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명으로 읽는 연변 100년 력사
[책제목]
연변 100년 역사의 비밀의 풀린다 (2013. 10 한국 글누림출판)
연변 100년 역사의 비밀의 풀린다 (2013. 10 한국 글누림출판)
[머리글]
지명, 연변의 또 하나의 박물관
지명은 그곳 사람들의 삶의 무대를 조명하고 있다. 그래서 지명에는 주민의 생활상이 찍혀 있으며 그곳의 역사가 기록되어있다.
옛날 연변延邊은 기본상 북옥저의 활동범위에 들어있었다. 북옥저는 고대 종족인 옥저沃沮의 한 갈래인데 옥저는 ‘울창한 산림이 있는 지역’이라는 뜻이다. 그러고 보면 먼 옛날 연변지역에는 수림이 꽉 들어찼던 모양이다. 고구려, 발해국, 요나라와 금나라, 원나라 등 북방민족이 세운 왕조는 모두 연변에 도읍을 설치하거나 행정기구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연변의 옛 지명들은 “산해경山海經”에 나오는 불함산(不咸山, 백두산)이나 “명일통지明一通志”, “성경통지盛京通志에” 등에 나오는 부르하통하布爾哈通河, 해란강海蘭江 등으로 별로 남은 게 없다. 강희康熙 16년(1677)부터 시작된 약 200년 동안의 ‘봉금정책’ 때문에 인적이 끊어지면서 차츰 망실忘失되었기 때문이다.
‘연변延邊’이라는 이 이름이 제일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한 것은 1913년 출판된 지방지地方志인 길림지지吉林地志로 알려지고 있다. 이 지방지는 ‘대륙교통’을 기록하면서 ‘연변’이라는 이름을 거들고 있는 것이다. 1920년을 전후로 ‘연변’이라는 이름이 고착된다. 3국이 인접한 국경지역에 위치하고 또 연길 변무공서의 관할에 있었기 때문에 ‘연변’이라고 불리고 있었던 것이다. 1929년 출판된 “중국민국지中國民國志”는 “동북변강은 연변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연변은 길림 연길도延吉道의 변강을 말한다.”라고 보다 명확하게 기재하고 있다.
다른 설에 따르면 청나라 말, 민국 초기 관방에서 ‘연훈제변延琿諸邊’다시 말해서 ‘연길과 훈춘 여러 변방’이라는 지역이름 그리고 ‘연길구역’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다가 점차 ‘연변’이라는 이 지명으로 고착되었다고 한다. ‘연변’이라는 이 지명은 연길에 연원淵源을 두고 있다는 것.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연길은 연변 하면 곧바로 눈앞에 떠올리게 되는 지명이다. 중국 조선족의 고향의 대명사로 되고 있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수부首府이기 때문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그 전신前身이 1952년 9월 3일 창립된 ‘연변조선민족자치구’이며 1955년 ‘연변조선족자치주’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중국 땅에 살고 있는 우리 동포는 ‘조선민족’의 ‘민’자 생략된 ‘조선족’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세상에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각설하고, 연길이라는 이 지명의 시원始原은 연기가 모인다는 의미의 연집煙集이라고 전한다. 연길은 사방이 모두 산에 에둘린 작은 분지이다. 개간초기에 인가가 자리 잡은 언덕에는 늘 연기가 자오록하게 피어올라 안개처럼 하늘을 뒤덮고 있었다. 그래서 이런 군락을 연집강烟集崗이라고 불렀으며 연길은 훗날 이 연집의 음을 따온 것이라고 한다. 연집烟集은 아직도 연길 시내의 서북쪽에서 흘러내리는 강의 이름으로 남아있다.
연변의 많은 지명은 이처럼 이민들의 주거지 환경을 그대로 드러내 보이고 있다. 용정이라는 이름은 19세기 말 이곳에 정착한 조선인들이 옛 우물을 발견하면서 작명되었고 도문은 도문이라는 이름 먼저 워낙 석회 가루가 날리는 동네라는 의미의 회막동(灰幕洞, 일명 회막골)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벌을 찾아 또 샘물을 찾아 이삿짐을 풀었던 조선인들은 간평間坪처럼 골짜기 사이에 들 평坪을 넣어 지명을 만들었고 또 약수동藥水洞처럼 샘물가에 삼수변의 동洞을 넣어 감칠맛 나는 이름을 지었다.
조선인 이민들이 남긴 이런 이름은 나중에 중국말로 고착되고 다시 우리말로 불리다보니 웃지 못 할 이야기를 만들기도 한다.
