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2014년 전국 8개 성 인당 GDP 1만달러 돌파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일전 중국 국가통계국에서 2014년도 중국 경제운행 수치를 발표한 후 각 지방에서도 육속 자기 성의 경제수치를 발표했다.
인민일보(해외판)의 2일 보도에 따르면 2014년에 광동성과 복건성 두 개 성 인당 GDP(국내 총생산액)가 1만달러를 돌파했다. 이로부터 중국에서 전국적으로 북경시(직할시), 천진시(직할시), 상해시(직할시), 절강성, 강소성, 내몽골자치구, 광동성, 복건성 등 8개 성에서 인당 GDP가 1만달러를 돌파했다.
인당 GDP가 1만달러에 오른다는 것은 중요한 상징성을 갖는다. 광동성 통계국의 분석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2013년에 인당 GDP가 1만달러가 넘는 국가는 65개이고 2014년에는 66개일 것으로 예측된다. 만일 광동성을 한 개 경제체로 세계 인당 GDP 1만 달러 순위에 넣는다면 목전 광동성 인당 GDP는 세계 각 경제체 가운데의 제65위로 세계 평균 수준에 달하며 이는 광동성의 경제사회 발전이 이미 중등 선진국 수준에 도달했음을 의미한다.
중국 하문대학 경제학과 딩창파 부교수는 적지 않은 국가와 지역에서 인당 GDP가 1만 달러를 넘을 때 산업구조의 체적화가 비교적 잘 되고 수입분배와 주민 사회보장 등이 매우 좋으며 공공제품 공급이 충족하다면서 일반적으로 선진국에서는 GDP가운데서 주민 수입이 차지하는 비례가 55%에 달하지만 중국의 적지 않은 지방에서는 40%에도 못미친다고 지적, 그 원인은 주로 중국 목전의 경제발전 모식과 관련되는바 목전 중국의 경제성장은 주로 투자추동에 의한 것으로 경제성장이 광범한 주민들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
-
日 우익, “중국의 반일감정은 공산당 조작” 왜곡 발언
-
일본 농림수산상, 광복절에 야스쿠니 참배…이시바 내각 첫 사례
-
북·러 정상급 교류 속…평양서 ‘해방 80주년’ 대회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