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름다운 무지개
하늘을 보면 간혹 사랑스러운 처녀가 세수를 한 후 머리에 아름다운 리봉을 드리운 것 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그것이 곧바로 무지개이다.
무지개는 흔히 여름날 비가 내린 후에 출현, 이 때 공기 중에는 많은 작은 물방울들이 생기는데 태양이 공기 중에 잔류해있는 이런 물방울들을 비추면 그 것들이 홍, 증(橙), 황, 녹, 청, 남, 자(紫) 등 일곱가지 색갈을 낸다. 아울러 태양의 정면에서 위로부터 아래로 색갈무늬가 배열되면서 아름다운 채색호를 형성하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보게 되는 무지개이다.
무지개는 넓을 때가 있는가 하면 좁을 때도 있으며 환할 때가 있는가 하면 어두울 때도 있는데 그 명랑여하는 공기 중 물방울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물방울이 클수록 무지개의 색채는 선명하고도 찬란하고 채색띠가 좁으며 물방울이 작을수록 무지개의 색채는 어둡고도 채색띠도 넓어진다.
연구에 따르면 무지개의 출현은 당시의 기후변화와 연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하늘에서의 무지개의 위치를 보고 어느 하늘이 맑고 어느 하늘에서 비가 오는가를 추측할 수가 있다. 만약 동방하늘에 무지개가 있을 경우 우리가 서있는 곳은 비가 내릴 가능성이 적고 서쪽하늘에 무지개가 있을 경우 우리가 서있는 곳에 비가 내릴 가능성이 크다. 한편 만약 맑은 날 태양을 등지고 공중에 물을 뿌리거나 물보라를 날리면 얼마든지 인조무지개를 만들 수도 있다.
【동포투데이 리포터 김철균 제공】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
왜 예술인에게 ‘재교육’이 필요한가?
6월의 비는 쉼과 시작 사이를 적신다. 벌써 반년이 지나고, 빗소리는 지나온 시간에 안부를 전하듯 마음을 두드린다. 그리고 지금, 그 빗줄기처럼 우리에게 용기를 속삭인다. ‘다시 시작하라, 다시 배움에 도전하라’ 라고... 무용, 음악, 미술, 연극, 뮤지컬 등, 예술을 전공한 수많은 이들이 있다. 그러나 그... -
엇갈린 시선, 닿지 않는 마음 — 한중 젊은 세대의 온도차
● 허 훈 최근 한국에서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가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적잖은 파장을 일으켰다. 한국 청년층의 다수가 중국을 ‘가장 비호감 가는 국가’ 중 하나로 꼽았다는 것이다. 이같은 수치는 마치 이웃이 적의를 품고 노려보는데도, 정작 당사자는 시선조차 주지 않는 기묘한 장면처럼 ... -
“나도 드라마 속 ‘가난한 사람’이 되고 싶다”
● 허 훈 가난한 사람을 다루는 드라마를 네 나라, 한국·미국·중국·일본의 작품을 함께 놓고 본다면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난다. 이 네 나라 중 유독 한 곳만, 가난이 너무도 ‘예쁘게’ 포장돼 있다. 바로 중국이다. 요즘 중국 시청자들 사이에서는 “차라리 미드·한드·일드나 본다”는 말이 유행처럼 ... -
디아스포라와 AI 시대, 한글교육의 도전과 과제
허 훈 | 칼럼니스트 “디아스포라는 명사가 아니라 동사다.” 지난 6월 23일 서울 종이나라박물관에서 열린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제10회 발표회에서 전후석 다큐멘터리 감독이 던진 이 말은 한글교육의 본질과 미래를 깊이 성찰하게 하는 표현이었다. 한글교육은 더 이상 단순한 문자 교육... -
“중국이 최대 피해자”?…美·伊 전쟁 프레임 뒤에 숨은 불안한 백악관
미국 언론이 “미국과 이란이 충돌할 경우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라고 목소리를 높이는 사이, 테헤란의 폐허가 된 거리에서는 한 청년이 무너진 벽에 이렇게 적었다. “우리에겐 시간이 있고, 제국에겐 최후통첩뿐이다.” 이 짧은 문장은, 대결 국면의 중심에서 중국을 지목하는 서방의 담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지 ...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각 시대마다 역사 흐름을 바꾸는 탁월한 인물들이 등장해왔다. 이들은 그 지혜와 능력으로 사람들 사이에서 ‘신과 같은 존재’로 불리며 사회와 문명의 발전을 이끌었다. <삼국연의>로 널리 알려진 제갈량은 이러한 인물 중 대표적으로 손꼽히지만, 실제 역사 속에서는 그조차도 ‘신인’ 순위의 다섯 손가락 안에 들...
실시간뉴스
-
“제주도가 중국인의 섬?”…무질서한 중국 관광객에 쏟아지는 비판
-
역사 속 ‘신에 가까운’ 일곱 사람…제갈량도 5위 밖, 1위는 누구였을까
-
단동의 밤, ‘해당화’ 식당에서 피어난 이념의 그림자
-
“9·18 사변의 전주곡—만보산 사건의 전말”
-
[역사 바로보기] 중국사 속 3대 허위사실…'주유왕 봉화사태'부터 '강건성세'까지
-
국경을 초월한 영웅, 이다 스케오의 희생과 평화의 메시지
-
연변조선족자치주 8개 현·시 지명에 스민 역사와 문화의 숨결
-
1960년대 북-중 관계의 악화와 저우언라이 방북
-
중국 5대 종교 중 신도가 가장 많은 종교는?
-
중국 유명 역사 이야기 10편 01 : 와신상담 (卧薪尝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