훈춘 경신향敬信鄕의 ‘玻璃登’은 중국말 그대로 해석하면 자칫 ‘유리 등잔’으로 되기 십상이다. 기실 우리말로 벌과 그 옆의 더기를 합쳤다는 ‘벌 더기(등)’ 마을이었다고 한다. 중국말로 지명을 옮기면서 ‘벌 더기(등)’와 비슷한 발음의 ‘玻璃登(bo-li-deng)’으로 적었던 것이다.
그건 그렇다 치고 뭐가 뭔지 헛갈리게 하는 엉뚱한 지명도 있다. 두만강 기슭의 대소大蘇라는 동네이다. 분명 소련이 크다는 이야기는 아니겠는데 그렇다고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종잡기 어렵다. 사실 대소大蘇는 큰 소라는 의미로, 마을 뒤의 산언덕이 마치 큰 소처럼 생겼다고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이 큰 소를 중국말로 바꿔 적으면서 클 대大, 소는 발음 그대로 차조기 소蘇를 쓰다 보니 참으로 이상한 모양새가 되어버린 것이다.
또 이름을 메달처럼 한꺼번에 여러 개나 달고 있는 지명이 있다.
용정 시내에서 삼합 쪽으로 가는 길가에는 일부러 비석처럼 깎아서 세워놓은 것 같은 높은 바위가 있다. 애초에 비둘기들이 둥지를 틀고 있다고 해서 비둘기바위라는 의미의 ‘부걸라자鳧鴿砬子’라고 불렀다. 훗날 오랑캐령을 넘어 용정 방향으로 들어가던 사람들은 이 바위를 ‘선바위’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때 바위가 셋이라고 ‘삼바위’라고 불리기도 했단다. 그러나 지방지에는 알쏭달쏭한 의미의 ‘대라자大砬子’로 적혀있다. ‘라자砬子’는 만주족말로 벼랑바위라는 의미이며 ‘대라자大砬子’는 중국말과 만주족 말과 뒤범벅이 된 단어로서 큰 벼랑바위라는 의미라고 한다. 그런데 이 ‘대라자大砬子’를 다시 우리말로 옮기면서 현지에는 또 ‘달라자’라고 다소 엉뚱한 이름이 생겨났던 것이다.
기실 만주족 말의 ‘라자’가 지명에 나타나게 된 데는 그럴만한 사연이 깃들어있다. 시대에 따라 숙신肅愼, 읍루邑婁, 물길勿吉, 말갈靺鞨이라고 불렸던 여진족女眞族의 일부가 한때 두만강 일대에서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진족은 그 뒤에 우리에게 이웃처럼 익숙한 만주족이라는 족명族名으로 이어진다.
‘선바위’만 아니라 일부 지명에는 만주족의 흔적이 아직도 남아있다. 연길을 남북으로 두 동강 내고 흘러가는 부르하통하는 만주족 말로 ‘버드나무의 강’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화룡의 평강平崗벌과 용정의 서전瑞甸벌을 적시는 해란강도 실은 만주족 말로 ‘느릅나무의 강’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이런 연장선에서 ‘연길’의 의미가 실은 만주족 말로 ‘석양石羊’이라고 주장하는 설이 있다. 연길의 지명은 ‘엽길葉吉’이라는 음에서 생겼으며 ‘엽길葉吉’은 만주족 말로 ‘석양’이라는 의미라는 것. 명나라 때 연길은 ‘호엽길랑위瑚葉吉郞衛’의 관할에 속했다고 한다.
연변, 이 땅에서 새로운 삶의 터전을 마련했던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그곳의 지형지물과 명물, 그들이 전승한 신화와 전설은 지명에서 이처럼 가감 없이 그대로 드러난다. 지명 자체가 바로 그곳의 둘도 없는 생생한 박물관으로 되고 있는 것이다.
