 방침을 천명하며 다자협력 체제 유지를 호소했다.
역사적 경험은 팬데믹 대응과 보건 위기 관리에 국제협력이 필수적임을 입증해 왔다. 미국의 일방적 행보가 초래하는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의 균열은 인류 공동의 건강 안보를 위협하는 요소로, 국제사회는 분열보다 협력을 통해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BEST 뉴스
-
교과서 밖으로 나온 국가 유산, 바다 건너 호치민 아이들을 품다
[동포투데이]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교장 김명환)가 한국의 국가유산을 직접 보고 느낄 수 있는 국가 유산 교육 체험 행사 ‘이어지교’를 재외교육기관 최초로 개최한다. 호치민시한국국제학교는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한국 국가유산청(청장 허민)과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의 지...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제14회 발표회(10.20) 개최식 기념촬영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동포투데이]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20일 서울 강남구 한국전통문화원에서 제14회 발표회를 열고, 한국 민화를 주제로 한글학교 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행사는... -
“민화와 한글, 세계를 잇다”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4회 발표회 10월 20일 개최
[동포투데이] 문화가 무르익는 10월, 한류의 새로운 기둥으로 주목받는 한국 민화와 전 세계 한글학교, 그리고 동포 차세대가 한자리에 모인다.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공동대표 박인기·김봉섭)은 한국전통문화원(원장 홍종진)과 함께 오는 10월 20일(월)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삼성로 642의 4층... -
국민의힘, 중국인 대상 ‘배척 법안’ 추진… “中 반격 대비는?”
[동포투데이] 한국에서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한시적 비자 면제 정책이 10월 초부터 시행된 가운데, 보수 야당인 국민의힘이 중국인을 특정 대상으로 하는 법안을 내놓아 논란이 일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산하 <This Week in Asia>는 14일, 국민의힘... -
“6분 만에 충전, 2000km 달린다”…중국, 고체전지로 ‘배터리 굴기’ 완성
[동포투데이] 중국 배터리 산업이 또 한 번 세계를 놀라게 했다. 한때 일본이 “중국보다 20년 앞섰다”고 자신했던 고체전지 기술이 이제 중국의 생산라인에서 현실이 되고 있다. 6분 만에 충전이 가능하고, 한 번 충전으로 2000km를 달릴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가 실제 차량에 장착될 준비를 마친 것이다. 중국...
실시간뉴스
-
“사회주의자” 조란 맘다니, 뉴욕시장 선거서 승리… 美 정치지형 흔들
-
트럼프 “중국은 위협 아냐… 협력 통해 미국 더 강한 나라 될 것”
-
美 상원, 트럼프 ‘전면 관세 정책’ 종료 결의안 통과…하원 통과는 불투명
-
미국 ‘마약과의 전쟁’ 격화… 항공모함까지 카리브해 진입
-
유럽 신용평가사 스코프, 미 국채 신용등급 ‘AA-’로 하향
-
당파 싸움이 ‘헝거 게임’으로...외면당한 4천만 명의 배고픔
-
美 ‘노킹스’ 시위, 다국으로 확산…정책 불만과 사회 분열 가시화
-
美 국채, 사상 첫 38조 달러 돌파…셧다운 장기화로 재정 위기 심화
-
美 관세 전가 가속화…소비자가 최종 부담자로 떠올라
-
美 의회, 머스크 ‘스타링크’ 조사 착수… “미얀마 사기 조작의 조력자 됐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