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철도의 기적’…연변, 변방에서 동북아 중심으로

  • 화영 기자
  • 입력 2025.10.17 18:50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1000027829.png

 

[동포투데이] ‘동북의 끝자락’으로 불리던 연변이 철도 하나로 운명을 바꿨다. 한때 중·러·북 3국 접경의 외딴 지역으로 불리며 ‘교통의 막다른 곳’이던 연변이, 이제는 동북아 물류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2015년 개통된 장춘–훈춘 고속철은 지난 10년간 8700만 명을 실어 날랐다. ‘동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고속철’이라는 별명처럼, 이 노선은 장백산과 훈춘 방천 등 주요 관광지를 잇고 있다. 관광객은 하루 만에 명소를 돌 수 있고, 현지 농민들은 인삼·버섯 등 산간 특산물을 신선한 상태로 대도시에 내보낼 수 있게 됐다.


1000027834.jpg

 

연변은 철도와 함께 시간의 개념도 바꿨다. 심양–백산 고속철이 국가 간선망과 연결되면서, 과거 베이징까지 하룻밤 걸리던 거리를 4시간이면 주파한다. 지역민들은 “이젠 회의나 병원 진료도 당일치기로 다녀올 수 있다”고 말한다.


철도는 도시의 풍경까지 바꿔놓았다. 연길서역은 하루 수십 편의 열차가 오가며 붐비고, 장백산역은 관광 전용 역으로 자리 잡았다. 일반 노선들도 전기화 개조를 거쳐 운행 효율을 높였다. 하루 운행 횟수는 10년 새 45편에서 92편으로 늘었다. 연변 전역이 사실상 ‘1시간 생활권’으로 묶인 셈이다.


철길이 놓이자 산업도 움직였다. 훈춘의 킹크랩은 과거 내륙으로 나르기 어려워 대부분 냉동됐지만, 고속철 냉장 물류망이 구축되며 연간 판매량이 200톤을 넘겼다. 탄소섬유산업단지 등 신산업도 속속 들어서며, “변방의 오지”였던 연변은 투자자들의 눈에 ‘기회의 땅’으로 떠올랐다.


1000027830.jpg

 

훈춘 국제물류단지에는 12억위안이 투입됐다. 철도가 단지 내부까지 들어오면서 러시아산 화물이 곧바로 하역된다. 이곳은 이미 국가급 육상 물류거점으로 지정됐다. 도로도 함께 확충돼, 국경을 따라 달리는 G331 관광대통로는 ‘교통+관광’의 새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연변의 철도망은 아직 확장 중이다. 둔화–목단강 고속철이 완공되면 길림성과 흑룡강성 간 이동이 빨라지고, 연길–장백산 고속철은 시속 350㎞급으로 설계돼 1시간 생활권이 실현될 전망이다. 훈춘–동녕선 등 국경 철도는 러시아·북한을 잇는 국제 물류망의 ‘마지막 퍼즐’로 꼽힌다.


고속철이 만든 변화는 산업을 넘어 사람들의 삶으로 이어졌다. 연변 주민들은 “아침에 수확한 채소가 오후엔 베이징 시장에 깔린다”고 말한다. 철도 일자리도 대부분 지역민에게 돌아가 젊은층의 ‘역외 이탈’이 줄었다. 열차 내에는 조선족 전통 의상을 입은 승무원들이 ‘금달래의 약속’ 팀 이름으로 이중 언어 안내와 민속 공연을 펼친다.


1000027833.jpg

 

연변의 고속철 사업이 빠르게 진행된 배경에는 유연한 행정이 있었다. ‘초속도로 진행하되 절차는 준수한다’는 원칙 아래 각종 인허가가 속전속결로 이뤄졌다. 민간 자본을 끌어들인 PPP(민관협력) 방식으로 자금 문제도 풀었다.


연변 당국은 2030년까지 모든 시(市)를 고속철로 연결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나아가 ‘철도경제 시범구’를 조성해 단순한 통과형 경제에서 ‘허브형 경제’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부자가 되려면 먼저 길을 닦으라”는 옛말이 있다. 연변은 이 말을 철길로 증명해냈다. 고속철은 단순히 사람을 이동시키는 수단이 아니라, 지역의 산업을 일으키고 삶의 방식을 바꾼 동력이 됐다. 변방이라 불리던 땅이 이제는 동북아를 잇는 관문으로 서 있다. 철로는 연변의 지도를 바꿨고, 그 위를 달리는 것은 단순한 열차가 아니라 이 지역의 새로운 미래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중국을 알려면 현실을 봐야” — 세계중국학대회 상하이서 개막
  • “두 개의 신분증, 한 세상은 끝났다”… 호주 교민, 중국서 ‘이중국적 단속’에 막혀 출국 불가
  • “중국 청년들, ‘서울병(首尔病)’에 걸렸다?”…中 매체 “韓 언론, 과장·왜곡 심각”
  • 中 배우 신즈레이, 베니스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 시진핑·김정은 회담…“북·중 전통친선 계승, 전략적 협력 강화”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 퇴임 앞둔 프랑스군 총참모장, “분열된 유럽은 강대국 먹잇감 될 수도”
  • 서정원 매직, 펠리피 폭발+웨이스하오 쇼타임…유스 듀오 데뷔골까지 ‘5-1 완승’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철도의 기적’…연변, 변방에서 동북아 중심으로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