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의료보험 납부표준 10월 1일 부터 실시, 대우표준 명년 1월부터 집행
[동포투데이 김정 기자] 중국 연변주 인력자원및사회보장국에 따르면 도시진 주민들의 기본의료보장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길림성의 통일적인 요구에 따라 일전, 연변주에서는 도시진 주민 기본의료보험비 납부표준과 대우표준을 조절했다. 새로운 납부표준은 2014년 10월 1일부터 실시하고 새로운 대우표준은 2015년 1월 1일부터 집행하기로 했다.
주민 기본의료보험비 납부표준 인상
10월 1일부터 연변주 성인 개인의 년 기본의료보헙비 납부표준은 20위안 올린 190위안이며 최저생활보장대상, 노동력상실자와 엄중한 장애인, 저소득가정의 중병성인 및 저소득가정의 60세 이상 노인 개인의 기본의료보헙비 납부표준은 84위안이며 60주세 이상 노인 개인 년 납부표준은 130위안이다.
대학교, 중학교, 소학교, 아동 개인의 기본의료보험비 년 납부표준은 10위안 인상했다. 조절한 후 일반 중소학생과 아동, 18주세 이하의 비재교(非在校) 도시진 주민 개인 의료보험 년 납부표준은 40위안이고 최저생활보장 가정, 노동력을 상실한 중한 장애인, 저소득가정의 중병 미성년자 개인 년 납부표준은 20위안이다.
정부 재정보조 인당 40위안 인상
2014년 도시진 주민 기본의료보험 정부보조 표준은 인당 280위안으로부터 40위안 오른 320위안이다.
계속해 전 주 도시 곤난주민 의료보험 보조강도를 높인다. 그 가운데 최저생활보장 가정, 노동력상실 엄중장애인, 저소득가정 중병 미성년자는 각급 정부 및 의료구조자금에서 340위안을 보조해 주고 60주세 이상 노인은 각급 재정에서 380위안을 보조해 주며 최저생활보장 가정, 노동력상실 엄중장애인, 저소득가정의 중병성인 및 저소득 가정의 60세 이상 노인은 각급 재정 및 의료구조자금에서 426위안을 보조해 주기로 했다.
년 의료비 최고지불 제한액 제고
연변주 성인 의료보험 참가주민 년 의료비 최고지불 제한액을 6만위안으로부터 16만위안으로 제고해 진일보로 중대, 특대 질병 환자의 기본의료 수요를 만족시킨다.
성인 의료보험 참가주민 기본의료보험 기초지불 표준과 결산 비례를 조절했는바 조절한 후 의료보험 참가주민 입원의료비는 많을수록 결산비례도 많아져 병으로 인한 빈곤 현상을 완화시킨다.
길림성의 통일적인 요구에 따라 연변주 성인 의료보험 참가주민의 1급 이하 병원 결산표준은 200위안이고 1급 병원 결산표준은 400위안, 2급 병원은 800위안, 3급 병원은 1100위안이다.
성인 의료보험 참가주민 기본의료보험의 결산방식을 단계를 나누며 조절 후의 성인 의료보험 참가주민 결산비례는 1급 이하 지정병원 년 의료비가 1-6만위안일 경우 80%를 결산받을 수 있고 년 의료비가 6-16만위안일 경우 85%를 결산받는다.
또 년 의료비가 1-3만위안일 경우 1급 병원은 70%, 2급 병원은 65%, 3급 병원은 55%를 결산받고 년 의료비가 3-6만위안일 경우에는 1급 병원은 75%, 2급 병원은 70%, 3급 병원은 60%를 결산받으며 년 의료비가 6-16만위안일 경우에는 1급 병원은 80%, 2급 병원은 75%, 3급 병원은 65%를 결산받을 수 있다.
BEST 뉴스
-
태국-캄보디아 국경서 총격전…대사 추방·외교 격하로 번진 군사 충돌
[동포투데이]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 지역에서 총격전을 벌이며, 양국 관계가 급속히 냉각되고 있다. 외교 채널은 사실상 단절됐고, 국경에서는 무력 충돌이 벌어졌다. 긴장은 하루 만에 외교적 갈등에서 실제 교전으로 확산됐다. 태국 육군은 24일 오전, 캄보디아 북서부 오다르... -
中 정권 핵심부, 여전히 ‘시 주석 중심’으로 작동 중
[동포투데이] 글로벌 매체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의 권력 약화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관찰 가능한 선전기구의 움직임과 공산당 내부 질서의 흐름을 보면 여전히 시 주석이 정권의 중심에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뉴욕에 본부를 둔 중국 정치 전문 리스크 컨설팅 기업 시... -
시진핑 퇴진설 다시 고개…그러나 “권력 흔들림 징후 없어”
[동포투데이]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권좌가 흔들리고 있다는 퇴진설이 최근 해외 언론과 반체제 매체를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고 있다. 군부 고위 인사의 실각, 국제회의 불참, 국영매체 보도 변화 등이 그 배경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시진핑 체제가 실제 위기에 처했는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 -
[현장르포] "평양에서 마주한 낯선 일상"… 관광객이 기록한 북한의 풍경
“무엇을 봤느냐보다, 무엇을 느꼈느냐가 더 오래 남았다.” 지난달 북한 평양을 다녀온 중국인 관광객 A씨는, 쉽게 여행기를 정리하지 못했다. “어땠어?”라는 질문 앞에 멈칫했던 그는, 시간이 지나고서야 몇 장면을 꺼내놓을 수 있었다. 정치 분석도, 체제 비판... -
하이난, '제2의 홍콩' 신화를 넘어 디지털 허브를 꿈꾸다
[동포투데이] 중국이 남쪽의 섬 하이난을 '세계 최대 자유항'으로 성장시키는 국가적 실험을 가속화하고 있다. "100년에 걸쳐 이룬 홍콩의 성공을 15년 만에 재현하겠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로, 면세 쇼핑부터 디지털 인프라, 의료특구에 이르기까지 3만5천㎢의 섬 전체가 거대한 경제 실험장으로 변모 중이다. ... -
[세계 500대 기업 발표] 중국 130개 기업 포함… 3곳, ‘톱10’ 진입
[동포투데이]2025년 7월 29일,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Fortune)이 ‘2025년 세계 500대 기업’ 명단을 발표했다. 올해 순위에는 중국 본토와 홍콩, 대만을 포함해 총 130개의 중국계 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보다 3곳 줄어든 수치지만, 여전히 미국(136개)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 130개 기...
NEWS TOP 5
실시간뉴스
-
청도~훈춘 직통 고속철 개통…‘반나절 생활권’으로 동북·산동 잇는다
-
홍콩 지미 라이 재판, '국보법' 심판대에 오른 언론 자유
-
[르포] “김치 향 가득한 아리랑 광장”…연길서 펼쳐진 2025 연변 조선족 김치문화축제
-
중국, 일본에 전쟁 배상 요구 '포기'한 까닭은?
-
공자학원, 소프트파워인가 ‘과도한 의심’의 대상인가
-
중국 반부패 칼날, 소수민족 간부 겨냥…‘특례 정치’ 종언 신호탄
-
"제재의 역효과, 중국 반도체 자립 가속화"
-
중국 속 ‘작은 한국’, 그곳에서 만난 사람들
-
마닐라, 화려함 뒤 숨은 외국인 여행객 울리는 ‘바가지 현실’
-
자율주행 배송차가 여는 스마트 물류 시대