지명은 마치 무형의 타임머신처럼 우리를 지금까지 잘 몰랐던 역사의 미궁 속으로 안내하고 있다…*
[차례]
[지명으로 읽는 이민사]
연변 100년 역사의 비밀이 풀린다
[추천사]
유서 깊은 연변 땅, 땅을 파면 역사가 묻어나온다
-김 철 (시인, 전 연변작가협회 주석)
[들어가면서]
지명, 연변의 또 하나의 박물관
차례
[용정편]
용두레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사이섬과 나루터 그리고 흘러간 옛 노래
산이 열린 동네 개산툰
두만강 기슭에 있는 우임금의 족적
오랑캐꽃이 피는 아흔아홉 굽이의 고갯길
선바위가 파수하고 있는 명동마을
함박동의 전설의 명물
용두레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하늘 아래의 그림마을 천도상
부처님이 패랭이를 쓰고 있었나
매 바위 아래 헤엄치던 작은 물고기
[연길편]
연길, 석양의 울음소리는 어디에
양천 허 씨의 마을 조양천
연길, 석양의 울음소리는 어디에
마을 주인은 표범과 거북이 그리고 군인이었다
사찰이 없는 ‘새절’의 동네
평산 신 씨가 찾아왔던 배꽃동네
밀짚모자에 숨은 한 마리의 용
용이 살던 마을 와룡동
돌사람이 나타난 석인구
건달바위와 그 아래의 로마
[도문편]
회막골 어구에 있었던 동경
아리랑 고개의 정자바위
석두하 기슭의 ‘캄보디아’ 마을
까울령의 저쪽에 고려마을이 있었다)
회막골 어구에 있었던 동경
마패, 전마의 비석)
백년부락 호랑이의 마지막 전설
[훈춘편]
붉은 기가 나부끼던 홍기하
화살에 뚫린 밀강의 퉁소
붉은 기가 나부끼던 홍기하
강남에 있었던 강북마을
용두레우물과 포대 그리고 장성
아흔아홉 굽이의 강을 만든 미꾸라지
마당길을 빌어서 다녔던 어촌마을
간구자, 메마른 골짜기의 마지막 추억
[왕청편]
밀어密語로 통하는 동네 왕청
마적이 있었던 바위벼랑의 골짜기
개구리의 울음소리가 없는 개구리마을
밀어密語로 통하는 동네 왕청
웅녀가 살고 있는 낡은 마을
[안도편]
밝은 달이 떠오른 골짜기
두루미가 춤추던 버드나무의 고장
석문을 여는 마법의 주문
밝은 달이 떠오른 골짜기
남도 사람들의 외로운 섬
백두산에 날리는 소나무의 마지막 꽃향기
[화룡편]
화룡, 골짜기에서 날아오른 이무기
화룡, 골짜기에서 날아오른 이무기
삼수갑산의 “어랑타령”
벌꿀의 강기슭에 피어난 진달래
옥천동에 흐르던 샘물의 이야기
고종의 어의가 잠적한 ‘너페’
“평양전투”가 벌어졌던 시골마을
전설의 동네에 있었던 거인의 발자국
아내가 남편을 찾던 마을 남평
[후기]
끝나지 않은 지명 이야기
지명, 연변의 또 하나의 박물관
지명은 그곳 사람들의 삶의 무대를 조명하고 있다. 그래서 지명에는 주민의 생활상이 찍혀 있으며 그곳의 역사가 기록되어있다.
옛날 연변延邊은 기본상 북옥저의 활동범위에 들어있었다. 북옥저는 고대 종족인 옥저沃沮의 한 갈래인데 옥저는 ‘울창한 산림이 있는 지역’이라는 뜻이다. 그러고 보면 먼 옛날 연변지역에는 수림이 꽉 들어찼던 모양이다. 고구려, 발해국, 요나라와 금나라, 원나라 등 북방민족이 세운 왕조는 모두 연변에 도읍을 설치하거나 행정기구를 설립하였다.
그러나 연변의 옛 지명들은 “산해경山海經”에 나오는 불함산(不咸山, 백두산)이나 “명일통지明一通志”, “성경통지盛京通志에” 등에 나오는 부르하통하布爾哈通河, 해란강海蘭江 등으로 별로 남은 게 없다. 강희康熙 16년(1677)부터 시작된 약 200년 동안의 ‘봉금정책’ 때문에 인적이 끊어지면서 차츰 망실忘失되었기 때문이다.
‘연변延邊’이라는 이 이름이 제일 처음으로 문헌에 등장한 것은 1913년 출판된 지방지地方志인 길림지지吉林地志로 알려지고 있다. 이 지방지는 ‘대륙교통’을 기록하면서 ‘연변’이라는 이름을 거들고 있는 것이다. 1920년을 전후로 ‘연변’이라는 이름이 고착된다. 3국이 인접한 국경지역에 위치하고 또 연길 변무공서의 관할에 있었기 때문에 ‘연변’이라고 불리고 있었던 것이다. 1929년 출판된 “중국민국지中國民國志”는 “동북변강은 연변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연변은 길림 연길도延吉道의 변강을 말한다.”라고 보다 명확하게 기재하고 있다.
