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우가 미국으로 건너갔다. 국내의 한 극우 청년단체가 미국에서 첫 공개 활동을 열었다는 소식은 가벼운 해프닝이 아니다. 그들이 쏟아낸 말은 정부에 대한 저급한 욕설, 선거가 조작됐다는 허무맹랑한 주장, 종교를 빌미로 한 선동뿐이었다. 사실은 실종되고 증거는 사라졌다. 남은 것은 음모론과 분열의 광기뿐이다.
   
더 위험한 것은 이들이 국경을 넘어 국제적 연대를 꾀한다는 점이다. 미국 극우와 손잡아 세력을 불리겠다는 의도는 노골적이다. “미국이 한국 사태에 개입할 수밖에 없게 만들겠다”는 발상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송두리째 흔드는 배신적 망상이다. 주권을 외부에 의탁하겠다는 구호가 어떻게 애국일 수 있는가.
   
정치권의 행태 역시 석연치 않다. 제1야당의 일부 발언이 이들과 어긋나지 않는다면, 그것은 우연이 아니다. 표 계산과 정파적 이익을 위해 극우의 언어를 흉내 내는 순간, 정치의 품격은 무너지고 사회적 균열은 벌어지고 만다. 불장난으로 집을 태우는 결과를 우리는 감당할 수 없다.
   
극우는 단순한 의견 차이가 아니다. 거짓을 사실로 둔갑시키고 혐오를 정치적 무기로 삼아 공동체를 분열시키는 독버섯이다. 그들의 선동에 눈길을 주는 순간, 사회는 극단으로 빨려 들어간다. 이제는 그 가면을 벗기고 진실을 드러내야 한다. 언론은 사실과 허위를 엄정히 가려내고, 시민은 냉철한 판단으로 거짓을 배격해야 한다. 정치권은 더 이상 기회주의적 유혹에 흔들려선 안 된다.
   
민주주의는 침묵으로 지켜지는 것이 아니다. 거짓과 혐오를 향해 목소리를 내고 행동할 때만 유지된다. 국제 무대까지 넘보는 극우가 더 큰 위협이 되기 전에, 사회 전체가 단호히 맞서야 한다. 때가 왔다 — 극우를 때려잡아야 할 때다.
BEST 뉴스
- 
									
										  “이게 한국의 환영 방식인가”…이태원 식당의 ‘금뇨(禁尿)’ 표지판이 던진 질문[동포투데이] 서울 이태원 한 식당 앞. 영어와 한국어, 중국어로 적힌 안내문이 서 있다. “길을 막지 마세요, 조용히 해주세요, 금연.” 얼핏 보면 평범한 문구지만, 중국어 문장에는 다른 언어에는 없는 단어가 하나 더 있다. ‘禁尿(소변금지)’. 그 한 단어는 마치 중국인만 따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듯...
- 
									
										  백두산 현장르포③ | 지하삼림, 천지의 그늘 아래 살아 숨 쉬는 또 하나의 세계[동포투데이] 장백폭포에서 이어지는 산길을 따라 한참 내려오자, 하늘빛은 서서히 사라지고 나무 그늘이 짙어졌다. 해발 1200미터 아래, ‘백두산 지하삼림(곡저삼림 地下森林)’이라 불리는 거대한 원시림이 펼쳐져 있었다. 천지의 화산분화로 생긴 협곡 속에 자리 잡은 이 숲은, 위에서 내려다볼 때는 그저...
-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data/news/202510/news_1760826949.1.jpg)  [기획연재③] 윤동주 생가에서 보는 디아스포라 — 북간도 교회와 신앙 공동체의 항일운동[동포투데이] 백두산을 향해 뻗은 길목, 용정에서 화룡으로 이어지는 평야 한복판에 작은 교회들이 있다. 세월에 닳은 예배당의 종탑은 여전히 하늘을 향해 서 있다. 북간도의 교회는 단순한 종교 시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조선 민족이 나라 잃은 땅에서 신앙으로 세운 ‘민족의 성채’였다.  ...
- 
									
										  백두산 현장르포④ | 용정의 새벽, 백두산 아래에서 다시 부르는 독립의 노래△용정대성중학교옛터 [동포투데이] 백두산에서 남쪽으로 차로 세 시간을 달리자, 평야지대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냈다. 구불구불한 두만강 물길을 따라 들어선 작은 도시, 용정(龍井). 이곳은 한때 “해외 독립운동의 심장”이라 불렸던 곳이다. 10월의 아침 공기는 차가웠지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