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끔 산동 또는 북경에서 조선족들이 모여 사는 동네에 머무를 때면 항상 걱정과 근심이 앞섰다. (다행히 광동에 머무를 적에는 그 회사가 일본회사인 탓에 조선족 직원도 없었고 주변에도 조선족 집거구가 없었다) 그것은 ‘이러다가 연변에 되돌아가는 느낌’ 같은 것이랄까? 그래서 그 당시에는 될 수 있으면 조선족들과 어울리지 않으려고 애를 썼고, 회사에서도 조선족 직원이나 연변대학졸업생들을 최소한 일정한 거리를 두려고 애를 썼다.
그런 연유로 서울에서만큼은 조선족들이 밀집된 가리봉동이나 대림동을 멀리 떠나 자리를 잡았다. 그 원인은 딱 하나.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면 결국 객지에 나와서도 연변으로 되돌아가게 된다는 것. 연변생활로 되돌아갈 것이면 왜, 연변을 떠나 비싼 집에 살고 입에 맞지도 않는 음식을 먹으면서 사서 고생을 하느냔 말이다.
결론적으로 보면 조선족들이 모여 살면 그렇게 되는 듯싶다. 필자가 북경에서 연변대학 동창생이 운영하는 회사에 잠시 몸담고 있었던 시절을 회상해 보면, 그 동창생이 글쎄 연변대학교 조문학부 동문만 십여 명을 끌어모아 회사를 아주 연대조문학부동문회로 만들어버렸던 때다. 한마디로 연변대학교 학창시절을 연상시키듯 퇴근 후에는 명태집을 찾아서 맥주를 정신없이 들이켜곤 했다. 그러다 이것은 아니다 싶어 필자가 심술을 피워 조문학부 동문 십여 명을 다 내치고 겨우 회사 기강을 세우고 효율을 낼 수 있었다.
그러고 보니 어제도 TV에 서울 영등포구 대림동에서 경찰들이 조선족들이 벌인 불법 마작판을 급습하는 뉴스가 흘러나왔는데… 현재 한국에 조선족들이 집거하는 지역에 이런 마작판이 400~500개나 있다고 한다. 십여 년 동안 한국에 와서 막노동하면서 번 돈을 꼬박 마작판에 1억 5천(백만 위안 남짓)을 그대로 다 몰아넣은 사람도 있다던가?
연변에 있을 적에 한국행을 했던 짜개바지 친구들을 만나면, “한국에 가서 번 돈을 모두 경마에 다 몰아넣고 연길에 싸구려 집 한 채 건진 것이 전부다.”라고 후회하는 얘기들을 듣곤 했는데, 서울에 와서는 대림동에 전문 마작판을 설치해놓은 집에 단기 비자를 받고 와서 막노동자들이 번 돈을 후벼 파가는 전문 도박쟁이들이 있다는 얘기도 들었다.
객지나 외국에 가면 고향 사람이 그립다는 얘기는 옛말이다. 오히려 지금은 고향 사람이 원수고 경계대상 1호라는 얘기도 있다.
“在外地、在国外,朝鲜族聚在一起,准没个好事!”
/안대주
BEST 뉴스
-
진실과 거짓 사이에는 무엇이 있는가 ?
“말은 곧 사람이며 철학이다.” 하지만 우리는 너무도 자주 이 말을 의심하게 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처음 한 말과 뒤에 하는 말이 달라지고, 책임지지 못할 말들이 쉽게 쏟아지고, 중요한 질문 앞에서는 말을 돌려버린다. 거짓이 진실보다 빨리 퍼지고, 침묵은 무기처럼 쓰인다. 누군가 말한다. 하지만 듣지 않... -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 -
일본 패망 이후, ‘한간(漢奸)’ 처벌은 어떻게 이루어졌나
[동포투데이]1945년 8월 15일, 중국 전역은 14년간 이어진 항일전쟁의 승리 소식으로 들썩였다. 당시 언론 <대공보(大公報)>는 대형 활자로 “일본 투항!”을 전하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기다려온 순간을 알렸다. 그러나 전쟁의 종결과 동시에 민중의 관심은 ‘일본에 협력한 한간(漢奸) 처벌’로 향했다.... -
“총구 겨눈 혈맹, 1969년 중·북 국경 위기의 전말”
1969년, 중국과 북한은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다. 압록강과 두만강 일대 국경에서는 군대가 대치했고, 북한은 20만 병력을 장백산 일대로 집결시켰다. 당시 분위기는 언제 포성이 울려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살벌했다. 그러나 1년 남짓한 외교적 줄다리기 끝에 두 나라는 극적으로 화해에 성공했다. 무엇이 이 ... -
반려견 키우기의 ‘10가지 부담’…“귀여움 뒤에 숨은 책임”
[동포투데이] “강아지 한 마리 키우면 행복이 두 배가 된다”는 말이 흔히 오가지만, 실제로 반려견을 돌보는 일은 결코 가볍지 않다. 반려견의 사랑스럽고 활발한 모습에 마음이 끌려 입양을 고민하는 이들이 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적잖은 부담과 책임이 따른다. 최근 중국 온라인 매체들은 ‘반려견을 키울 때 겪게 ... -
“고층에 살면 수명이 짧아진다?”…연구가 밝힌 생활 속 건강 변수
[동포투데이] 아파트 몇 층에 사느냐가 정말 건강과 수명에 영향을 줄까. 언뜻 들으면 황당한 이야기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국내외 연구들에서 거주 층수와 생활습관, 나아가 건강 상태 사이의 연관성이 관찰된 바 있다. 최근 국외에서 발표된 한 장기 추적조사에서는 12년간 도시 거주민을 분석한 결과,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