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로그인을 하시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 허훈 기자
  • 입력 2025.08.18 09:32
  • 댓글 0
  • 글자크기설정

 

글 | 허훈

 

2025년 들어 동아시아와 서구 곳곳에서 반중 정서가 노골적으로 분출하고 있다. 서울 한복판에서 중국인 상점이 파손되고, 도쿄 거리에서는 관광객이 폭행당하는 일이 잇따른다. 단순히 범죄의 숫자가 늘어난 문제가 아니다. 그 장면들은 불안한 시대가 만들어낸 상징이자, 사회가 안고 있는 깊은 균열의 징후다.


한국과 일본 사회의 구조적 위기와 정치권의 책임 회피가 맞물리면서, 반중 정서는 단순한 반감이 아니라 ‘혐오의 정치학’으로 굳어지고 있다. 청년층의 실업, 불평등, 장기 불황의 그늘이 중국이라는 외부 대상으로 투사되며 사회적 폭력으로 변질되고 있는 것이다.

 

1000023818.jpg

 

아이러니는 경제에서 더욱 분명하다. 한국의 반도체, 일본의 자동차·의류 산업은 여전히 중국 시장에 크게 의존한다. 삼성과 현대, 도요타와 유니클로 모두 중국을 놓칠 수 없다. 그럼에도 불매운동을 외치며 중국 제품을 쓰고, 중국 식당을 찾으면서 중국을 비난하는 풍경은 동아시아 사회의 모순을 그대로 보여준다. 먹고살기 위해선 중국이 필요하지만, 분노의 화살은 중국을 향한다.


비슷한 모습은 미국과 유럽에서도 보인다.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중국인의 부동산 취득을 제한하거나 유학생 자격을 축소하는 법안을 추진하고, 유럽은 중국산 자원에 의존하면서도 환경 파괴와 안보 문제를 이유로 비판을 쏟아낸다. 독일은 희토류의 대부분을 중국에 기대면서 중국의 환경 문제를 지적한다. 이런 이중 잣대는 결국 지정학적 경쟁을 포장하는 다른 언어일 뿐이다.


중국은 이에 맞서 수출 통제, 군사력 과시, 시장 접근 제한으로 대응한다. 반도체 소재 수출 제한은 미국과 일본 기업에 타격을 주었고, 자동차처럼 중국 의존도가 높은 산업은 직격탄을 맞았다. 상호의존이 이제는 서로를 옥죄는 족쇄가 되어 국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그러나 문제의 근원은 외부가 아니다. 한국과 일본의 젊은 세대는 고용 불안과 불평등에 시달리고, 미국과 유럽은 낙후된 사회 인프라와 높은 부채에 허덕인다. 정치권은 책임을 외부로 돌리며 출구를 찾지만, 혐오와 배척은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오히려 불안정성을 증폭시키며 또 다른 폭력의 씨앗을 뿌린다.


혐오가 일상으로 스며든 사회는 누구에게도 안전하지 않다. 중국인 관광객을 향한 폭력은 단순한 외국인 배척이 아니라, 내부 문제를 직시하지 못하는 사회의 자화상이다. 지금 확산되는 반중 정서는 ‘중국 문제’가 아니라 각국이 외면해온 불안정의 거울이다. 사회가 자신을 갉아먹는 혐오에 기대는 순간, 피해자는 결국 우리 모두가 될 것이다.

ⓒ 동포투데이 & www.dspdaily.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BEST 뉴스

추천뉴스

  • ‘공산당 축구 관리’ 본격화…심양, 37억 쏟아 대련 추격
  • 지구촌한글학교미래포럼, 광복 80주년 기념 '제12회 발표회' 개최
  • 한중 외교의 민감한 분기점, 반중 극우 시위 수사의 의미
  • ‘해삼 군단’의 몰락, 스스로 무덤을 판 중국 축구
  • 황영웅, 네티즌 어워즈 남자가수상 ‘독주’…팬미팅도 1분 매진
  • ‘세계인의 축제’ 월드게임, 중국 청두서 개막…문화와 스포츠의 향연
  • “우승 위해 왔다”…손흥민, LAFC 전격 합류
  • “핵 없는 세상”의 약속 되새긴 히로시마…피폭 80년, 살아남은 이들의 마지막 증언
  • 시진핑 “15차 5개년 계획, 누리꾼 의견 반영하라”…중국식 민주주의 강조

포토뉴스

more +

해당 기사 메일 보내기

반중 정서, 불안한 사회가 만든 혐오의 정치학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