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내년부터 사형수의 장기이식 전면 금지
[동포투데이 김철균 기자] 4일, 중국언론 ‘남방도시보’에 따르면 중국 인체기관기증 및 이식위원회 주임위원이며 중국 병원협회 인체기관 채취조직영맹(중국 병원협회O PO연맹) 주석인 황결부는 당일 있은 중국병원협회 O PO연맹 곤명세미나에서 2015년 1월 1일부터 중국은 사항수의 장기(脏器)를 인체이식의 내원으로 하는 것을 전면 금지하며 공민이 임종시 자원적으로 기증한 장기를 인체이식에서의 유일한 내원으로 한다고 선포하였다.
황결부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매년 평균 30만명에 달하는 환자들이 장기이식을 수요, 하지만 장기이식 수술건은 근근히 1만여 사례에 불과하다. 현 단계에 있어서 중국공민이 기증하는 장기기증률은 근근히 100만분의 0.6%로서 세계에서 장기기증률이 가장 낮은 나라의 하나로 되고 있다. 반면에 스페인 공민들의 장기기증률은 100만분의 37%로서 중국의 현황에 비해 현저히 높은 편이다. 중국의 현황을 놓고 보면 오랫동안 내려온 전통사상이 사람들의 장기기증열이 높지 못하게 하는 외 사람들 또한 장기기증의 공평, 공정공개에 대해서도 우려를 하고 있는바 이 역시 중국의 장기기증사업의 발전을 저애하는 아주 중요한 요인으로 되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현재까지 전국에서 공민이 장기기증 수자를 제시, 2010년부터 2013년 사이의 4년 사이에 중국공민들이 장기를 기증한 수자는 1448례였지만 올해는 이미 1500례로서 올해 지금까지의 기증수자는 이전의 총량을 이미 초과하고 있어 중국 장기기증사업의 전망은 밝을 것으로 보이고 있다.
2012년 중국의 전국인대와 전국정협 회의에서 당시 중국 국가위생부 부부장이었던 황결부는 장기내원이 엄중하게 부족한 현장은 중국 장기이식발전의 걸림돌이라면서 공민들의 자원기증의식이 결핍하기에 여태껏 사형수의 장기가 장기이식에서의 주요 내원이었다고 솔직하게 승인하였다.
신화사에 따르면 지난 11월 항주에서 있은 중국장기이식대회에서 황결부는 중국은 이미 2013년 2월부터 공민이 자원적으로 장기기증을 할 수 있게 하는 사업을 전국적으로 추진하기 시작, 이미 사형수의 장기기증을 공민의 장원적인 장기기증으로 대체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언론들에 따르면 중국의 광동, 북경, 절강 등 성과 시의 38개 대형 장기이식센터들에서는 이제 더는 사형수의 장기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홍콩 지미 라이 재판, '국보법' 심판대에 오른 언론 자유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
-
日 우익, “중국의 반일감정은 공산당 조작” 왜곡 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