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키워드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러 언론 “러-우 충돌, 세계 군용 드론 ‘쇼윈도’…”

  • 철민 기자
  • 입력 2023.05.06 20:2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99999.png

 

[동포투데이 철민 기자] 러시아 매체는 최근 러-우 전쟁이 세계 군용 무인기 산업의 독특한 '성과전'이 됐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나토 국가들이 최신예는 아니더라도 잘 알려진 무인기 스위치블레이드 300과 피닉스 고스트,  블랙호넷 초소형 정찰 무인기 등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했다고 전했다.


해당 매체에 따르면 미국·독일·노르웨이·폴란드·네덜란드·리투아니아 등 국가들이 각종 군용 무인기를 우크라이나에 공급했다. 미국인들이 가장 많은 종류의 무인기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했으며 여기에는 정찰용 무인기 스캔이글, 점프 20, 알티우스 600, 사이버룩스 K8, RQ-20 퓨마 무인기 등이 포함된다.


독일은 퀀텀시스템즈가 개발한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고정익 '벡터' 드론을 100여 대를 공급했다. 이 무인기는 일반 및 적외선 카메라를 장착하고 암호화된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심지어 호주도 D40 무인기를 우크라이나군에 납품했다. 이런 소형 무인기는 유탄발사기로 발사할 수 있다. 순항거리가 20㎞에 달해 장갑차까지 격파할 수 있다.


러시아도 이번 러-우 분쟁에 다양한 무인기를 투입했다.


러시아는 최근 몇 년 동안 우크라이나 전장에서 사용할 다양한 드론 모델을 새로 개발했다. 란셋-3 공격용 자살 무인기가 대표적이다. 2022년 봄 시리아에서 첫 테스트를 완료했다. 업그레이드 버전의 비행시간은 40분, 최고속도는 시속 110㎞, 이륙중량은 12㎏이다. 


러시아 공군의 최신예는 S-70 헌터 헤비급 스텔스 무인기다. 헌터는 수호이사가 무인공격기로 개발했다. 총중량이 20톤에 가까운 헌터 무인기는 장거리 타격은 물론 정찰 임무와 전자전까지 수행할 수 있는 강력한 레이더 스텔스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헌터의 내장형 탄창은 다양한 유도폭탄을 포함해 최대 2t의 유효하중을 운반할 수 있다.


러시아군은 수호이사가 이 무인기를 조속히 보완해 생산에 투입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얼마 전 무인기 산업 발전 회의를 주재하고 정부가 드론 개발자를 우대하기로 했다. 러시아는 민간용 무인기 시장 규모만 1조 루블을 넘는다. 무인기가 가져온 군사적 승리는 아주 값지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전북 시민·예술인 12만 여 명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 “시민사회와 더불어 진짜 대한민국 만들겠다”
  • 김문수 후보 민주화운동 보상금 10억 원 거부, 허위사실공표 공직선거법 위반 고발
  • 민주당, 김문수 후보 내란 선동 의혹 제기…“5·18 기념식 불참·극우 연대 비판”
  • 더불어민주당, 5·18 45주년 맞아
  • 中 상무부, 美 수출통제 조치 강력 반발…
  • 국민의힘
  • 모순의 집합체? 연변룽딩 이기형 감독의 빛과 그림자
  • 이재명 후보 노동계 지지 확산…전국 각지서 지지선언 잇따라
  • 민주당 광주-한국노총 광주, 이재명 후보 지지 선언 “대선 승리 함께”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러 언론 “러-우 충돌, 세계 군용 드론 ‘쇼윈도’…”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