다른 설에 따르면 청나라 말, 민국 초기 관방에서 ‘연훈제변延琿諸邊’다시 말해서 ‘연길과 훈춘 여러 변방’이라는 지역이름 그리고 ‘연길구역’ 등 여러 이름을 사용하다가 점차 ‘연변’이라는 이 지명으로 고착되었다고 한다. ‘연변’이라는 이 지명은 연길에 연원淵源을 두고 있다는 것.
설사 그렇지 않더라도 연길은 연변 하면 곧바로 눈앞에 떠올리게 되는 지명이다. 중국 조선족의 고향의 대명사로 되고 있는 연변조선족자치주의 수부首府이기 때문이다.
연변조선족자치주는 그 전신前身이 1952년 9월 3일 창립된 ‘연변조선민족자치구’이며 1955년 ‘연변조선족자치주’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중국 땅에 살고 있는 우리 동포는 ‘조선민족’의 ‘민’자 생략된 ‘조선족’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세상에 등장하게 되는 것이다.
각설하고, 연길이라는 이 지명의 시원始原은 연기가 모인다는 의미의 연집煙集이라고 전한다. 연길은 사방이 모두 산에 에둘린 작은 분지이다. 개간초기에 인가가 자리 잡은 언덕에는 늘 연기가 자오록하게 피어올라 안개처럼 하늘을 뒤덮고 있었다. 그래서 이런 군락을 연집강烟集崗이라고 불렀으며 연길은 훗날 이 연집의 음을 따온 것이라고 한다. 연집烟集은 아직도 연길 시내의 서북쪽에서 흘러내리는 강의 이름으로 남아있다.
연변의 많은 지명은 이처럼 이민들의 주거지 환경을 그대로 드러내 보이고 있다. 용정이라는 이름은 19세기 말 이곳에 정착한 조선인들이 옛 우물을 발견하면서 작명되었고 도문은 도문이라는 이름 먼저 워낙 석회 가루가 날리는 동네라는 의미의 회막동(灰幕洞, 일명 회막골)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벌을 찾아 또 샘물을 찾아 이삿짐을 풀었던 조선인들은 간평間坪처럼 골짜기 사이에 들 평坪을 넣어 지명을 만들었고 또 약수동藥水洞처럼 샘물가에 삼수변의 동洞을 넣어 감칠맛 나는 이름을 지었다.
조선인 이민들이 남긴 이런 이름은 나중에 중국말로 고착되고 다시 우리말로 불리다보니 웃지 못 할 이야기를 만들기도 한다.
훈춘 경신향敬信鄕의 ‘玻璃登’은 중국말 그대로 해석하면 자칫 ‘유리 등잔’으로 되기 십상이다. 기실 우리말로 벌과 그 옆의 더기를 합쳤다는 ‘벌 더기(등)’ 마을이었다고 한다. 중국말로 지명을 옮기면서 ‘벌 더기(등)’와 비슷한 발음의 ‘玻璃登(bo-li-deng)’으로 적었던 것이다.
그건 그렇다 치고 뭐가 뭔지 헛갈리게 하는 엉뚱한 지명도 있다. 두만강 기슭의 대소大蘇라는 동네이다. 분명 소련이 크다는 이야기는 아니겠는데 그렇다고 도대체 무슨 의미인지 종잡기 어렵다. 사실 대소大蘇는 큰 소라는 의미로, 마을 뒤의 산언덕이 마치 큰 소처럼 생겼다고 유래된 이름이라고 한다. 이 큰 소를 중국말로 바꿔 적으면서 클 대大, 소는 발음 그대로 차조기 소蘇를 쓰다 보니 참으로 이상한 모양새가 되어버린 것이다.
또 이름을 메달처럼 한꺼번에 여러 개나 달고 있는 지명이 있다.
용정 시내에서 삼합 쪽으로 가는 길가에는 일부러 비석처럼 깎아서 세워놓은 것 같은 높은 바위가 있다. 애초에 비둘기들이 둥지를 틀고 있다고 해서 비둘기바위라는 의미의 ‘부걸라자鳧鴿砬子’라고 불렀다. 훗날 오랑캐령을 넘어 용정 방향으로 들어가던 사람들은 이 바위를 ‘선바위’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때 바위가 셋이라고 ‘삼바위’라고 불리기도 했단다. 그러나 지방지에는 알쏭달쏭한 의미의 ‘대라자大砬子’로 적혀있다. ‘라자砬子’는 만주족말로 벼랑바위라는 의미이며 ‘대라자大砬子’는 중국말과 만주족 말과 뒤범벅이 된 단어로서 큰 벼랑바위라는 의미라고 한다. 그런데 이 ‘대라자大砬子’를 다시 우리말로 옮기면서 현지에는 또 ‘달라자’라고 다소 엉뚱한 이름이 생겨났던 것이다.
