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6월 22일 중국사회과학원과 경제일보가 베이징에서 '중국 도시 경쟁력 보고서 16호'를 발표했다. 중국 관영 매체 CRI에 따르면 보고서는 경제집결, 인재유치, 산업이전 등 다양한 시각에서 중국의 도시들을 관찰하고 연구하여 그 결과를 도출했다.
2017년 중국 도시 종합경제경쟁력지수 Top10 도시
보고는 양안 지역을 포함한 중국 전역 294개의 도시들의 종합경제경쟁력 및 289개 도시의 주거환경, 지속가능한발전 경쟁력 대해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했다. 2017년 종합경제경쟁력지수 Top10 도시는 차례로 심천(深圳), 홍콩(香港), 상해(上海), 대북(台北), 광주(广州), 베이징(北京), 천진(天津), 소주(苏州), 남경(南京), 무한(武汉)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16년과 비교해 1위부터 5위까지의 순위는 변함이 없으나 6위부터 10위는 그 변화가 뚜렸했다. 베이징은 천진을 따라잡고 6위를 기록했고 반대로 천진은 7위로 베이징에 뒤쳐졌다. 남경은 3개의 도시를 제끼고 10위권에 들었다. 마카오는 처음으로 10위권 밖에 머물렀다.
중국의 6대 지역을 나누어 분석해보면 동남지역과 환발해만(环渤海)경제권의 평균 종합적 경쟁력지수가 전국의 평균 수준을 넘어섰고 중부지역, 서남지역, 동북지역 및 서북지역은 평균에 못 미치는 수준이며 그중에서도 서북지역의 도시들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중국 도시의 종합경제경쟁력의 평균 수준은 2014년부터 2016년 사이에는 하락세를 보여 중국의 경제대전환이라는 환경하에 경제경쟁력의 수준에도 변화가 생겼음을 알 수 있다.
가장 살기 좋은 도시는?
중국의 가장 살기 좋은 도시는 홍콩(香港), 무석(无锡), 항주(杭州), 광주(广州), 남통(南通), 남경(南京), 마카오(澳门), 진강(镇江), 녕파(宁波), 심천(深圳)등 순으로 나타났다. 2016년에 비해 홍콩은 부동의 1위를 차지했으며 2위, 3위인 다른 도시들과의 격차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Top10의 도시들을 살펴보면, 지역별 분포로 볼 때 장강삼각주 일대에 속하는 도시가 6개, 나머지 4개는 주강삼각주 일대의 도시들이었다. 도시간의 주거환경의 격차가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고 공간적 분화가 가중되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중국 도시간의 주거환경 경쟁력의 격차를 줄이는 것은 현 상황에서 중국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빠른 인구증가, 교통체증, 부동산가격 상승, 자원부족, 환경문제 등 일련의 '도시병'이 사람들이 살기 좋은 환경의 도시를 만드는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이미 '도시화'가 된 사람들은 교육, 의료, 주거, 안전, 생태 등 하드적인 요소보다는 소프트적인 환경을 보다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곧 중국은 현재 과도기에 처해있으며 양적 성장을 기반으로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가장 관건적인 단계에 처해있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부지역의 인구는 유실되는 추세이며 동부, 중부의 일체화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도시간 인재쟁탈전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우선 중서부 지역은 꾸준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유실됐던 인구가 다시 증가하고 있어 이는 동부와 중부의 경쟁력 수준이 점차 비슷해지는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남방 도시들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북방 도시들의 인구는 반대로 유실되고 있는 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도시마다의 인재쟁탈전이 갈수록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지속가능경쟁력 지수 Top10은 홍콩(香港), 베이징(北京), 상해(上海), 심천(深圳), 광주(广州), 항주(杭州), 남경(南京), 무한(武汉), 마카오(澳门), 성도(成都) 순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발전은 한 도시의 미래를 가늠하는 중요한 척도라고 볼 수 있다. 