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人生)은 아름다운 긴 여행 / 이치수
우주의 신비로움 같이
엄마 몸 밖으로 나온 아기는
탄생의 순간 기쁨을 노래하며
세상과 조우(遭遇)한다.
맑고 초롱한 아기의 눈빛과
해 맑은 미소는
부모의 가슴 속에 영원히 간직되어
세상 모든 어려움을
이겨내는 힘이 되고
엄마 품에 안긴 아기는,
엄마와 아빠, 할머니와 할아버지
우리 선조들께서 그러했듯
인생(人生)이란 여행을 시작한다.
인생이란 여행은
기쁨과 슬픔, 행복과 불행
공존하는 세계로
서로의 마음에 상처 주기도 하지만
더 많은 기쁨과 행복을 선사한다.
함께 떠나는
인생의 여정(旅程)에서
우리는 왜 서로를 배려하지 못하는 것일까.
이것은 아무 일도 아닌 것을
오직 나의 입장에서
사물을 바라보기 때문이라는 것을
나만의 지나친 욕심에서 비롯됐다는 것을
우리는 서로 다른 시각 차에서
일어나는 사소한 오해로
다툼도 하고
간혹 앙금이 쌓여
감정에 휘둘린 외마디에
커다란 아픔과 상처로 괴로워하면서
이기심과 자존심으로
그 뜻은 아니라고 항변하고
이것이 기쁨과 슬픔의 교차점
슬픔이 다가올 때
이겨내지 못하면
감당할 수 없는
더 커다란 고통이 잉태(孕胎)한다.
마음의 여유조차 주지 않는
툭 던진 외 마디의 말은
서로의 마음만 멍들게 하고
이러한 고통이 끝이었으면
밤마다 기도 하지만
그것은 끝이 아닌
또 다른 아픔의 시작이 되어
“나의 뜻은 그런 것이 아니었는데
너에게는 단어에서 풍기는
어감만 느꼈는가 보다.
너에게 아픔을 주려 한 말들이 아니었는데
너에게 아픈 상처가 되었구나
내가 말한 참뜻은
그게(그것이) 아니었는데...”
나의 지나친 욕심은
오히려 해가 될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도 외면하고
우리는 자꾸만 쌓여 가는 아픔에
이러한 아픔은 세월과 함께
아름다운 추억으로 간직 되리라
위안 삼고
그러나 우리를 더욱 슬프게 하는 것은
진심으로 하고 싶은 말을
전할 수 없을 때
그것은 또 다른 아픔의 메아리가 되어
되돌아 온다는 것을
인생이란 여행 길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미지(未知)의 길도 있다.
처음 가는 길에 대한 두려움으로
혼돈의 세계에 빠지기도 하고
힘든 고비를 넘어 서기도 전
방황하며
쓰라림도 맛본다.
미지(未知)의 길
그러나 세상 어느 곳에도
새로운 길은 없다
오직 나의 세계에서
새롭게 보일 뿐
우리가 아무리 새로운 길을 찾으려 해도
그 길은 이미 누군가가 밟아 온 길이며
지금 그 길의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것은
단지 우리의 기억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
인생이란 여행 길목에서
우리가 개척해 가야 할 길 중
가지 말아야 할 길이 있다.
밟지 말아야 할 길
가서는 안 되는 길이 있다.
누군가가 우리에게
그 길을 가지 말 것을 이야기해도
진심을 말하는 사유(思惟)조차
들으려 하지 않기에
다시 되돌리기엔
옳은 길을 찾아 나서는 것
그 길을 간다는 것은
대단한 인내(忍耐)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길을 마다하고
남이 가지 않는 새로운 길만
나의 길을 가는 데
그리 오랜 시간 걸리지 않을 텐데
나 조차 모르는
험하고 힘든 길을 찾아 나서는 오류를
그 길을 따라 간 이후
나에게 어떠한 결실로 맺어질지
가늠조차 하지 않고
많은 시간이 흐른 뒤에야
잘못된 길 걸어온 지난날을
후회하고.
“내가 걸어온 그 길이 너무도 험하여
너에게는 결코 그와 같은 길을
밟지 않게 하리라
그렇게 다짐했다.
네가 모르는 세상
내가 먼저 보았다는 것에
세월이 흐르고 또 흘러
먼 훗날 너에게 닥칠 그 아픔 생각하면
내가 왜 이리도 목 매워 애원하는지..."
인생(人生)은 긴 여행
우리와 마주하는 세상
어떤 미물(微物)도
소중하지 않은 존재 없듯
우리는 그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우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 간다.
모양은 각각 다르지만
누구나 인생이란 여행을
향유할 권리 있어
이것이 인생이란
여행에서 누릴 수 있는
우리의 특권(特權).
우리는 서로를 가까이서
볼 수 있다는 것으로 행복을 느끼며
때로는 누군가의 넉넉한 마음씀씀이로
억제할 수 없는 기쁨의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작지만 작지 않은 이 행복을
마주하면서도
그 기쁨과 행복을 느끼지 못하고
삶의 순간순간 마다 찾아오는
자그마한 행복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
잊고 사는 우리들
인생이란 여행 중
만날 수 있는 기쁨과 슬픔 모두
우리의 삶을 엮어가는
없어서는 안될 귀중한 삶의 일부분인 것을
우리는 그저 일상화된 무관심으로
흩날려 버리고...
서로 다른 길
서로 다른 세계를 꿈꾸며
그 속에서 저마다 느끼는
기쁨과 슬픔 담아 살아가는 우리에게
아름다운 인연(因緣)은
인생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
누구나 갖는 인생 여정에서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만 찾는다.
우리가 볼 수 없는 것도 있다는 것
네가 볼 수 있는 것도 내가 볼 수 없다는 것을 알기까지
그리 많은 시간 소요되지 않을 텐데
왜 오랜 세월이 흘러서야
깨닫게 되는 것일까!
인생은 여행이어서
누구나 마음을 가린 창의 커튼을
조금만 열면
생명들이 속삭이는
감미로운 세계를 만날 수 있다.
인생이란 여행 중
우리가 깨닫게 되는 것은
기쁨과 슬픔
행복과 불행은 오직
물질적인 이면보다
내면적 성찰(省察)에 있는
자신의 마음이라는 것을.
인생(人生)은 긴 여행
아름다운 인연(因緣)으로 맺어진
너와 나의 노래가
희망과 사랑의 날개가 되어
세상에서 가장 큰 울림이 되기를...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허 훈 | 칼럼니스트 “디아스포라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지난 6월 23일 서울 종이나라박물관에서 열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0회 발표회에서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이 던진 이 말은 한글교육의 본질과 미래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표현이었다. 한글교육은 더 이상 단순한 문자 교육...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각 시대마다 역사 흐름을 바꾸는 탁월한 인물들이 등장해왔다. 이들은 그 지혜와 능력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신과 같은 존재’로 불리며 사회와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삼국연의>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이러한 인물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지만, 실제 역사 속에서는 그조차도 ‘신인’ 순위의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실시간뉴스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
-
중국 5대 종교 중 신도가 가장 많은 종교는?
-
중국 유명 역사 이야기 10편 01 : 와신상담 (卧薪尝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