기실 만주족 말의 ‘라자’가 지명에 나타나게 된 데는 그럴만한 사연이 깃들어있다. 시대에 따라 숙신肅愼, 읍루邑婁, 물길勿吉, 말갈靺鞨이라고 불렸던 여진족女眞族의 일부가 한때 두만강 일대에서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진족은 그 뒤에 우리에게 이웃처럼 익숙한 만주족이라는 족명族名으로 이어진다.
‘선바위’만 아니라 일부 지명에는 만주족의 흔적이 아직도 남아있다. 연길을 남북으로 두 동강 내고 흘러가는 부르하통하는 만주족 말로 ‘버드나무의 강’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화룡의 평강平崗벌과 용정의 서전瑞甸벌을 적시는 해란강도 실은 만주족 말로 ‘느릅나무의 강’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이런 연장선에서 ‘연길’의 의미가 실은 만주족 말로 ‘석양石羊’이라고 주장하는 설이 있다. 연길의 지명은 ‘엽길葉吉’이라는 음에서 생겼으며 ‘엽길葉吉’은 만주족 말로 ‘석양’이라는 의미라는 것. 명나라 때 연길은 ‘호엽길랑위瑚葉吉郞衛’의 관할에 속했다고 한다.
연변, 이 땅에서 새로운 삶의 터전을 마련했던 사람들의 이야기 그리고 그곳의 지형지물과 명물, 그들이 전승한 신화와 전설은 지명에서 이처럼 가감 없이 그대로 드러난다. 지명 자체가 바로 그곳의 둘도 없는 생생한 박물관으로 되고 있는 것이다.
지명은 마치 무형의 타임머신처럼 우리를 지금까지 잘 몰랐던 역사의 미궁 속으로 안내하고 있다…*
[차례]
[지명으로 읽는 이민사]
연변 100년 역사의 비밀이 풀린다
[추천사]
유서 깊은 연변 땅, 땅을 파면 역사가 묻어나온다
-김 철 (시인, 전 연변작가협회 주석)
[들어가면서]
지명, 연변의 또 하나의 박물관
차례
[용정편]
용두레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사이섬과 나루터 그리고 흘러간 옛 노래
산이 열린 동네 개산툰
두만강 기슭에 있는 우임금의 족적
오랑캐꽃이 피는 아흔아홉 굽이의 고갯길
선바위가 파수하고 있는 명동마을
함박동의 전설의 명물
용두레우물에 묻힌 옛 동네의 이야기
하늘 아래의 그림마을 천도상
부처님이 패랭이를 쓰고 있었나
매 바위 아래 헤엄치던 작은 물고기
[연길편]
연길, 석양의 울음소리는 어디에
양천 허 씨의 마을 조양천
연길, 석양의 울음소리는 어디에
마을 주인은 표범과 거북이 그리고 군인이었다
사찰이 없는 ‘새절’의 동네
평산 신 씨가 찾아왔던 배꽃동네
밀짚모자에 숨은 한 마리의 용
용이 살던 마을 와룡동
돌사람이 나타난 석인구
건달바위와 그 아래의 로마
[도문편]
회막골 어구에 있었던 동경
아리랑 고개의 정자바위
석두하 기슭의 ‘캄보디아’ 마을
까울령의 저쪽에 고려마을이 있었다)
회막골 어구에 있었던 동경
마패, 전마의 비석)
백년부락 호랑이의 마지막 전설
[훈춘편]
붉은 기가 나부끼던 홍기하
화살에 뚫린 밀강의 퉁소
붉은 기가 나부끼던 홍기하
강남에 있었던 강북마을
용두레우물과 포대 그리고 장성
아흔아홉 굽이의 강을 만든 미꾸라지
마당길을 빌어서 다녔던 어촌마을
간구자, 메마른 골짜기의 마지막 추억
[왕청편]
밀어密語로 통하는 동네 왕청
마적이 있었던 바위벼랑의 골짜기
개구리의 울음소리가 없는 개구리마을
밀어密語로 통하는 동네 왕청
웅녀가 살고 있는 낡은 마을
[안도편]
밝은 달이 떠오른 골짜기
두루미가 춤추던 버드나무의 고장
석문을 여는 마법의 주문
밝은 달이 떠오른 골짜기
남도 사람들의 외로운 섬
백두산에 날리는 소나무의 마지막 꽃향기
[화룡편]
화룡, 골짜기에서 날아오른 이무기
화룡, 골짜기에서 날아오른 이무기
삼수갑산의 “어랑타령”
벌꿀의 강기슭에 피어난 진달래
옥천동에 흐르던 샘물의 이야기
고종의 어의가 잠적한 ‘너페’
“평양전투”가 벌어졌던 시골마을
전설의 동네에 있었던 거인의 발자국
아내가 남편을 찾던 마을 남평
[후기]
끝나지 않은 지명 이야기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韩 전문가들 “반중 집회, 국익 해친다”…미국과 힘겨운 협상 속 대중 관계 관리 절실
