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탈사회주의 20여 개국, 30년의 명암

  • 허훈 기자
  • 입력 2025.11.23 20:0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동포투데이]1991년 소련 해체로 냉전 구도가 무너진 뒤, 옛 사회주의권 20여 개 국가가 일제히 체제 전환에 나섰다. 소련 15개 공화국과 폴란드·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루마니아·불가리아·알바니아 등 동유럽 국가, 그리고 몽골까지 포함된다. 대부분이 1989~1992년 사이에 계획경제를 포기하고 시장경제와 다당제를 도입했다.

 

초기에는 공통적으로 ‘충격요법’의 후폭풍이 컸다. 산업 기반 붕괴와 실업 급증, 고(高)인플레이션이 뒤따랐다. 러시아는 1990년대 초 물가가 수십 배 뛰었고, 동유럽 다수 국가는 실업률이 20%를 넘기도 했다. 그러나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상당수 국가의 경제가 회복 궤도에 올랐고, 이후 30여 년 사이 각국의 발전 속도는 뚜렷하게 갈렸다.

 

602.png

 

EU 편승한 동유럽, ‘전환 성공 사례’로 부상

 

동유럽 국가는 EU 가입을 계기로 가장 빠른 변화를 이뤄냈다. 폴란드·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는 2004년, 루마니아·불가리아는 2007년 EU에 합류하며 서유럽 시장과 제도에 편입됐다.

 

폴란드는 인구·경제 규모를 바탕으로 ‘전환국가 최대 수혜국’으로 평가받는다. 2024년 GDP는 8천억 달러, 성장률은 3%대 중반을 유지한다. 실업률은 3% 수준으로 낮지만, 젊은 층의 서유럽 유출과 빠른 부동산 가격 상승은 부담 요인이다.

 

헝가리는 자동차 산업 중심의 수출경제로 2024년 GDP 2,100억 달러, 인구 대비 GDP 3만 달러 중반을 기록했다. 다만 높은 인플레이션과 EU 보조금 문제 등 정치·경제적 갈등 요소가 상존한다.

 

체코와 슬로바키아는 1993년 분리 이후 각자 산업 구조를 강화하며 성장했다. 체코는 1인당 GDP 4만 달러 후반, 슬로바키아는 3만 달러 중반을 기록하며 EU 내 중견 경제로 자리 잡았다. 루마니아·불가리아·알바니아는 여전히 추격 단계지만 인프라와 서비스 산업 확대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몽골은 자원 의존도가 높지만 광물 수출 증가에 힘입어 2024년 5% 성장률을 기록했다. 다만 도시 환경 악화와 양극화 문제는 여전히 뚜렷하다.

 

러시아·우크라이나·벨라루스, ‘자원 의존·지정학 리스크’에 흔들린 전환

 

옛 소련의 핵심이었던 러시아·우크라이나·벨라루스는 체제 전환 과정에서 가장 큰 진통을 겪었다.

 

러시아는 2024년 GDP 2조 달러로 전환국 중 최대 규모지만, 경제 구조가 여전히 에너지 수출 의존적이다. 1990년대 급격한 민영화는 과두 체제를 낳았고, 최근까지도 지역 양극화와 통화 불안이 문제로 지적된다.

 

우크라이나는 2010년대 이후 농업 강국으로 부상했지만 2022년 이후 전쟁으로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다. 2024년 GDP는 2천억 달러, 실업률 12%, 인플레이션은 두 자릿수에 머물렀다.

 

벨라루스는 제조업 기반이 비교적 안정적이지만 정치적 폐쇄성과 러시아 의존도가 높아 제재와 경기 변동에 취약하다.

 

반면 발트 3국(에스토니아·라트비아·리투아니아)은 전환 성공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2004년 EU·NATO 가입 이후 디지털 행정과 첨단 산업 육성으로 소득 수준이 러시아를 뛰어넘었다. 다만 고령화와 소수 러시아계 주민의 사회 통합 문제는 과제로 남는다.

 

중앙아시아·남캅카스, 자원 의존과 지정학의 그늘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은 자원·노동 송금에 크게 의존하며 전환 속도가 더뎠다. 카자흐스탄은 석유 덕분에 가장 높은 소득 수준을 유지하지만, 투르크메니스탄·타지키스탄 등은 여전히 저소득 국가군에 속한다.

 

남캅카스 3개국(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조지아)은 에너지·관광·광업 등 산업 특성이 뚜렷하지만 영토 분쟁과 정치 불안이 발목을 잡는 구조가 반복되고 있다.

 

30년의 결산… 평균적으론 ‘성장’, 현실은 ‘양극화’

 

1990년대 초반 심각한 경기 침체를 겪은 뒤, 전환국 전체 경제 규모는 2024년 기준 5조 달러를 넘어서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빈곤율은 1990년대 40%에서 현재 15% 안팎으로 낮아졌고, 평균 기대수명도 10년 이상 늘어났다.

 

그러나 소득 불평등·부패·지역 격차 등 구조적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일부 국가는 높은 기술 역량과 외국 자본 유치로 서유럽 수준에 접근한 반면, 또 다른 국가는 자원 편중·정치 불안·이주 노동 의존으로 정체를 겪고 있다.

 

전문가들은 “체제 전환이 곧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며 “시장 개방, 제도 개혁, 외부 환경 등 복합적 요인이 국가별 격차를 키웠다”고 분석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전 세계 한글학교, 민화로 하나되다
  • “중국을 알려면 현실을 봐야” — 세계중국학대회 상하이서 개막
  • “두 개의 신분증, 한 세상은 끝났다”… 호주 교민, 중국서 ‘이중국적 단속’에 막혀 출국 불가
  • “중국 청년들, ‘서울병(首尔病)’에 걸렸다?”…中 매체 “韓 언론, 과장·왜곡 심각”
  • 中 배우 신즈레이, 베니스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
  • 시진핑·김정은 회담…“북·중 전통친선 계승, 전략적 협력 강화”
  • “중국인 안 와도 여전한 쓰레기”…한국 관광지, 반중정서의 희생양 되나
  • 퇴임 앞둔 프랑스군 총참모장, “분열된 유럽은 강대국 먹잇감 될 수도”
  • 서정원 매직, 펠리피 폭발+웨이스하오 쇼타임…유스 듀오 데뷔골까지 ‘5-1 완승’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탈사회주의 20여 개국, 30년의 명암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