특히 홍콩특별행정구, 베이징, 상해, 심천, 광주, 항주, 남경의 지속가능경쟁력이 전국 앞자리를 차지했으며 서부도시에 속하는 성도(成都)가 처음으로 10위권 안에 진입하여 지속가능발전의 대표도시로 떠올랐다.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도시들이 지속가능한 발전에 전력을 다하고 있는 만큼 도시간의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중서부 일부 도시들은 지속가능발전 면에서 큰 개선과 발전을 가져왔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中 외교부, 희토류 수출 규제 관련 입장 재확인
[동포투데이] 중국 외교부가 희토류 수출 규제 정책과 관련해 기존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10월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궈자쿤 외교부 대변인은 “희토류 수출 관리 조치는 체계 규범화와 제도 완성을 위한 것으로, 국제 관행에 부합한다”며 “세계 평화와 지역 안정, 대량살상무기 확산 방지를 위한 국제 의무 이행이 목적... -
시진핑, 이재명에 샤오미 스마트폰 선물…“백도어 확인해보라” 농담
[동포투데이]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한국 이재명 대통령이 경주에서 열린 회담 자리에서 서로 선물을 교환하며 친선을 다졌다. 시주석은 이대통령과 부인에게 샤오미 플래그십 곡면 스마트폰과 전통 문방사우를 선물로 전달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스마트폰의 통신 보안 문제를 농담 삼아 묻... -
“중국이 아니라 변화가 두렵다” — 한국 내 반중 감정의 진짜 이유
[동포투데이]서울 명동의 한 카페. 28세 직장인 지수 씨는 휴대전화에 뜬 ‘중국 전기차, 한국 시장 점유율 15% 돌파’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며 인상을 찌푸렸다. 그리고 곧장 ‘화나요’ 버튼을 눌렀다. “또 시장을 뺏긴다는 건가요?” 이런 반응은 요즘 한국 사회에서 낯설지 않다. 최근 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
트럼프-시진핑, 한국서 회담…양국 “소통은 유지, 결과는 미지수”
[동포투데이]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이 오는 10월 30일 한국에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두 번째 임기 이후 양국 정상이 처음으로 마주 앉는 자리로, 미·중 간 대화와 분쟁 관리 채널이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만남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 -
중국, 인공지능으로 도시 서열 재편… 베이징 1위·항저우·선전 추격
[동포투데이]“AI 도시 전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베이징, 항저우, 선전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중국 인공지능 산업의 새로운 삼국지를 그리고 있다. 최근 발표된 ‘중국 10대 인공지능 도시’에는 베이징, 항저우, 선전, 상하이, 허페이, 우한, 광저우, 난징, 쑤저우, 청두가 이름을 올렸다. ... -
대만 민심 “전쟁 피하려면 무기보다 대화”…58.3% “양안 협상 재개해야”
[동포투데이]대만 국민 다수가 중국과의 무력 대비보다 대화 복원을 통한 평화 유지가 더 효과적이라고 본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만의 여론조사기관 메이리다오(美丽岛) 전자신문이 23일 발표한 10월 정기 조사에 따르면, “대만의 안전을 지키고 양안(兩岸) 전쟁을 피하려면 어떤 방식이 더 효과적인...
NEWS TOP 5
실시간뉴스
-
中 “대만 해방 시 외국 개입은 영토 침략”… “전쟁 불가피”
-
세계 과학 허브 절반이 중국 도시…베이징 10년째 1위
-
연길, 3년 연속 ‘중국 100대 관광지’ 선정
-
다카이치 발언 논란… 中, 류큐 지위 거론에 日 ‘당황’
-
中, 일본 간첩 활동 잇따라 적발…평화 위협 불용
-
일본 보이그룹 광저우 팬미팅 취소… 다카이치 발언 후폭풍 중국 내 확산
-
다카이치 ‘대만 유사’ 발언 후폭풍… 中 “침략행위면 정면타격”, 日 내부도 강력 비판
-
“대만 문제 외부 개입 안 돼”… 국민당, 日 총리 발언 강력 경고
-
日 의원 “中, 유엔 승인 없이도 일본 군사 타격 가능” 발언 파문
-
日 전직 총리 3인, 다카이치에 일제히 경고… “경솔한 발언 말라, 대만은 중국의 일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