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中,여행사 북한 거지 생활 참관활동 조직

  • 기자
  • 입력 2014.02.14 17:24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 -북한 제비(거지)들은 중국 여행사들의 돈벌이 도구
1990년대 북한은 “고난의 행군”시절부터  주민생활 빈곤도가 상상을 초월해 수백만 인구가 아사했으며 거지수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부 중국 여행사들이 이 생활 곤경을 이용해 북한 거지 생활 관광활동을 조직하고 있다.- 편집자주
 
baidu_com_20140214_153441.jpg
[사진=북한 거지들]
 
[동포투데이 허훈 기자]1990년대 북한의 “고난의 행군”시절부터 북한 주민생활 빈곤도가 상상을 초월해 수백만 인구가 아사했으며 거지수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부 중국 여행사들이 이 생활 곤경을 이용해 북한 거지 생활 관광활동을 조직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지린성 옌볜의 옌지시(延吉市), 훈춘시(珲春市)와 투먼(图们) 일대가 북한 아동 거지 거주지로서 중북 변경지대의 일부 중국 여행사들이 북한 난민 아동들에게 토굴을 제공해 거주하게 하고 참관활동을 조직하면서 외국 관광객들의 토굴 참관 활동을 안내하고 있다.

한 중국 여행사 직원은 “우리는 북한 거지들에게 거주소를 제공하며 먹을거리를 준다. 우리는 좋은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언론들도 이러한 보도를 하고 있다. 한 한국신문사 보도에 따르면 랴오닝성 단둥(辽宁省丹东)의 한 여행사도 기회를 포착하고 먼 곳에서 북한측을 내다 보는 관광활동을 조직했는데 관광객들이 단둥에서 쾌속보트를 타고 야루강(鸭绿江)을 따라 동쪽으로 25km 달리면서 북한측 강변을 구경하게 한다. 관광객들은 북한 풍경을 구경하는 동시에 빵과 과자를 북한 주민들에게 던져 먹게 한다. 이러한 관광상품 비용은 인당 100위안이다.

중국의 쾌속선 운전기사들은 “북한 거지들이 관광객들이 던져준 과자, 빵, 담배를 주어 암시장에 가지고가 옥수수 가루와 바꿔 먹는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일부 사람들은 전문 쾌속선 부두에서 과자와 빵 등 식품을 관광객들에게 팔고 있다.

1990년대 중북 양측이 북한 무역 우대를 중지한후 북한에는 기름, 원자재, 공농업 생산능력 위축현상이 출현하고 1990년대 중반 기근이 폭발했으며 300여 만명이 아사했다고 한다.

한국정부에 따르면 북한 고아원의 수용자들과 인구 비율로 추산할때 북한 국내에는 현재 거지가 7만-10만에 달하는 듯하며 중북 변경지구에도 1만-2만명 아동거지들이 있는것으로 짐작되고 있다. 최근들어 북한이 탈북자 타격강도를 강화하면서 양국 변계지구 아동 거지수가 5천명으로 감소했다.

중북 변경지구에서 북한 아동을 돌보는 한국 인사들은 “이렇게 계속되면 남북 통일후 이러한 아동 거지문제가 ‘손을 데우는 뜨거운 감자’로 될 것이다”고 일치하게 우려하고 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 바르셀로나, 4400만 유로 ‘콩고 후원’ 논란…“재정인가, 도덕인가”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 ‘축구굴기’는 실패했다…중국, 이제 아마추어에 열광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中 외교부가 극찬한 배우, 유역비의 조용한 선행 17년”
  • [클럽월드컵] 우라와·울산, 나란히 완패… 아시아 축구, 세계 무대서 또 굴욕!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中,여행사 북한 거지 생활 참관활동 조직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