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투데이 김철균 기자]시장경제의 발전과 나라들에 따르는 정책의 변화로 인해 사람들이 다투어 몰켜들던 부분적 “골든밥그릇(金饭碗)”들이 이젠 그제날의 그런 광채를 잃어가고 있으며 지어는 현재 구직자들이 눈길도 돌리지 않는 “모래알밥그릇”으로 되고 있다.
그럼 그제날 시대의 행운아들은 과연 어떻게 그런 “골든밥그릇”을 차지했고 또 그들의 현재는 어떠할까?
여객기 스튜어디스: 퇴색하기 시작한 “골든밥그릇”으로는 여객기이 스튜어디스이다. 그제날 스튜어디스들이 수입은 연예계 혹은 스포츠계의 스타들과도 비길 수 있었으나 현재는 근근히 중등수입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빈번한 비행기사고 등으로 점차 이 직업도 인기를 잃어가고 있다.
택시기사: 이미 최하층 직업으로 추락한 “밥그릇”으로는 택시기사직업이다. 그제날 중국에서는 청화대학 졸업생마저 택시기사 직업을 선택한 경우까지 있었다. 그만큼 수입이 짭짤했다. 헌데 지금은 택시기사라면 지나가던 구걸쟁이도 쳐다보지 않는다고 한다.
노가다로 뛰는 인부의 수입보다도 못한 것이 택시기사의 수입이기 때문이다.
호텔봉사일군: 한시기 호텔업은 세계 곳곳에서 번창했다. 그 덕분에 많은 구직자들이 호텔봉사일군으로 되는 것을 행운으로 여겼다. 학교졸업 후 곧바로 부모의 수입을 추월할 수 있는 “골든밥그릇”이 호텔봉사일군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요즘은 다르다. 사람들은 고급호텔보다는 실제적인 모텔방을 찾는다. 특히 최근 중국에서는 반부패운동으로 공직자들은 고급호텔을 멀리하고 있으며 적지 않은 “5성급 호텔”들은 스스로 “4성급” 혹은 “3성급”으로 강등하는 붐이 일고 있다. 그러니 봉사일군들의 수입도 당연히 줄어들기 마련이다.
상업판매원: 이전의 계획경제시대에는 상업판매원의 턱이 높았다. 힘들지 않고도 깨끗했다. 당시 공급물량이 제한되었기에 고객이 맘에 드는 물건을 사려면 반드시 판매원을 통해야 했으며 판매원 또한 지도일군한테 잘 보이면 뭐든지 “뒤문거래”로 통해 자기의 생색을 낼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180도로 달라졌다. 상가마다 물량이 쌓여있고 오히려 팔지 못해 야단이다. 돈만 있으면 뭐나 다 살 수 있다. 돈만 있으면 처녀불알도 살 수 있다는 요즘의 세월이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청도~훈춘 직통 고속철 개통…‘반나절 생활권’으로 동북·산동 잇는다
-
홍콩 지미 라이 재판, '국보법' 심판대에 오른 언론 자유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