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케네디의 백악관으로 가는 길

존 F 케네디는 미국의 제35대 대통령이며 미국의 저명한 케네디 가족성원이다. 그는 대통령 임기기간인 1963년 11월 22일에 댈레스에서 자객의 총에 맞아 암살당하였다.
케네디는 1960년에 미국대통령 선거에 성공, 미국 역사상 가장 나젊은 대통령으로 되었으며 또한 미국 역사상 첫 천주교를 신앙하는 대통령이자 유일한 퓰리처금상을 수상한 대통령이기도 했다.
윗 사진은 1960년 4월 케네디가 대통령으로 선출되기 수개월전에 미국 중동부에 위치한 웨스트버지나아주에 있는 한 잡화점을 방문하는 모습이다.

사진은 미국 뉴욕의 TV생방송실에서 죤 케네디의 부인 재클린 케네디가 대통령변론현장의 남편을 멀리서 지켜보고 있는 장면이다.

1960년 4월 존 케네디가 그의 동생이며 조수인 포비 케네디와 함께 있는 장면이다.

1960년 4월 케네디가 로간지구에서 의자위에 올라 강연하고 있는 모습이다.

케네디의 동생 포비 케네디와 그의 부인 에쌀이 매사추세츠주에서 투표에 참가하고 있는 장면이다.

1960년 5월 존 케네디가 신문을 통해 자신의 대통령 출마와 관련된 보도를 읽고 있다.

1960년 7월 미국민주당 전국대표대회에서 존 케네디를 지지하는 여성들이다.

재클린 케네디가 1960년 10월 뉴욕에서 있은 한차례의 시위에 참가하고 있다.

한시기 미국에서는 케네디와 그의 부인의 패션이 유행되기도 했다. 사진은 1961년 1월, 뉴욕의 복장전매점에서 케네디와 그의 부인의 모델을 전시하고 있는 장면이다.

1961년 1월 존 케네디(왼쪽 세번째)가 곧 만기가 되는 미국 대통령 아이젠하워가 대통령취임연설 현장에서 함께 있는 장면이다.

1963년 11월 22일 12시 30분 미국 제35대 대통령 존 피츠제럴드 케네디와 부인 재클린 케네디가 텍사스주 댈레스의 디리광장에서 한 자객에 의해 총에 맞아 암살되었다. 그가 암살된 후 자객인 오스왈드는 경찰에 의해 감옥으로 압송되던중 스탠드바의 보스 제크 로비가 쏜 총에 맞아 죽었다.
그 뒤 어떤 사람들은 케네디가 암살당한 후의 3년간 선후로 18명에 달하는 해당 관건적인 증인들이 사망했으며 1963년부터 1993년 사이에 무려 115명에 달하는 해당 증인들이 각종 기이한 사건중에서 자살하거나 모살당했다. 그리고 이 사건은 아직도 미스테리로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출처: 홍콩 봉황넷
동포투데이 김철균 기자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글 | 허 훈 최근 서울 남대문경찰서가 중국 대사관 인근에서 열린 극우 단체 ‘자유대학’의 반중(反中) 시위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 세력으로 알려진 이 단체는 7월 22일 집회에서 중국 국가주석 시진핑과 다이빙 대사의 얼굴이 인... -
교육이 사라진 대학
무더운 여름도 무색하게, 한국의 대학 현장은 구조적 모순과 부조리 속에서 얼어붙어 있다. 대학 위기론은 낯선 얘기가 아니다. 하지만 그 본질은 단순한 학령인구 감소나 재정난이 아니다. 특히 적지 않은 사립대학은 ‘교육’이라는 본질보다 ‘경영’이라는 명분 아래, 이윤 추구에만 몰두하며 스스로 존재의 이... -
“무비자도 독점 장사? 한국 관광정책의 속 좁은 계산”
글 | 허 훈 한국 정부가 중국 단체관광객에 한해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겠다고 발표했다. 겉으로는 양국 교류 확대를 말하지만, 세부 규정은 자유여행객을 철저히 배제하고 8개 지정 여행사만 이용하도록 했다. 한마디로 관광을 ‘공공 외교’가 아닌 ‘특정 기업 수익사업’으로 보는 발상이...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동포투데이]1945년 8월 15일, 중국 전역은 14년간 이어진 항일전쟁의 승리 소식으로 들썩였다. 당시 언론 <대공보(大公報)>는 대형 활자로 “일본 투항!”을 전하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기다려온 순간을 알렸다. 그러나 전쟁의 종결과 동시에 민중의 관심은 ‘일본에 협력한 한간(漢奸) 처벌’로 향했다....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 -
침묵과 왜곡을 넘어, ‘기억’이라는 저항
일본의 교육 현장에서도 역사적 사실에 대한 왜곡 시도는 오랜 과제였다. 특히 극우 단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つくる会)’이 만든 ‘신しい歴史教科書’(New History Textbook)는 난징대학살, 위안부, 기타 제국주의적 침략을 의도적으로 축소하거나 미화하는 내용으로 국제적 비난을 받았다. 이 교과서는...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
“이게 발해 맞아?”…훈춘 ‘발해고진’을 둘러싼 논란, 그 풍경의 진짜 정체는
-
21세기에도 남아 있는 노예제…모리타니, 인류의 그림자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