[동포투데이] 한국 사회에서 반중(反中) 정서가 격화되면 서 서울 도심을 중심으로 시위가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금과 같은 미·중 경쟁 구도 속에서 한국 정부가 미국과 힘겨운 협상을 이어가는 만큼, 이런 집회가 국익을 해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0일 한국 전문가들의... -
2025 카시아 문교협국제무용콩쿠르 성료
[동포투데이] 문화체육관광부 공익법인 사) 한국문화예술국제교류협회(이사장 장유리, 대회장 이기수))가 주최한2025 카시아 문교협국제무용콩쿠르가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이번 대회는 국내외 다양한 참가자들이 전통과 창작, 클래식과 현대를 넘나들며 수준 높은 기량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번 대회는 9월 6... -
“거절했을 뿐인데”…홍대서 중국인 여성 인플루언서 폭행
외국인 여성 잇단 피해, 경찰 대응 ‘뒷짐’ 논란 서울의 대표적 관광·문화 거리로 꼽히는 홍대. 지난주 이곳에서 발생한 한 폭행 사건은 단순한 주취 난동이 아니었다. 피해자는 중국에서 활동하는 팔로워 46만명의 여성 인플루언서 류리잉(刘力颖) 씨였다. 그녀는 단지 원치 않는 접촉을 거절했을 뿐인데, ... -
美, ‘비밀 프로젝트’ 25종 신형무기 개발?…中 겨냥한 억제 전략 논란
[동포투데이] 베이징 열병식이 끝난 직후, 러시아 매체가 흥미로운 보도를 내놨다. 미국이 중국을 겨냥해 무려 25종의 신형 무기를 비밀리에 개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 규모만도 108억 달러, 우리 돈으로 약 770억 위안에 이른다. 러시아가 지목한 것은 ‘SHOTCALLER’라는 이름의 비밀 프로젝트다. 미국 국방부가 인... -
중국인 무비자 입국 둘러싼 갈등 격화…반중 시위·위협 글까지 확산
[동포투데이]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무비자 입국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사회 전반에서 반중 정서가 격화되며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관광 활성화를 위한 조치였지만 오히려 반중 시위와 혐오 표현, 온라인 위협 글까지 등장하면서 정책 효과는커녕 사회 불안만 키우는 모양새다. 관광 활성... -
민주당 “나경원 의원, 법사위 아닌 법정에 서야”
[동포투데이] 더불어민주당이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의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간사 선임을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은 15일 김현정 원내대변인 명의의 서면 브리핑을 통해 “나경원 의원이 있어야 할 곳은 법사위가 아니라 법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검찰은 ‘국회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과 관련해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실시간뉴스
-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가짜뉴스로 국정 발목 잡지 말라”
-
차규근 의원 “미래 장영실에 상처 주지 마라”…혐중 시위 강력 규탄
-
“극단적 반중(反中) 정치 언행, 한국에 해롭다”…학계 “중국 잃어선 안 돼” 경고
-
이재명 대통령, 전직 대통령에 추석 선물…윤석열 부부는 제외
-
韩 전문가들 “반중 집회, 국익 해친다”…미국과 힘겨운 협상 속 대중 관계 관리 절실
-
반중 집회 격화, 김민석 총리 "강력 대응" 지시
-
더불어민주당, 62년 만에 ‘노동절’ 명칭 되찾아
-
민주당 “나경원 의원, 법사위 아닌 법정에 서야”
-
민주당 대학생위 “권성동 체포동의안 가결, 정의가 부패 권력 심판한 것”
-
민주당 “종교 악용한 정치행위, 반드시 근절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